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윤통의 벤틀리론- 내가 벤틀리를 타봤는데

어쩔 조회수 : 1,582
작성일 : 2024-01-16 18:39:48

역시 아무말 대잔치 ㅠㅠ 입니다.

https://slownews.kr/102449?fbclid=IwAR2DYjC1KkNRIerKRoO6f9YY2i9yCTzWbEZYtg3dLA...

(출처)

“내가 벤틀리를 타봤는데 말이야”, 윤석열 발언에 빠진 것.

 

윤석열(대통령)의 벤틀리 발언은 기묘하다.

 

이게 왜 중요한가.

 

- 대통령의 발언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거칠고 투박하지만 윤석열의 멘탈리티를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이게 신년 기자회견 대신에 만든 민생 토론회 자리에서 나온 발언이란 사실도 참담하다. 어떤 질문도 허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통령의 아무말이 생중계됐다. 기자들이 있었다면 그래도 누군가가 “잠깐, 그게 뭔 소리세요?”라고 묻지 않았을까. 

 

정확한 워딩은.

 

- “보유세라든지 거래세라든지 양도세라든지 이런 걸 갖다가 중과를 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산업이 발전을 안 합니다. 제가 영국에 국빈 방문했을 때 한 대에 72억짜리 벤틀리 차를 타봤어요. 국왕 취임을 기념해서 두 대를 제작했다고 그러는데. 타보니까 그렇게 뭐 으리으리한 건 아니었고요. 우리는 고가의 차량, 중과세를 해야지 아, 있는 사람들에게 세금을 뜯어내야지 생각하기 쉬운데요. 중산층과 서민을 죽이는 거에요. 그런 고급의 벤틀리 승용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직장을 갖고 중소기업까지 뛰어 들어가서 일을 하게 되기 때문에 비싼 집에 좋은 집에 과세를 한다면 그런 집을 안 만들죠. 그 집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산층과 서민들이 일자리를 얻게 되고 후생이 거기서 나오는 겁니다.”

 

벤틀리 발언의 논리 구조.

 

- 내가 72억 원짜리 자동차를 타봤다.

- 비싼 차를 만들면 일자리가 (많이) 생긴다.

- 비싼 차에 세금을 무겁게 매기면 중산층과 서민을 죽이는 거다.

- 부동산도 마찬가지다. 세금을 줄여야 일자리가 생겨난다.

 

진실은.

 

- 벤틀리모터스의 2022년 매출액은 33억8000만 유로다(4조8622억 원). 판매 대수는 1만5174대다.

- 당연한 소리지만 비싼 차라고 해서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드는 것은 아니다.

- 벤틀리모터스는 영국 핌스레인에 본사를 두고 있는데 고용 인원은 2021년 기준으로 3911명이다.

- 참고로 현대자동차는 2022년 매출액이 248조8970억 원. 394만5695대를 팔았다. 직원 수는 18만8668명이다.

- 벤틀리 가격이 다섯 배쯤 비싸지만 직원 수는 현대차가 48배나 더 많다. [그림 1] 참고.

- 벤틀리가 비싼 차를 만드는 건 사실이지만 일단 현대차와 비교해서 훨씬 규모가 작고 고용 창출 효과도 비교할 바가 안 된다. 1인당 매출액도 현대차가 더 높다. (현대차는 13억 원, 벤트리는 12억 원이다.)

 

핵심은.

 

- 벤틀리는 윤석열이 말한 것처럼 비싸도 팔리는 차다. 사치재라 애초에 수요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 고가 차량에 중과세를 하면 중산층과 서민을 죽인다는 주장은 인과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참고로 한국에서 2억9000만 원 상당의 벤틀리 컨티넨탈 GT를 구입할 때 취득세는 2000만 원 수준이다.)

- 벤틀리가 세금이 적어서 고용이 많은 것도 아니고 세금이 많아서 고용이 적은 것도 아니다.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인지 짐작조차 안 되는 말이다.

- 비싼 집에 과세를 하면 주택 공급이 줄어들고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주장 역시 마찬가지다.

-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 때 부동산 과세를 늘렸지만 오히려 주택 가격이 크게 뛰었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건설업 종사자 수도 크게 늘었다.

- 윤석열 정부는 세금을 줄이고 공급을 늘린다는 기조를 유지해 왔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을 한시적으로 완화했고 종합부동산세 기본 공제를 늘려 세율을 낮췄다. 생애 최초 구입자 취득세를 감면해 줬고 인구 감소 지역에서는 2주택을 1주택으로 인정해주기로 했다.

 

더 깊이 들어가 보자.

 

- 부동산 과세를 늘리면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근거는 없다. 반대로 부동산 과세를 줄여서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근거도 없다.

- 다만 역대 정부 가운데 부동산 규제를 강화했던 정부에서 인허가 물량이 줄고 집값이 뛰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림 2] 참고.) 과거 강준현(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정부에서 주택 공급이 가장 많다는 자료를 낸 적 있지만 박근혜 정부에서 인허가하고 3~5년 지나 공급한 물량이 상당수라 정확한 설명은 아니다. 오히려 공급이 늘었는데도 집값이 뛰어오른 시기였다.

-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집값이 뛰는 시기에 일부 고용이 늘어난 것도 사실이다. [그림 3]에서 보듯이 건설업종 종사자수는 2016년 157만 명에서 2019년 172만 명까지 늘었다.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해야겠지만 굳이 따지자면 윤석열의 주장과 반대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할 수 있다.

- 흔히 공급과 가격이 반비례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한국 부동산은 꼭 그렇지 않다.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과 부동산 가격에 상관 관계를 발견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림 4]에서 보듯이 실제로 입주 물량이 적어도 집값이 하락할 때(2013~2014년)도 있었고 입주 물량이 폭증하는데도 가격이 뛸 때(2017~2019년)도 있었다.

 

결론.

 

- 비싼 차에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면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주장만큼이나 부동산 과세를 늘리면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윤석열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

- 감세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주장을 하고 싶었던 것 같지만 벤틀리 자랑을 하는 순간 논리가 꼬였다.

- 부동산 정책은 일자리 창출로 접근하기보다는 투기 규제와 집값 안정이 최우선 과제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역대급 세수 펑크에 부자 감세로 나라를 거덜내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 할 말은 아니었다.

IP : 106.101.xxx.20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1.16 6:52 PM (86.148.xxx.179)

    서울대 고시9수 검사 0.7 대통령 수준 처참하다는건 알겠습니다
    이미 작정한 부자 감세를 인과관계없이 갖다부치는거
    비싼거 만들때 노동력이 들어가니 감세@@@ ….실업율과 감세라는 두 사항을 꿰맞추는데
    원글 현대차예처럼 자문을 한번이라도 받으면 상관관계가 아니라고 알았겠지만
    상관없이 그저 지 하고싶은 말만 빽!,,,내뱉음

  • 2. ㅇㅇ
    '24.1.16 6:56 PM (211.241.xxx.231)

    이미 처참하게 깨진 낙수효과를 미천한 지 경험으로 지껄여대는 돼지새끼.

  • 3. ...
    '24.1.16 7:09 PM (221.168.xxx.71) - 삭제된댓글

    이명박근혜 정부때 낙수욕과 볼거라고 더들더만...? 뭐가 있었는데..
    지들이 끼리끼리 챙겨 먹느라 바쁘더만...?..

  • 4. 그냥
    '24.1.16 7:16 PM (115.132.xxx.31)

    국민을 개돼지로 보니 그냥 마무말 대잔치

  • 5. ..
    '24.1.16 7:23 PM (203.211.xxx.145)

    저런자가 대통령이라니ㅉㅉ

  • 6. ....
    '24.1.16 7:56 PM (223.62.xxx.186)

    수준 참...

  • 7. 원글님
    '24.1.17 2:56 AM (14.138.xxx.76)

    윤보다 비교 안되게 원글님이 지적 수준이 월등히 높으세요 ㅠ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2308 10년 운동하던 아이가 접으려고 합니다 19 ㄴㄴ 2024/05/13 5,542
1582307 우체국에 택배 예약 하면요 5 모모 2024/05/13 812
1582306 성당 사무보는 일이요 15 ㅇㅇ 2024/05/13 4,350
1582305 범죄도시4 실제사건, 당신이 몰랐던 10가지 사실 4 ㅇㅇ 2024/05/13 2,119
1582304 유통기한 지난 샤워필터 ㅎㅎ 2024/05/13 385
1582303 자음만 써서 모르겠어요. 광진구 ㅈㅍ 병원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 2024/05/13 1,368
1582302 타이어 수리하다 이것저것 알게됬어요 4 차수리 2024/05/13 1,411
1582301 현우진 200억 벌어서 120억 세금 낸대요. 74 ... 2024/05/13 26,292
1582300 남편이 이혼원하나 집명의자인 부인이 돈 안줘서 이혼 못함 11 명의 2024/05/13 3,619
1582299 친한친구 단톡방 손녀사진 14 아우 2024/05/13 5,495
1582298 어머니날과 남편의 절친 24 ... 2024/05/13 3,832
1582297 급발진말이에요 11 ㅇㅇ 2024/05/13 1,424
1582296 '명품백 폭로' 최재영 목사 검찰 출석…작심한 듯 날린 일침 .. 14 ㅇㅇㅇ 2024/05/13 2,875
1582295 부모님도 자식도 다 말을 안들어..ㅠㅠ 7 .. 2024/05/13 2,409
1582294 남을 위해 살지말고 내 인생울 살으라는 말 6 .. 2024/05/13 2,394
1582293 늘 싸우던 자매였는데.. 13 .... 2024/05/13 3,538
1582292 해운대 요즘 밤에 춥나요 3 날씨 2024/05/13 654
1582291 급)유통기한 12년 지난 요리당. 어쩌죠? 18 먹어말어 2024/05/13 3,609
1582290 군고구마가 많은데 얼려도 되나요? 5 ... 2024/05/13 1,065
1582289 사과주스 알러지 - 반품 문제 8 고민 2024/05/13 807
1582288 아이들이 스무살 되기전까지가 좋았네요 10 인생여행 2024/05/13 4,405
1582287 지춘희 님이요 6 궁금 2024/05/13 3,911
1582286 무릅관절염에 자가골수 줄기세포 치료 어떤가요? 3 무릎관절염 2024/05/13 1,488
1582285 로스쿨에 가야만 변호사될 수 있는거.. 4 ㅇㅇ 2024/05/13 1,805
1582284 이삿짐센터 직원이 가서 쉬고오라고 하는데요. ㅎ 13 이사 2024/05/13 4,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