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75
저자는 공화당 집권기에 미국 내 자살률과 살인율이 전염병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공화당이 실업, 상대적 빈곤 등을 부추기는 정책을 펼쳐 미국민의 수치심과 좌절감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공화당 정권 때마다 전염병 수준의 폭력 치사 발생률이 발생하게 된 까닭은,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더 미국민의 수치심과 좌절감을 불러일으키는 ‘실업, 상대적 빈곤, 사회·경제적 지위의 추락’을 부추기고 방관하는 정책을 썼기 때문이다. 아이젠하워(공화당)와 카터(민주당)는 자기 당이 아닌 상대편 당의 경제정책을 썼기 때문에 통계의 예외가 될 수 있었다. “두 정당이 폭력 치사 발생률에서 180도 다른 결과를 가져왔으므로 백악관 주인으로 공화당을 뽑을 것이냐, 민주당을 뽑을 것이냐는 삶과 죽음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공화당은 선거 때마다 ‘경제를 살리고, 범죄를 줄이겠다’는 공약으로 표심을 잡아왔다. 하지만 ‘더 많이 가진’ 10%를 위한 공화당의 경제정책은, 범죄를 줄이는 것과 정확히 반대된다. 엄벌주의를 통해 범죄를 줄이겠다는 공화당의 구호는 중산층과 저소득층을 이간하고 유권자로 하여금 민주당을 범죄에 유화적인 당으로 인식시키려는 술책일 뿐, 범죄율을 높이 유지해야만 자신의 선거공약이 통하는 공화당으로서는 폭력 치사 발생률을 근절할 정치적 의지나 정책이 아예 없다.
신자유주의가 기승을 부리는 나라에서는 복지정책이 쇠퇴하고 실업자는 증가하는 반면, 전반적인 사회 안전망이 파괴된다. 복지정책의 쇠퇴는 사회 전반을 혼란과 무질서로 몰아넣는데, 이때 국가는 자신이 불러온 혼란과 무질서를 다잡기 위해 ‘범죄와의 전쟁’을 벌이게 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로익 바캉은 그 과정을 ‘경제국가 소멸→사회복지국가 약화→형벌국가 강화’라는 간략한 공식으로 정리하면서, 미국은 세계에 신자유주의뿐만 아니라 ‘범죄 엄벌주의’도 함께 수출했다고 주장한다. 미국발 신자유주의가 죄수의 급증을 낳고 교도소를 양산했다는 그의 주장은, 미국 우파의 여러 정책이 폭력 치사 발생률을 높인다는 제임스 길리건의 주요 논리를 빈틈없이 뒷받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