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개념은 배우면 바로 푸는데 조금만 꽈도 못풀면

ㅇㅇㅇ 조회수 : 1,878
작성일 : 2024-01-13 15:42:08

많이 지능이 떨어지는거죠? ㅜㅜ

 

제 얘기입니다

 

어린시절부터 수학에 대한 한이 있는데요 

어떤분이 초5부터 해보라해서 하고 있는데

중 3것도 개념 알면 바로 풀고

1~2차까지 곧잘 푸는데

조금 문제를 꼬면 안되네요 ㅜㅜ

 

이건 해결이 안되죠?

타고난 습득문제라

IP : 114.201.xxx.2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3 3:43 PM (125.178.xxx.184)

    개념을 정확히 모르는거 일수도 있고, 응용력이 부족한거 일수도 있고

  • 2. ....
    '24.1.13 3:45 PM (211.212.xxx.71) - 삭제된댓글

    수학머리가 없는 거죠. 수학 머리는 노력해도 안되는 것 같아요. 저도 수학과외 그렇게 했는데도 안되더라고요.

  • 3. 수포자
    '24.1.13 3:48 PM (211.250.xxx.112)

    초등때부터 평생 수포자였는데요, 아이 어릴때 가르치면서 느낀게 수학개념을 다룬 문장을 이해못했던 거였어요. 즉 수학언어를 모른거죠. 반면 언어랑 문과과목은 어렵지 않았거든요. 어른이 되서 아이 수학문제를 접하니 수학이란게 참 오묘하고 신묘하고 재미있는 과목이라는걸 알게되었어요. 저에게 맞는 방법으로 가르쳐주는 선생님이 계셨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싶어요.

  • 4. ㅔㅔ
    '24.1.13 3:55 PM (211.223.xxx.80)

    저도 수학을 정말 열심히 해보고 싶었는데,
    조그만 꽈 버리면 못 풀어서 지금까지 한?으로 남아있어요

  • 5. .....
    '24.1.13 4:01 PM (211.220.xxx.6)

    첫댓글님 말처럼
    개념공부 부족이거나 응용력 부족이죠.
    자기 생각에는 개념을 안다고 생각하죠. 그럼 간단한, 넣으면 바로 답 나오는 문제는 쉽게 풀죠.
    그걸 꼬우면 못푼다는 건 자기가 안다고 생각한 개념을 사실은 정확히 모른다는 것일 수도 있죠.
    개념을 정확히 아는데도 못푸는건 응용력 부족이죠.
    응용력 부족은 다양한 문제를 좀 많이 풀어보면 됩니다.
    풀면서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리뷰해야 하는데,
    주로 문제풀이에만 하고 끝내죠.
    그럼 다르게 꼬아내면 또 못풀죠.

  • 6. ...
    '24.1.13 4:03 PM (222.111.xxx.126)

    개념이 일시적으로 머릿속을 스치기만 한 거고 외우지 않은 게 아닐까요?
    간단히 말하면 반복학습으로 그 개념 정의를 확실하게 입력하고 문제를 많이 풀어서 그 개념이 어떤 식으로 변형되고 활용되는지 패턴을 알아내야 하는데, 그 부분이 부족한 거죠

    그냥 반복 학습이 부족한 것 뿐입니다
    고급수학을 하는 수학자도 아니고 중고등 수학에서 활용이 안되는 건 머리탓보다는 반복학습 부족이 원인인 경우가 훨씬 큽니다
    한가지 개념에 대한 활용 문제를 10개 푼 사람, 100개 푼 사람, 1000개 푼 사람의 차이라고나 할까요?

  • 7. ..
    '24.1.13 4:11 PM (121.131.xxx.116) - 삭제된댓글

    자랑은 아니고
    초등 때 새로운 단원 첫페이지만 봐도
    이 단원에서 뭘 배울지 알았어요.
    중학교 때는 그럭저럭 하긴 했어요.
    고등학교 첫학기 중간고사를 망친 후
    (너무 어려운 문제만 공부) 수학 노이로제
    미적분 첫시간 때도 그냥 이해
    학력고사 때 풀 수 있는 문제만 풀었던 것
    같고 간신히 반타작을 넘긴
    반면 국어 만점 영어 하나 틀림
    나중에 수학과외를 하면서 보니 저 자신의
    문제가 보이더라구요.
    수학이 이과적 성향도 필요하지만 기본 암기를
    하지 않고 건너뛰다 보면 수포자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
    제 경우 삼각함수를 제대로 암기하지 않아서
    그리고 고1때 배우는 부분이 약간 논리학 비슷해요.
    그 부분은 별로 중요하지 않은 듯 보이는데, 사실
    아주 중요했어요. 그 나머지는 기본 암기와 연산력
    있으면 포기까진 안해도 되요.
    미적분이란 것도 사실은 초6때 배우는 부피 구하는
    공식이거든요.
    원글님도 기본개념을 여러 각도로 궁리하다보면
    원리를 터득할 수 있을 수도
    아쉬운 게 고등학교 때 적절한 수학과외를 받았다면
    제 인생이 또 달라졌을 지도
    그 당시는 과외금지
    골치 아플 때 수학문제 푸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8. ..
    '24.1.13 4:17 PM (121.131.xxx.116) - 삭제된댓글

    적분은 부피 구하는 공식을 도출하는
    과정이고 미분은 그 공식을 어느 한 순간에
    접근시키는 방법.. 설명은 조금 어렵네요

  • 9. ...
    '24.1.13 4:22 PM (121.135.xxx.82)

    개념이해는 잘 한다면 응용문제를 스스로 많이 풀어봐야해요. 끙끙대고 풀고... 안풀려서 설명 듣고 이해한거 걑아도 다시 또 풀어버고
    응용을 패턴화해서 문제풀이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방식을 익힌다고 할까나...
    저는 예전에 밤에 혼자 수학문제 푸는게 취미였는데... 그렇게 머리싸매고 풀어내면 점점 응용을 잘해요. 제 아이한테도 수학은 아는문제가 시험에 나오는게 아니라 새로운게 나온다. 원래 모르는게 나오니까 당황하지말고 고민해보고 힌트가 뭘까 문제 열심히 읽어오라고 해요. 기본문제 계산실수하고 응용심화는 다 맞았던 사람입니다.

  • 10. ,,,
    '24.1.13 6:56 PM (118.235.xxx.157)

    응용이 안 되는건데 수학 머리 없는 애들 대부분이 그래요

  • 11. ㅇㅇ
    '24.1.13 7:44 PM (119.200.xxx.42)

    몰입해서 머리로 풀어보세요....일상생활중 가볍게 그러나 쉬지않고 생각을해보세요...한시간이든 하루든 일주일이든....단 꼼꼼하게 공부한 내용이어야해요...누가그렇게풀었다고해서 지나가다글남김

  • 12. 리슨
    '24.1.13 11:10 PM (119.196.xxx.94)

    지능이랑 연관지으며 비하하지 말고 그냥 푸세요. 그냥요.
    입시 다시 보실 거예요? 아니잖아요. 왜자꾸 본인 역량을 평가하려 드세요? 그거 하등 쓸모없고 뇌만 위축시킬 뿐입니다.(전직 수학강사예요.)
    아 내가 이런 부분이 부족하구나. 어떻게 개선할까? 개념을 이런 각도로 바라볼 수가 있는 거였네! 이렇게 당면한 문제 해결만 생각하시며 즐겁게 하세요 즐겁게~~
    현실은요, 중3 개념 알고 사는 사람들도 많지 않아요~ 얼마나 아름답고 좋은 취미생활이예요?^^ 자고로 즐기는 자는 못 이긴다 했습니다. 즐기십시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5027 수박 한통 사왔어요 7 수박 2024/06/03 2,445
1585026 강쥐.나이 7세에도 중성화해야 할지 13 ㅇㅇ 2024/06/03 1,297
1585025 결혼 할 때 상대방 집안 분위기를 보라고 하잖아요 40 /// 2024/06/03 11,079
1585024 네이버 후기 매우 좋은 미역 샀는데 하........ 17 ... 2024/06/03 4,456
1585023 엄마 사육사가 그리웠던 마눌 3 사랑 2024/06/03 2,373
1585022 벽에 에어컨 구멍 등 각종 구멍 메꾸미 써보자 2024/06/03 803
1585021 목을 돌리니 모래소리(?)같은게 나는데요;; 14 허거걱 2024/06/03 2,828
1585020 일 안하시는 정년퇴임예정자 2 정년퇴직 2024/06/03 2,286
1585019 번데기가 단백질 섭취에 좋은가요 12 2024/06/03 2,750
1585018 남보라 저 차 뽑았어요 자랑에 좋아요 7000개 쏟아진 까닭 8 ..,, 2024/06/03 6,999
1585017 왜 갑자기 김정숙 특검이야기가 나와요? 22 아니 2024/06/03 3,690
1585016 입대한 아들 책 보내달라네요 10 책읽기 2024/06/03 1,968
1585015 나귀사샌들 편한가요? 2 ll 2024/06/03 1,373
1585014 고2 6모 외국어도 보나요? 4 고2 2024/06/03 970
1585013 이런 화법을 쓰는 사람 17 ... 2024/06/03 5,741
1585012 애가 너무 자는데요 2 ㅁㅁㅁ 2024/06/03 2,017
1585011 왼쪽 얼굴이 눈에 띄게 오른쪽보다 처짐이 심해요 4 안면 2024/06/03 2,637
1585010 간장게장 저녁으로 외식했는데 속이 이상해요 11 게장 2024/06/03 3,063
1585009 부모님 유산 28 parkeo.. 2024/06/03 7,504
1585008 욕실(노인)리모델링 3 궁금 2024/06/03 1,634
1585007 드라마 첫사랑... 3 이야오 2024/06/03 1,337
1585006 버핏을 따라 투자한다면 4 ㅇㅈ 2024/06/03 1,152
1585005 엉덩이가 크면 팬티가 아래에 더 붙죠? 1 ㅇㅇ 2024/06/03 1,548
1585004 남아들 이차성징 오는 시기랑 키.. 궁금해요 12 궁금 2024/06/03 2,409
1585003 에르메스 잘아시는분 린디요 8 2024/06/03 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