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평수와 관리비 갑론을박 의미없죠

...... 조회수 : 2,281
작성일 : 2024-01-27 15:17:54

'아파트 관리비와 청소에서 자유롭다'

는 전제하에 생각해보면 

누가 작은 집을 좋아하겠어요 

여행가서 도미토리에서 쉬고 자는 거랑

스위트룸에서 쉬고 자는거랑 

뭐가 더 좋은지 생각해보면 답이 나오는데

모르모트 실험에도 좁은 공간에서는 스트레스 수치 높아요. 

결국 돈걱정 때문에 큰 평수에서 못 사는 게 맞죠 

 

IP : 223.62.xxx.31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렇죠
    '24.1.27 3:21 PM (223.38.xxx.225) - 삭제된댓글

    나이들수록 큰평수가 좋아요
    집에있으니 더욱 그런생각
    돈걱정 없으면 큰평수살지 뭐하러 좁게 사나요

  • 2. ...
    '24.1.27 3:23 PM (223.38.xxx.20)

    이상적인 선호가 아니라 현실적인 얘기를 한 거잖아요

  • 3. ...
    '24.1.27 3:24 PM (223.62.xxx.31)

    그니까 그 현실적이라는 것도 있는 사람들은 문제가 안된다니까요. 돈이 좀 더 들어가도 쾌적함이 주는 가치를 상쇄할 수 없으니까요.

  • 4. ....
    '24.1.27 3:27 PM (116.32.xxx.73)

    아파트 관리비와 청소에서 자유롭다는 전제에
    해당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나요
    돈때문에 그러는거 누가 모르나요
    현실적인 고려없이 하는 판단과 선택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 5. 아파트도
    '24.1.27 3:29 PM (121.133.xxx.125)

    신축에 고급이면 관리비는 비싸집니다. 세대수도 중요하고요.

    관리비라기보다 난방비와 전기요금 절약같은데요.

    관리비 지출을 안하려면 단독이나 경비. 미화원 없는 빌라로 낫지

    않을까요?

    저희 아파트는 경비업체 선정을 두고 많이 싸웠어요. 10 만원정도 차이나는 업체로 바꾸었다가 2년만에 입주민 대표 바뀌고 다시 예전 업체로 바뀌었어요.

  • 6. ...
    '24.1.27 3:32 PM (223.62.xxx.31)

    그게 궤변이죠. 어떤 집은 관리비 20도 버겁고 100내도 괜찮은 사람도 있고요. 대형평수 선택한 사람들은 삶의 질을 따지는 사람들이 주류예요.
    그 현실적인 고려라는 게 각자가 다른거라
    집은 자산과 소득수준에 맞게 선택하는거예요.

  • 7. 난방
    '24.1.27 3:32 PM (175.125.xxx.203) - 삭제된댓글

    돈에 상관없다면 난방열사도 보일러 엄청 돌릴걸요
    세탁 설거지도 온수로만 할거고...

  • 8. 그니까
    '24.1.27 3:34 PM (223.62.xxx.31)

    결론은 돈 걱정에 대형 못 사는 게 맞는거잖아요
    논지에서 자꾸 딴소리 하는 분들은 신포도인거고

  • 9. ...
    '24.1.27 3:44 PM (180.70.xxx.231)

    그러니까 부자 동네 말고 서민 동네에서 수요는 줄어 들수밖에 없잖아요
    50평대에 그럭저럭 살던 사람들도 이제는 예전보다 관리비가 더 많이 들어가니 부담스럽죠
    다른 물가도 오르고...

  • 10. 서비스가
    '24.1.27 3:46 PM (121.133.xxx.125)

    올라가면 돈이 더 들어가는건 당연한 이치고

    뭐든 아끼려면 좀 불편하고 피곤한거죠. 저희는 대형평수인데

    방3개 거의 안쓰지만

    거실.주방만 넓고 방 한 두개 있는 구조는 아직 없잖아요.

    외국처럼 원베드.투베드형이 대세가 되면 또 모르지만요.

    그런데 아파트 안사는 사람이 더 많은데

    왜이리 아파트 괁리비이야기가 많을까요?

    서울 청당. 한남부터 지방까지

    100세대부터 만세대까지

    지은지 30년 넘은 아파트부터 신축 까지 다양하고

    쾌덕하게 느끼는 온도도 다 다르고

    경비원 유무랑 수도 다다른데요

  • 11. 윗님
    '24.1.27 3:50 PM (213.89.xxx.75)

    서울부터 각 지방 소도시들까지 주르륵 살아본 결과.
    30평대 아파트 관리비는 거의 비슷했었어요.
    40평대도 마찬가지 이고요.
    같은 가전 가구들 들여놓고 써봤고요.
    신기하게도 비슷하더이다.

  • 12. ...
    '24.1.27 3:51 PM (167.179.xxx.71) - 삭제된댓글

    60대 후반 부부...
    경제적으로 전혀 문제없고, 아껴살고 싶지않고, 지금 우리의 행복이 먼저라 생횔하고 있습니다.
    큰 평수 싫습니다.
    뭔가 휑하고 이방문 열어도 빈방, 저 빙문 열어도 빈방, 집이 따뜻한 거랑 사람의 온기는 차이가 납니다.
    50평대 살다가 30평대 짐 싹 정리하고 모든게 내 손안, 내 눈안에 있으니 너무 좋습니다.
    같은 돈이라도 30평대 갑니다.

  • 13. . . .
    '24.1.27 3:52 PM (180.70.xxx.231)

    관리비에 난방비와 전기세 포함입니다

  • 14. ......
    '24.1.27 3:59 PM (125.240.xxx.160)

    당근이죠.
    다 돈때문이죠.
    돈많아도 이곳저곳 빈방이라서 작은평수 선호한다?
    돈많으면 어느쪽이던 선택가능이죠 ㅎㅎ

  • 15. 보통
    '24.1.27 4:13 PM (118.235.xxx.81) - 삭제된댓글

    자유롭지 않으니 문제죠. 지구를 위해서 넓은 집 살면서도 에너지 비용 줄인다는 분들도 올인쿠루시브된 곳 가면 내돈 안 나가니 추위, 더위 안 참더라고요.

  • 16. 보통
    '24.1.27 4:15 PM (118.235.xxx.81)

    자유롭지 않으니 문제죠. 지구를 위해서 넓은 집 살면서도 에너지 비용 줄인다는 분들도 올인쿠루시브된 곳 가면 내돈 안 나가니 추위, 더위 안 참더라고요. 부모님은 60평에 살면서 여름 겨울 10평 생활 해요. 에어컨은 안방 꼬맹이 에어컨만 냔방은 미니 전기난로만...
    불편해 보여요.

  • 17. 이상한 글을
    '24.1.27 4:21 PM (175.116.xxx.118) - 삭제된댓글

    되게. 똑똑한척 써놓았다

  • 18. ㅇㅇ
    '24.1.27 4:41 PM (125.187.xxx.79)

    공간이 넓은게 무조건 좋은거같진않은데요
    각자살아온 환경이 다른데
    저희 외조부는 생전에 작은방좋아하셨어요
    하꼬방? 젊은시절 생각난다고
    넓은 성에 혼자 산다면 두렵겠죠
    작은게 좋네 큰게 좋네
    개취죠 남한테 주장하는사람들
    못나보여요ㅋ자기변명인가싶고ㅋ

  • 19. ㅁㅁ
    '24.1.27 4:45 PM (210.204.xxx.201)

    아는 언니 펜트하우스 80평대 살때 방하나만 난방틀고 오돌오돌 떨며 살았대요. 그래도 관리비 100만원 넘게 나왔다고.ㅎㅎㅎ
    그래서 얼마전 40평대로 이사갔어요. 근데 돈은 많았는데 아끼는게 습관화돼서 엄청 절약하더군요. 찐부자가 아닌가? 차도 벤츠 bmw 두대있고 건물도 있어요.

  • 20. 바람소리2
    '24.1.27 5:01 PM (114.204.xxx.203)

    여유되면 따뜻하게 넓게 사는게 좋지요

  • 21. ㅇㅇ
    '24.1.27 5:17 PM (58.234.xxx.21)

    카페도 이젠 좁은데 가기 싫어요
    많이? 넓은건 바라지 않지만
    둘이 살면 30평대
    3~4명이면 40평대가 좋은거 같아요
    그 이상은 취향의 문제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9269 에르마노 설비노(?) 브랜드 아시는 분 6 ㅎㅎ 2024/05/12 996
1579268 주방가위는 칼갈이에 갈면 안되나봐요ㅠ 9 주방가위 2024/05/12 2,300
1579267 공덕역 부근에서 아침 식사 되는 곳 알려주세요 11 활기찬 아침.. 2024/05/12 1,922
1579266 Chet Baker - Albert's House 1 일요 DJ 2024/05/12 522
1579265 아줌마 아저씨들 카페에서 떠드는 수준 23 대박 2024/05/12 7,072
1579264 남사친 마음? 11 궁굼 2024/05/12 1,842
1579263 음모 제모랑 질염 관련 있나요? 10 ㅇㅇ 2024/05/12 3,378
1579262 엄마랑 둘이 사시는 분들 8 .. 2024/05/12 2,594
1579261 MS office 365 는 다운로드는 못 하나요? 5 hahn 2024/05/12 1,206
1579260 치매부모님, 계속 상태가 나빠지시겠지요? 24 치매 2024/05/12 3,839
1579259 동네피부과 보톡스 얼마예요? 9 미간주름 2024/05/12 2,009
1579258 월 700만원도 중산층이 아닌 이유 15 ... 2024/05/12 7,462
1579257 엄마가 가방 물려준다고 하는데요.. 24 ., 2024/05/12 6,104
1579256 토스나 삼쩜삼 이용해보신분들만.. 17 ㅡㅡㅡ 2024/05/12 2,573
1579255 둘 중 뭐가 더 낫나요? 1 ㅡㅡㅡ 2024/05/12 677
1579254 윤석열 정부 2년, 거부권 거부대회 5 !!!!! 2024/05/12 1,095
1579253 주택 화재보험으로 TV 수리 후 비용 환급 가능(특약가입시) 2 2024/05/12 2,211
1579252 부모 둘다 키가 작은데 11 2024/05/12 3,033
1579251 울산 영화관 어디가 좋은가요? 간만에 2024/05/12 358
1579250 항생제가 끊이질 않네요 3 ... 2024/05/12 2,864
1579249 같은 건물의 직원이 뭔가를 훔치고 있어요 12 좋은생각37.. 2024/05/12 5,023
1579248 전주ㅡ>충북 단양 가는 길에 아울렛?? 3 .. 2024/05/12 914
1579247 서울의 하루 (1957년) 1 1957 2024/05/12 1,358
1579246 기초수급자 많은 동네 초등생들 17 ... 2024/05/12 5,559
1579245 직장인 자녀들 휴일엔 보통 몇시에 일어나나요? 17 기상 2024/05/12 2,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