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건 발달된 전두엽인 듯 합니다

시냇물 조회수 : 5,576
작성일 : 2024-01-27 16:30:03

전두엽은 자기조절력을 관장하는 곳이잖아요 

이 전두엽이 늦게 자라는 사람은. 아니 20대 후반까지도 자란다고 합니다. 

사람은 본능적인 욕심 욕구라는게 있죠. 

쉬고 싶고 먹고 싶고 똑똑해지도 싶도 날씬해지고 싶고 자고 싶은 기본적인 거요. 

자기조절력이 뛰어난 사람이 결국은 인생결과를 양호한 수준을 만들어내는거 같아요. 

다이어트 하는 사람도 먹고 싶은거 조절력 자기의지에 많이 달렸고. 학생은 뭐 말할 것도 없고요. 

게임과 유튜브 놀거리들 얼마나 주변에 널려 있나요. 

누구든 놀고 싶을거에요. 하지만 자기조절력. 즉 전두엽이 잘 발달된 사람은 본인 콘트롤이 우수하니

멈추고 다시 공부에 매진할거고. 아닌 학생은 놀고 먹다 낙오될거고요. 

결국 성실함도 전두엽의 문제고요. 

불행하게도 제 남편과 아이를 보며 다시 느껴요. 

둘다 충동조절이 안되서 타고난 재능이 있어도 그 조절력이 안되니 자기 위치에서 발전이 없고. 

아이의 경우는 더 그래요. 

사람 인생에서 타고난 팔자 운명이 첫번째라도 생각하지만. 노력도 즁요한데. 그게 자기조절력 전두엽의 발달 문제 같네요. 이것도 유전이라죠. 

바람. 불륜 알콜중독 도박중독 결국 전두엽의 문제.

그 뇌 기능도 유전. 그러니 그 집안의 부모를 보면 그 자식의 모습도 똑같다 할 수는 없어도 유추는 해 볼수 있죠. 

남편 잘못 골라 맘 고생중인데. 남편 성격이 시모 성격이고. 순간 욱해서 화내고 폭언도 있고 욱해서 돈사고도 치고. 다행히 머리는 좋아서 학벌. 직장은 좋은데. 그 조절력이 부족하니 대인관계. 돈문제가 늘

생겨요. 

제 아이도 인물은 좋은데 조절력이 떨어지니 유튜브 게임만하려하고. 본인 조절력이 너무 떨어져요. 

 

IP : 14.33.xxx.210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의해요
    '24.1.27 4:48 PM (121.152.xxx.181) - 삭제된댓글

    adhd만 봐도요

  • 2. 아동들
    '24.1.27 4:52 PM (211.36.xxx.23)

    초코릿 실험만 봐도

  • 3. 판다댁
    '24.1.27 4:54 PM (175.209.xxx.133)

    백퍼동의합니다
    노력의 배신이란 책 추천해요

    그거보고나니 정말 다 타고나는거
    애 키울수록 커갈수록 느껴집니다
    안타깝지만 어쩔수없는 부분이구나
    포기하게되네요

  • 4.
    '24.1.27 5:00 PM (82.132.xxx.249)

    저도 타고난게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후천적인 요인도 분명히 있다고 봐요. 쉽지는 않겠지만, 엄마로서의 역할을 잘하면 좋은 결과를 보장할 수는 없을지라도 최소한 덜 나빠질 수는 있지 않을까요?

  • 5. ..
    '24.1.27 5:19 PM (175.207.xxx.227)

    전두엽잉...

  • 6. 전전두엽에
    '24.1.27 6:01 PM (106.101.xxx.169)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s)이 충동을 조절하고 해야할 일을 집중해서 하 게 해주는데요 학업성취도를 결정하는데 IQ보다 더 큰 역할을 한다네요. 즉 머리 좋아도 자기절제력이 없음 어려운 거지요.

    하지만 어린이의 실행기능은 집중력 훈련과 운동,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덜 주면 향상되는 걸로 나와요.

    피그말리온 효과, 로젠탈효과 있쟎아요. 남편은 못 고치지만 아들이라도 넌 점점 성실해지고 잘 클거라 기대하면 아이도 좋아질 거예요. 뇌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나이가 들수록 발달이 늦된 아이도 차이를 좁혀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 7. ...
    '24.1.27 6:06 PM (122.45.xxx.99) - 삭제된댓글

    유전 무서워요
    남편이 학교가기전까지 열경기를 했다는데 딸이 열성경련 7살까지 했어요
    병원에서 가족 히스토리 알아보니 시어머니가 어릴때 열경기를 하셨다는
    남편 살아보니 조용한adhd 딸adhd인데 시어머니도 검사안하셨지만 adhd성향이시고
    뇌뿐만 아니라 모든 병들이 가족력을 먼저보죠
    돌발도 있겠지만 살펴보면 가족 히스토리가 다 있어요

  • 8. 전전두엽에
    '24.1.27 6:09 PM (106.101.xxx.169)

    저희 아들이 집중력장애라 이것저것 논문보다 알게 된 거예요. 얘도 고집세고 귀찮아서 안할라그러고. 사실 남편도 좀 그래요. 하지만 엄마니까 참고 해야할 일 하게 계속 알려주고 그래요. 그럼 결국 하긴 하더라고요. 나이들수록 나아지고 화냈을 때보다 얘는 일부러 그러는 게 아니라 뇌가 덜 성숙해서 그런 건데 어쩌겠어하고 이해하고 덜 성질내니 확실히 전보다 말을 잘 들어요, 힘들긴 하지만. 부모니까 하는거죠 뭐. 병원에선 각성제 먹이라고 하더라고요.

  • 9. ㅇㅂㅇ
    '24.1.27 6:23 PM (182.215.xxx.32)

    완전 공감해요
    저희 아이도 그렇거든요
    전두엽이 아직 발달중이기를
    지금보다는 더 발달하기를 고대해보는 중이에요

  • 10. . . .
    '24.1.27 7:10 PM (180.224.xxx.172)

    전두엽 중요성 동의합니다

  • 11. ........
    '24.1.27 7:22 PM (58.122.xxx.243)

    전두엽은 자제력을 기르는 기관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기관입니다.
    전두엽이 발달하면 자제력이 발달한다기 보단 현상을 다각도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지금 어떤 행동을 했을때 그것이 미래에 끼칠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해서 안하게 되는 원리죠. 논리적으로 설명을 했을때 그 의미를 잘 이해하는 아이일수록 충동적으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이거하지마 저거하면 안돼 하는게 최악의 대처법이고요.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스스로 목적의식을 세우고 자신의 행동에 당위성을 갖게하는것. 부모가 인격적으로 성숙해야 가능한 일이죠. 논리나 언행에 모순을 보이지 않는게 중요해요. 왜냐면 부모가 하는 말이나 논리에 신빙성이 없으면 아이는 납득이 안가고 당위성을 잃어버려서 자기 멋대로 하는게 차라리 나은걸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무의식중에 늘 하게되고 결국은 충동을 자제하려는 의지가 없어지니까요. 그래서 부모가 되면 학교다닐때보다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하는것 같아요. 요즘 아이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고 듣는게 많아서 부모가 일관성없는 말이나 행동을 하면 바로 알아채고 말 안들으려고 합니다.

  • 12. 좋은글
    '24.1.27 7:54 PM (68.172.xxx.55)

    전두엽과 교육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 13. ㆍㆍㄴ
    '24.1.27 10:28 PM (211.234.xxx.60)

    https://youtu.be/MZl9gRvCcaM?si=mf3CnTRQ-dfirofe

    들어보세요
    도움 많이 됩니다

  • 14.
    '24.1.27 11:20 PM (211.216.xxx.107)

    좋은 고찰이네요 글 감사합니다

  • 15. 좋은글
    '24.1.28 11:42 AM (180.228.xxx.196)

    감사히 읽었어요

  • 16. ㅜㅜ
    '24.7.23 7:22 PM (210.97.xxx.73)

    전두엽 문제
    지금 꼭 필요한 글이었는데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9202 졸업 10점 만점에 10점 15 ... 2024/05/11 5,404
1579201 부산출신 타지역 분들께 묻고싶어요 47 .. 2024/05/11 4,130
1579200 지구마블 새로운 파트너들 3 지구마불 2024/05/11 4,410
1579199 열나는 온도가 37.5부터인가요 6 2024/05/11 2,772
1579198 과외할때 다과 어떤거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20 과외 2024/05/11 2,238
1579197 웨이보에 푸바오 새 영상 올라왔어요 15 2024/05/11 3,208
1579196 아는 형님 가끔 보는데 김영철 6 나나 2024/05/11 5,475
1579195 의사약사도 adhd일 수 있나요? 19 ... 2024/05/11 4,614
1579194 내이름은 김삼순 1 지금3회방송.. 2024/05/11 2,778
1579193 머지않아 인천이 부산 인구를 넘겠네요 8 ㅇㅇ 2024/05/11 3,547
1579192 결정사 결혼은.. 7 .. 2024/05/11 3,647
1579191 혈압약 끊을수 7 ... 2024/05/11 3,357
1579190 지난주 로또 1등 번호 3 111 2024/05/11 3,263
1579189 회사 남직원이 여직원 무시하는 말을 하네요 11 ........ 2024/05/11 3,305
1579188 알베르토는 얼마나 벌었을까요? 44 비정상회담 2024/05/11 18,741
1579187 오프숄더 티 이뻐보여요 33 나이 2024/05/11 4,085
1579186 건조기를 옮기려고 하는데 1 이월생 2024/05/11 1,177
1579185 돈은 써야 자기돈이다? 31 ㅇㅇ 2024/05/11 6,990
1579184 공기가 다르네요 2 2024/05/11 3,273
1579183 돌싱글즈5 얘기가 없네요 12 ㅇㅇ 2024/05/11 4,500
1579182 가사도우미분 전화,주소 알려달라는게 24 가사 2024/05/11 5,156
1579181 두드러기 진단받고 10 고민 2024/05/11 1,848
1579180 넷플릭스 추천 영화- 2018년 네덜란드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 4 2024/05/11 4,400
1579179 알래스카에서 썰매끄는 진도견들...ㅜㅜ 18 ㅡㅡ 2024/05/11 5,479
1579178 집안일 중에 하기 싫은 것 22 2024/05/11 6,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