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옛날엔 여름에 냉장고없이 어케 살았을까요?

조상 조회수 : 1,648
작성일 : 2024-01-28 14:06:40

조상들의 지혜가 궁금하네요

IP : 49.173.xxx.11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게요
    '24.1.28 2:07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어제 안그래도
    겨울에 건조기없이 어찌 살았지? 생각했네요.
    이제 겨우 3년차가 ㅎㅎ 우습죠.

  • 2. 그러게요
    '24.1.28 2:09 PM (175.208.xxx.164)

    여름에 하루만에 음식 다 상했을텐데 고기, 생선 이런거 어떻게 보관했는지..

  • 3. ..
    '24.1.28 2:13 PM (223.38.xxx.175)

    옛날 음식이 많이 짜잖아요
    여름에는
    고기국을 매일 매일 오래 오래 팔팔 끓이고

  • 4. **
    '24.1.28 2:16 PM (182.228.xxx.147)

    그래서 염장하고 말리고 해서 보관했지요.
    지금처럼 쟁여놓고 먹지도 않았고 그때그때 제철 음식재료 사서 생활했구요.
    김치는 여름에 시원한 그늘 시원한 물에 단지채 담궈놓고 보관했구요.
    그래도 여름엔 김치가 금방 시어버렸던 기억이 나네요.
    살짝 쉬어버린 밥은 물에 씻어서 먹기도 했어요.
    어릴적 생전처음 냉장고가 집에 들어오던 때의 설레임과 신기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네요.

  • 5. 옛날엔
    '24.1.28 2:19 PM (121.165.xxx.112)

    바닷가가 아니면 생선 먹기 힘들었고
    내륙에선 간고등어나 건조 생선 먹었죠.
    고기는 잔칫날 소한마리 잡아서 여럿이 나눠먹고..

  • 6. 이만큼
    '24.1.28 2:20 PM (223.62.xxx.35)

    이만큼 덥지 않았고
    나무도 풀도 더 많았고
    왕궁에서는 냉장고 사용했지요.

  • 7. 일단
    '24.1.28 2:28 PM (118.235.xxx.163) - 삭제된댓글

    시골태생 제가 경험한거로는요.
    요즘처럼 식생활이 다양하고 풍부하지 않았구요.
    문만 열면 텃밭에 대파 오이 고추 부추 상추 같은 채소 그때그때 따다가 먹으니 보관필요없었지요.
    고기. 생선은 특별한 날에 많은 식구가 먹어버리니 보관은 언감생심

  • 8. …….
    '24.1.28 2:42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해서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예약판매, 그 중 남은 짜투리 돈 있고 운 좋으면 구입햐서 당일 조리.
    꿩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귀했죠. 조기, 굴비같이 짜게 간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가끔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먹는 정도였겠죠.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9. ……
    '24.1.28 2:47 PM (114.207.xxx.19)

    고기는 명절에나… 오늘 먹고싶다고 사다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님.
    동네 부잣집 잔치, 제사라도 있거나, 장날에 맞춰 백정이 소돼지 잡는 날 판매.. 서늘하기라도 하면 하루정도는 두었겠지만 여름엔 방법도 없었겠죠. 상한음식으오 배탈도 많이 낫을듯.
    시골에서는 진짜 사냥꾼이 잡은 노루 꿩 토끼도 간간히 사먹었대요. 닭은 그나마 크기가 작으니 부자면 좀 먹었겠네요. 달걀도 귀하던 시절.
    내륙에서는 바다생선은 구경하기도 힘들었대요. 조기, 굴비같이 짜게 염장한 꾸덕한 생선이나 말린 어포 제사상에 올렸고, 붕어 잉어 가물치나 미꾸라지 등 민물고기를 더 먹었을듯.
    고기는 커녕, 먹을 수 없는 풀떼기도 벗겨내고 찌고 말리고 온갖 수고를 다 해서 어떻게든 먹었던 게 우리 조상들인데요.
    집안일 하던 여자들은 얼마나 하루가 길었을까요? 삼시세끼 밥짓고 빨래하고 옷도 다 손바느질로 지어입고 기워입고 하려면..

  • 10. ....
    '24.1.28 3:56 PM (116.41.xxx.107)

    옛날 시골 할머니네 기억으로는
    야채는 매일 텃밭에서 따왔고
    반찬은 김치 장아찌가 많았고
    수박 같은 건 우물에 담궈 놨어요.
    소고기는 별로 안 먹었고
    닭은 마당에서 그날 잡아서 먹고

  • 11.
    '24.1.28 8:46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그래서 젓갈종류. 장아치가 많지요
    그리고 보관할거나 많나요
    오늘벌어서 오늘머기도 바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51270 90세아빠가 1억 적금타는데요. 31 ㅇㆍㅇㆍ 2024/02/04 26,011
1551269 이혼할거 같아요 43 ,,, 2024/02/04 21,825
1551268 아니, 윤대통령 이게 뭔가요? 33 어흑 2024/02/04 6,204
1551267 최명길인줄~ ㅁㅁ 2024/02/04 2,919
1551266 수영도 체력 좋아지는데 도움될까요? 11 ㄴㄱㄷ 2024/02/04 3,079
1551265 요즘 열린음악회가 4 .. 2024/02/04 2,486
1551264 입춘대길 건양다경 글자 현관에 붙일때요~ 7 팔자 2024/02/04 1,557
1551263 주식하시는 분들~~ 7 개미 2024/02/04 3,078
1551262 판교, 분당에 교정 치과 추천 좀 부탁드려요. 5 교정 2024/02/04 832
1551261 방콕택시 캐리어 2 ... 2024/02/04 879
1551260 레드향은 냉장고 안에서 얼마나 가요? 4 ㅇㅇ 2024/02/04 1,960
1551259 만약 총선에서 여당이 지면 5 ㅇㅇ 2024/02/04 1,151
1551258 의대 가운수여식 참석해 보신분요.. 7 .. 2024/02/04 1,548
1551257 예비고2 화학을 하나도 모르겠데요. 7 ... 2024/02/04 1,291
1551256 정신과 추천 좀 해주세요.. 우울증 무기력으로 힘든데요 15 상담 2024/02/04 3,031
1551255 대입 수시 제한 3 수시 2024/02/04 1,504
1551254 82 이 평화로운 게시판. 5 2024/02/04 1,096
1551253 비만에 대한 죄책감이 줄어들어요 9 비만인 2024/02/04 3,502
1551252 며느리분들 시모 한달에 몇번 만나시나요 29 ........ 2024/02/04 5,826
1551251 문대통령님, 이재명대표 만나셨네요 23 어디보자 아.. 2024/02/04 1,935
1551250 허리 디스크ㅠㅠ 8 ... 2024/02/04 1,841
1551249 어제 유명한 찹쌀꽈빼기집에서 28 ... 2024/02/04 7,976
1551248 이강인은 슛돌이 때부터 남달랐네요 4 ... 2024/02/04 2,660
1551247 축구대표팀중에 벤치에 앉아잇는선수 3 2024/02/04 2,039
1551246 김경률 불출마로 공천주도권이 한동훈한테 확실하게 넘어간거죠 35 ㅇㅇ 2024/02/04 3,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