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 10명 중 9명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오류 습관

ㅇㅇ 조회수 : 6,695
작성일 : 2023-12-22 03:41:32

임의적 추론 
어떤 일을 행할 때 내 의견을 묻지 않았다고 해서 나를 무시한다고 생각하는 것(특히 회사에서)

 

선택적 추상화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 내가 구축한 사고 간 여과 장치를 통해 아무리 다양한 전제가 있다라더라도 결국 내 뜻대로 생각하는 것

 

개인화 
내가 다가가자 사람들이 하고 있던 이야기를 멈추면 나에 대한 안 좋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나는 지방대에 영어 점수도 형편없으니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은 전부 내 잘못이야'라고 생각하는 것 

 

이분법적 사고
동물적 사고를 기반하여 발전된 인간적 사고가 너무 복잡해져 다시 원초적 사고의 성향을 보이는 경우 회색영역을 간과한 흑백논리로 세상 모든 일이 옳고 그름으로 나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과잉 일반화 
한 두개의 사건을 바탕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것. 그는 나를 좋아하지 않아, 때문에 '그는 예쁘고 어린 여자를 좋아해'라고 생각하는 것

 

파국화
항상 최악의 결과를 생각하는 것. 아직 시험을 보지도 않았는데 '나 이번 시험은 망한 거 같아'라고 생각하는 것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펴낸 '한국 국민의 건강형태와 정신적 습관(Mental Habits)의 현황과 정책대응' 보고서에선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이 인지적 오류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인지적 오류란 말 그대로 사물을 인지함에 있어 발생하는 습관적 정신 장애를 일컫는데, 장애라는 말이 조금 극단적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인지적 오류라는 정신 장애의 가장 큰 요점은 '근거 없이 멋대로 하는 사고'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 폭력보다 정신 폭력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선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할 수 있다. 극도로 치닫는 부정적인 사고는 마치 바이러스와 같아 개인은 물론 주변까지 불행하게 하며 사회 전반을 위기에 빠드리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https://visualstrap.tistory.com/205

IP : 59.17.xxx.17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어짜피
    '23.12.22 4:05 AM (216.147.xxx.78)

    어짜피 지능 1400-1600인 인공지능이 나중에 인간을 볼때는 고마고마할거에요. 인간의 아이큐는 고작 100에서 150 사이잖아요. 우리가 개를 보면 문을 못여는 존재이듯이, 간혹 똑똑한 개를 훈련시켜 문을 열게할 수 있을 지언정 왜 문을 열어야하는지는 개는 이해 못하죠.

    이런 분석으로 나는 10명중 1명인 뛰어난 사람이라고 착각하기 보다는 겸손하게 살고 남 존중하는 태도 가지는게 인간이 가진 한계를 인정하면서 최선을 다해 사는 가장 좋은 방법 아닐까 싶네요.

  • 2. 그런가봐요
    '23.12.22 6:32 AM (12.74.xxx.1)

    여기 댓글들 보면서 느꼈던거와 매우 흡사하네요

  • 3. ...
    '23.12.22 7:00 AM (61.253.xxx.240)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
    그런것같아요

    내용 좋네요

  • 4. 맞아요
    '23.12.22 7:22 AM (106.102.xxx.83)

    섣불리 판단하는 오류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원글님. 좋은 글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5. ...
    '23.12.22 7:45 AM (211.206.xxx.191)

    인지적ㅍ오류 글 감사합니다.
    빙산의 일각을 전체라고 생각하지 말자!

  • 6. as
    '23.12.22 8:26 AM (211.114.xxx.150)

    선택적추상화, 과잉일반화 이건 정말 흔히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 7. 인지적 오류
    '23.12.22 8:28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저장한 후 시간나면 읽어볼래요.
    감사합니다.

  • 8. 오..
    '23.12.22 8:29 AM (211.248.xxx.147)

    맞는말인듯

  • 9. 널리
    '23.12.22 8:48 AM (1.235.xxx.154)

    많이 알려주세요
    전국민 의식이 좀 올라가면 좋겠네요

  • 10. 보사연 정신적습관
    '23.12.22 8:52 AM (220.122.xxx.137)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펴낸 '한국 국민의 건강형태와 정신적 습관(Mental Habits)의 현황과 정책대응' 보고서에선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이 인지적 오류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인지적 오류란 말 그대로 사물을 인지함에 있어 발생하는 습관적 정신 장애를 일컫는데, 장애라는 말이 조금 극단적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습관'이란 것이 무서울 만큼 빠른 증식력을 가지고 있고 증식된 '습관'이 정신 장애로 발전하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인지적 오류라는 정신 장애의 가장 큰 요점은 '근거 없이 멋대로 하는 사고'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물리 폭력보다 정신 폭력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선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할 수 있다. 극도로 치닫는 부정적인 사고는 마치 바이러스와 같아 개인은 물론 주변까지 불행하게 하며 사회 전반을 위기에 빠드리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https://visualstrap.tistory.com/205

  • 11.
    '23.12.22 9:20 AM (219.249.xxx.181)

    감사해요.

  • 12. ...
    '23.12.22 9:51 AM (223.38.xxx.118)

    감사해요 저도
    이런 오류들에 빠지지 않았는지
    매일 한 번씩은 돌아봐야겠어요
    내 습관과 내 정신 상태를 건강하게 지키게

  • 13. ..
    '23.12.22 9:52 AM (223.62.xxx.75)

    여기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되는걸까요

  • 14. ..
    '23.12.22 9:55 AM (106.248.xxx.78)

    인지적 오류습관 좋은글 감사합니다.

  • 15. ㅇㅂㅇ
    '23.12.22 10:06 AM (182.215.xxx.32)

    그래도 그것이 살아남는데 필요해서
    생긴것일걸요...

  • 16. ..
    '23.12.22 1:25 PM (91.74.xxx.133)

    인지적 오류 습관 참고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3295 스벅 텀블러 뚜껑은 환경호르몬 안나오나요? 1 2023/12/22 1,347
1533294 남자 노인분들 과일 잘 안 깎아 드시나요.  22 .. 2023/12/22 3,633
1533293 그전까지는.몰랐는데 1 40대 직장.. 2023/12/22 865
1533292 "밥솥 팔다가 한솥밥" 화제의 주인공 인터뷰 .. 23 zzz 2023/12/22 5,058
1533291 내일 서산 황금산 가려는데요 5 서산 2023/12/22 1,118
1533290 우리 아파트 지하주차장 사람들이 차를 안뺌 ㅎㅎ 8 ㅇㅇ 2023/12/22 5,518
1533289 김다미 왜케 안이쁜가요 ㅜㅜ 74 ㅇㅇ 2023/12/22 22,829
1533288 전기장판 미리 틀어놓고 자는게 넘 좋네요 2 극한추위 2023/12/22 2,715
1533287 스노우보드탈때 헬멧 안쓰나요? 8 .... 2023/12/22 1,126
1533286 1인 자영업자의 1년 6 ㅇ-ㅇ 2023/12/22 4,190
1533285 50대가 배민 카카오택시도 못 할 나이인가요 28 추워 2023/12/22 5,804
1533284 수시는 고1부터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5 예비고 2023/12/22 1,321
1533283 안타티카 글은 왜 지운건가요. 14 ㅇㅇ 2023/12/22 3,450
1533282 연휴인데 남편때문에 집에 들어가기 싫어요. 9 ㅠㅠ 2023/12/22 4,597
1533281 여행갔다 식당 들어갔는데 12 우연히 2023/12/22 4,955
1533280 대한민국을 분열시키는 중국의 댓글공작 31 .... 2023/12/22 2,287
1533279 배째라네요 7 분실 2023/12/22 1,879
1533278 크리스마스에 뭐해 먹으면 좋을까요 16 ㅇㅇ 2023/12/22 4,274
1533277 28cm 궁중팬으로 라면을 끓였는데 맛있어요 4 ..... 2023/12/22 3,016
1533276 붕태보러 4 소년시대 2023/12/22 1,116
1533275 마일리지로 일등석 끊는 유튜버들은 대체 무슨 재주일까요 12 ㅇㅇ 2023/12/22 5,085
1533274 팥죽보관 2 .. 2023/12/22 1,599
1533273 얼마전 카대 논술 예비 2번... 18 111 2023/12/22 4,056
1533272 대학 좀 봐주세요 37 걱정 2023/12/22 4,261
1533271 일단 내일까지는 강추위 6 ㅇㅇ 2023/12/22 4,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