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직장인들 저금

10퍼센트 조회수 : 3,533
작성일 : 2024-01-16 11:27:06

20대 직장인이고 졸업한 지 3년 쯤 됐고요

직장은 스타트업 업체

부족함없이 자랐고

월급타면 보통 어느정도 저금을 해야할까요

90프로 저금해서 20대에 1억 만들라고 하면 무리일까요

 

 

IP : 118.235.xxx.20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억 만들기
    '24.1.16 11:28 AM (121.134.xxx.136)

    요즘 트랜드라 다들 모웁니다.

  • 2. 가을은
    '24.1.16 11:30 AM (14.32.xxx.34) - 삭제된댓글

    저희 애도 20대인데
    입사 3년 됐는데 1억 만들긴 했어요
    집에서 다니고
    큰 돈 들어가는 건 부모가 사주고
    그러면 가능하더라구요

  • 3.
    '24.1.16 11:30 AM (118.235.xxx.168) - 삭제된댓글

    그런 것도 엄마가 안내해주는군요

  • 4. como
    '24.1.16 11:31 AM (182.230.xxx.93)

    집서 어느정도 보태줘야 1억 모아지죠...

  • 5. 남잔지여잔지
    '24.1.16 11:32 AM (223.38.xxx.99)

    월급 90퍼 저금이면 월급여 천이면 100만원으로, 월 400이면 40만원으로 생활하란건데
    의식주는 원글이 제공하는거죠?
    무엇보다 성인인데 뭘 만들라마란지 모르겠네요

  • 6. 대졸
    '24.1.16 11:33 AM (198.90.xxx.30)

    90프로 저금해서 20대에 1억 만들면 취미생활, 여행 이런건 부모님이 다 대주나요?

  • 7. 짠돌이
    '24.1.16 11:37 AM (121.134.xxx.136)

    1년차 신입. 독립 안했구요. 집 앞에 직장, 취미는 아파트 커뮤니티 헬수, 차 없고요, 독립이 목적이라 4천 모았대요

  • 8.
    '24.1.16 11:37 AM (14.38.xxx.186) - 삭제된댓글

    50빼고 전액 저긍
    부족분 카드 주고
    목돈 만들고 있어요
    돈이 모이니까 신기해 하고
    덜쓰네요

  • 9. ...
    '24.1.16 11:38 AM (124.50.xxx.217) - 삭제된댓글

    20대 딸 5년 직장 생활하여 지금까지 2억 넘게 모았대요.
    물론 집에서 직장 다니니 가능한 금액이었겠죠.
    본인 취미생활, 1년에 한번 해외여행, 가족들 행사에 돈 쓴 것 제외하곤 다 모았더라구요.

  • 10. . .
    '24.1.16 11:38 AM (222.237.xxx.106)

    월급은 다 저금하고 용돈 받아서 생활해요. 어차피 나중에 유산 받으면 세금으로 뺏기는데요.

  • 11.
    '24.1.16 11:39 AM (14.38.xxx.186) - 삭제된댓글

    50빼고 전액 저긍
    부족분 카드 주고
    목돈 만들고 있어요
    돈이 모이니까 신기해 하고
    덜쓰네요
    성취감을 맛보게 하는 것이
    중요하네요
    요즈음 주변 보니
    다들 그렇게 하네요

  • 12.
    '24.1.16 11:39 AM (39.117.xxx.171)

    어른인데 알아서 하겠죠
    이래라저래라 90프로 저축해라..라니 하지마세요

  • 13.
    '24.1.16 11:41 AM (14.38.xxx.186)

    50빼고 전액 저긍
    부족분 카드 주고
    목돈 만들고 있어요
    돈이 모이니까 신기해 하고 덜쓰네요
    성취감을 맛보게 하는 것이 중요하네요
    ㅡ부모의 역할이라고봅니다
    요즈음 주변 보니 다들 그렇게 하네요

  • 14. 월급
    '24.1.16 11:43 AM (14.32.xxx.215)

    다 모으게하고
    부모가 다 지원해줘야죠

  • 15.
    '24.1.16 11:44 AM (221.145.xxx.192)

    요즘은 아이들끼리 1억 만들기까지 각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는 자료 돌려 보고 그럽니다.
    월급에 따라 다른데 서울에 있는 회사에 집에서 다니면 보통 3년에서 5년 안에 1억 만들려고 노력하더군요

  • 16. ㅇㅇ
    '24.1.16 11:50 AM (115.164.xxx.125)

    집에서 직장 다니면 얼추 가능하지 않을까요?
    이백오십 겨우월급 받으면서 서울에서 방세내가며 2년만에
    3천모았다고 하는 아이보니 너무 고맙고 그동안 그거 모은다고 얼마나 알뜰살뜰 고생했을까
    생각하니 눈물이 핑돌더라고요.
    요즘 엠지세대 아이들 일단 1억 모으는게 꿈인거 같아요.

  • 17.
    '24.1.16 11:54 AM (58.236.xxx.72)

    수입 90프로 저금해서 1억 만들기도
    결국 부모가 해줘야하나봐요
    취업을 했으면 정신적인 독립을 할생각이 먼저다.

  • 18. 다큰
    '24.1.16 11:55 AM (58.29.xxx.185)

    자식이라도 인생경험이 없으니 먼저 살아본 부모가 조언을 해줄 수도 있죠
    왜그리 고깝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지?

  • 19. ㄴㄴㄴ
    '24.1.16 11:56 AM (118.235.xxx.48) - 삭제된댓글

    그만 간섭하시구랴

  • 20.
    '24.1.16 12:07 PM (14.38.xxx.186)

    간섭이 아니지요
    티끌모아태산의 길을 알려주고
    나머지는 헤쳐나가게 해야하지요

  • 21. 조언
    '24.1.16 12:14 PM (58.232.xxx.4) - 삭제된댓글

    82에서는 성인 자녀에 대한 관심이나 조언을 간섭 또는 과잉보호로 폄하하시는데요, 먼저 살아본 경험을 나누어 자녀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의견을 나누는 것은 좋다고 생각해요.
    자녀가 성인이 되는 순간 서로 외면하고 살 건 아니잖아요.

  • 22. ...
    '24.1.16 12:28 PM (61.253.xxx.240)

    연봉에 따라서 다른거 아닌지..
    연봉조건이 빠진채 20대에 1억만들기 ..이렇게만 하면 댓글이 천차만별일거라

  • 23. ㅇㅇ
    '24.1.16 12:58 PM (118.235.xxx.220) - 삭제된댓글

    올가미 시모 장모들 많네요

  • 24. 무슨
    '24.1.16 1:22 PM (117.111.xxx.59)

    올가미 시모장모라니.
    윗님은 시모장모될 일 없으니 신경 끄시죠

  • 25.
    '24.1.16 5:31 PM (118.235.xxx.194) - 삭제된댓글

    할머니들 옹심 장난 아니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5833 저녁 몇시 이후부터 금식하시나요? 6 ... 2024/06/06 1,513
1585832 내일 애들 학교 가고 남편들 출근 하시죠? 19 맞나 2024/06/06 4,278
1585831 엄마랑 방문한 식당에서 서비스 메뉴를 준다고 44 .. 2024/06/06 6,536
1585830 직장 임원이 험담& 나쁜 소문냈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7 99 2024/06/06 1,571
1585829 우석이는 슈스가 된듯요 12 푸른당 2024/06/06 4,003
1585828 비스포크직화오븐 살까요?오브제광파오븐 살까요? 9 .... 2024/06/06 1,193
1585827 경차모는 여성들중 특이한 경우 54 가지 2024/06/06 12,096
1585826 단톡방에 끝까지 답을 안하는 사람 22 질문 2024/06/06 4,462
1585825 미세먼지만큼 몸에 해롭다는 오존 2 윤수 2024/06/06 1,544
1585824 궁금합니다 1 부동산 2024/06/06 557
1585823 남편의 선배에게 본인소개조언 7 ㄷ.ㄷ 2024/06/06 1,543
1585822 히어로는 아닙니다..그레이스 1 2024/06/06 2,368
1585821 설탕이나 당분없이 우엉조림 할수있나요 7 2024/06/06 1,531
1585820 반야심경 2 ,, 2024/06/06 1,429
1585819 강아지 털갈이 관련 질문해요(feat.퍼미네이터) 5 .. 2024/06/06 589
1585818 기본 김밥 세줄에 만원이 넘으니... 18 2024/06/06 4,903
1585817 대북전단 풍선 속에 달러를? 5 ... 2024/06/06 1,340
1585816 독서실 환불 원래 이런가요? 2 ... 2024/06/06 1,356
1585815 시청 앞 지금 5 ㅇㅇ 2024/06/06 1,936
1585814 한우물 정수기라고 써보신 분 계실까요? 11 정수기 2024/06/06 2,155
1585813 혜리는 너무 시끄럽네요. 55 ... 2024/06/06 28,860
1585812 시주함과 불전함이 같은 건가요? 1 불교신자 2024/06/06 831
1585811 미국주식 니콜라 어떻게 보세요? 10-15년후? 7 혹시 2024/06/06 1,590
1585810 고지혈증 관리 13 2024/06/06 4,858
1585809 프라스틱박스 구멍뚫으려면? 4 드라이버 2024/06/0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