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난생 처음 식혜를 만들어봤는데 조언해주세요

식혜 조회수 : 1,379
작성일 : 2024-01-28 17:31:49

일단 엿기름 400g 오전에 미지근한 물에 치대 4리터 녹말을 가라앉혀 찬밥한공기와 밥솥에 보온해서 5시간 

뒤 냄비에 부어 생강넣고 설탕 200g 넣고 20분간 끊였어요.

이렇게 맞나요?

여기서 궁금한건 녹말을 굳이 안 가라앉히고 하면 안되나요? 밥솥에 보온할때 엿기름 치댄 보자기 같이 넣으면 안되나요?

설탕양은 많이 넣거나 적게 넣을경우 양이 적당한지 간을 모르겠어요.

IP : 14.6.xxx.11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28 5:34 PM (211.208.xxx.199) - 삭제된댓글

    그냥 하는 분도 있지만 저는 뿌옇고 텁텁해서 별로에요.

  • 2. ..
    '24.1.28 5:34 PM (116.125.xxx.12)

    가라 앉히지 않으면 색이 어두워요
    치댄보자기 같이 넣어도 됩니다
    설탕양은 나중에 끓일때 간 맞추세요

  • 3. 원글
    '24.1.28 5:36 PM (14.6.xxx.117)

    지금 뜨거운 상태에서 간을 모르겠어요
    식고 싱거우면 설탕 추가해서 다시 끊여도 되나요

  • 4. ..
    '24.1.28 5:36 PM (211.208.xxx.199) - 삭제된댓글

    설탕은 처음부터 다 넣지말고 좀만 넣어 간을 보세요.
    안 끓인거 간본다고 탈나는거 아니에요.
    달기는 설탕을 조금씩 첨가해가며 내 입과 상의하는거죠.

  • 5. ...
    '24.1.28 5:39 PM (61.79.xxx.23)

    엿기름 티백 있어요
    엄청 편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boBh9l

  • 6. 원글
    '24.1.28 5:40 PM (14.50.xxx.125)

    싱거우면 설탕 추가하셔도 돼요.

    저도 어제 식혜 만들었는데 녹말 안가라 앉히고 엿기름 치댄 망 같이 넣어서 했어요.

    그러니 텁텁하지만 진한 맛이나요. 이런 거 좋아하시면 안가라 앉혀도 되고

    좀 가라 앉히고 윗물만 쓰면 깨끗한 맛이 나고요.

  • 7. 식혜
    '24.1.28 6:01 PM (58.231.xxx.145) - 삭제된댓글

    엿기름 미지근한물에 치대기 - 엿기름의 전분당화시키는 효소를 용출시키위함. 효소는 70도 온도에 사멸됨.
    전분 가라앉히기- 필요한것은 전분(밥)을 당화시킬 효소이지 앙금이 아님. 앙금은 엿기름(보리)의 생전분으로 당화가 어렵고 색이 거무튀튀하게 변함(식혜 색에 영향,전분가루는 텁텁한맛)ㅡ효소가 녹아있는 맑은물만 걸러사용함.ㅡ 남은 맑은물이 있으면 끓일때 같이 부음
    *찬밥 한공기- 엿기름 효소에 당화되어 단맛을 내는 주재료. 두공기면 더 달고 세공기면 더더달고..
    찬밥보다는 미지근한 밥이 좋겠죠. 엿기름 효소가 활성화되기 좋은온도인 55~65도에 맞추는건데 밥이 너무 차면
    온도가 될때까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리니 여름같은경우는
    쉬어버릴수도 있어요. (살짝 시큼하게 쉰내나는 식혜)
    *5시간은 부족할수도 있어요. 시간이 아니라 상태를 확인.
    단맛은 밥알의 전분에서 나와요. 밥알이 전부 당화되었는지를 확인해야겠죠? 손으로 밥알한개를 문질러보아 뽀드득 하면서 껍질만 남은 '때'같이 밀리면 당화가 다 된것이고, 미끄덩하게 밀리면 아직 덜 된것.
    *끓이는 이유는 효소를 사멸시켜서 활성을 멈추게 하여 맛의 유지를 위한것. 20분씩이나 팔팔 고을 필요는 없겠죠? 설탕은 엿기름과 밥이 많을수록 달겠지만 엿기름 맥아의 당도는 35,설탕인 자당의 당도는 100,단맛의 차이가 크죠? 설탕을 적당히 넣어 단맛을 주기위함으로 개취껏!
    *생강- 변질을 방지해주는 역활, 향신료이기도 하고..
    고조리서를 보면 상에 낼때 잣이나 석류알,유자를 띄워 내었다고 하네요. 또 안동지역에서 전해오는 안동식혜는 고춧가루와 밤,무,생강채를 넣고 빨간색 식혜이기도 하고요.
    내입에 맞는 나만의 맛있는 식혜로 만들어 보세요~

  • 8.
    '24.1.28 6:07 PM (14.38.xxx.186) - 삭제된댓글

    윗님
    궁금했던 부분 너무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왜 끓이나 그랬거든요

  • 9.
    '24.1.28 6:08 PM (14.38.xxx.186)

    윗님
    식혜
    궁금했던 부분 너무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왜 끓이나 그랬거든요

  • 10. ㅁㅁ
    '24.1.28 6:49 PM (183.96.xxx.173) - 삭제된댓글

    물 4리터에 밥 한공기면 그냥 맹물수준맛
    깊은맛 없어요

  • 11. 원글
    '24.1.28 7:21 PM (14.6.xxx.117)

    그럼 지금 잘못된 부분이 밥양이겠네요

    진짜 깊은맛이 없어요
    그게 저는 앙금탓인지 보자기채 안 넣어서인지 알수없었는데
    밥양을 얼마가 적당할까요

  • 12.
    '24.1.28 8:29 PM (183.100.xxx.184)

    밥 한 그릇해도 상관 없어요. 아마 제가 밥 한 그릇으로도 충분한 건 앙금 따로 거르지 않아서도 있을 거에요. 밥이 더 들어가면 아무래도 단맛도 더 있기는 할 거에요. 앙금도 다 따라버리고 나니 단맛 나올 소스가 없어서 그런 거겠죠.
    엿기름 250-300g 정도 (500g 짜리 한봉지 엿기름 절반만 사용), 밥 한 그릇 (적당히 따뜻한 온도로) 물 4 리터, 황설탕 200 ml 한컵 조금 덜 되게 해도 많이 안달게 깔끔하고 맛있습니다.
    엿기름 베주머니에 넣어서 주무른 후 그대로 넣어서 삭히고 끓일 때 베주머니 짜서 빼놓거나 아님 그냥 끓여도 됩니다. 그럼 아마 깊은 맛이 더 날 거에요. 굳이 앙금 안 거르는 게 건강에도 더 이득이라고 하니 거르지 말고 한번 해보세요 :)

  • 13. sunny
    '24.1.28 9:19 PM (91.74.xxx.133)

    식혜 참고합니다

  • 14. 보석같은
    '24.1.28 11:12 PM (211.212.xxx.14)

    귀한 댓글조언, 저도 덩달아 고맙습니다.

  • 15. ..
    '24.1.28 11:23 PM (124.53.xxx.169) - 삭제된댓글

    큰며느리였던 시모는 앙금물 따로 내지않고
    식혜전용 면 주머니에 가루째 넣고 약간 불렸다가 찜기에 찐 찹쌀과 맵쌀(1:1 )꼬들밥과 함께
    물넣고 밥통에 앉히던데
    색은 좀 검어도 다른집들 하얀 색으로 깔끔하게
    한것보더 시모 방식이 간편하고 젤 맛있었어요.

  • 16. 원글
    '24.1.28 11:32 PM (14.6.xxx.117)

    제가 생각한 앙금이 열쇠맞았네요.
    어릴때 엄마가 하는거 어깨너머로 봤을때 그대로 한것같아서 의문이였는데 인터넷레시피는 앙금을 가라앉히더라구요
    근데 앙금을 버리자니 뭔가 앙꼬없는느낌
    그리고 이게 건강에 좋은건데 싶은게...

    일단 추후 다시 도전할땐 제 느낌대로 해보겠습니다.
    조언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17. ㆍㆍㆍㆍ
    '24.4.9 7:30 PM (220.76.xxx.3)

    쿠팡 링크 클릭하면 링크 통해 구매가 발생하면 링크 건 사람이 3프로의 수수료를 받아요
    클릭 후 구매 뿐 아니라 24시간 이내 구매히면 링크 건 사람 실적으로 인정돼요
    82에도 쿠팡 링크 걸면서 제품 추천하는 사람 상주해요
    쿠팡거지라고 하죠 그런 사람들

  • 18. ..
    '24.5.26 3:56 PM (219.241.xxx.27) - 삭제된댓글

    자세한 설명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3341 방문재활운동센터 이용해보신 분 계실지요? 6 혹시 2024/04/21 870
1573340 ‘국민의힘 포함’ 4당, 윤 대통령이 거부한 간호법 재발의 1 음? 2024/04/21 1,433
1573339 달지않고 매운 2 .. 2024/04/21 1,182
1573338 새 아파트 정문상가에 oo마트 xx마트 이런거 왜그런가요? 4 궁금 2024/04/21 3,209
1573337 첫 주말농장후 기절하듯이 잤어요! 9 ㆍㆍ 2024/04/21 3,578
1573336 한동훈 순진하고 신선하다는 분들께 19 웃겨서 2024/04/21 3,366
1573335 식초드셔보신 분 10 50대 2024/04/21 2,192
1573334 다른 전업님들은 어떠신가요? 9 2024/04/21 3,028
1573333 이너백 지퍼달린게 좋을까요? 2 2024/04/21 840
1573332 이성 사이에 여자는 남자가 아들처럼 남자는 여자가 딸처럼 느껴지.. 10 ㅡㅡ 2024/04/21 3,579
1573331 사탕을 먹으면 피로가 좀 풀리나요.??? 2 ... 2024/04/21 1,066
1573330 상속 취득세는 ? 1 2024/04/21 1,175
1573329 드럼세탁기는 흰옷 색깔옷 구분세탁 가능한가요? 7 ... 2024/04/21 1,538
1573328 옥상에 둔 꽃화분이 갑자기 죽었어요 8 ㅇㅇ 2024/04/21 1,894
1573327 익일배송되는 냉동식품 택배 있나요? 4 .. 2024/04/21 1,160
1573326 오랜만에 헤이리마을 4 현소 2024/04/21 2,112
1573325 여드름 피지선 지지고 싶어요 11 여드름 2024/04/21 2,966
1573324 초2 여아 생일선물로 다이소 기프트카드 어떨까요? 2 초2엄마 2024/04/21 1,424
1573323 백현우보다 윤은성 18 ... 2024/04/21 5,853
1573322 예전 드라마 동백꽃필무렵에서 미혼모인 동백이 전남편, 자식 프리.. 3 .. 2024/04/21 3,036
1573321 19일에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엄청난 일이 있었어요. (오페라덕후.. 8 오페라덕후 2024/04/21 4,183
1573320 임윤찬 앨범 음원구입 어떻게 해야하나요? 2 생생 2024/04/21 1,109
1573319 한동훈, 윤석열 대통령 오찬 초청에 '거절' 41 ㅇㅇ 2024/04/21 6,187
1573318 비행기에서 정말 민폐였던 사람 26 푸우 2024/04/21 8,654
1573317 머루꽃으로도 차를 만드나요? 4 알려주세요 2024/04/21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