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재산 상위 1%

.. 조회수 : 6,211
작성일 : 2023-06-13 19:52:40
29억2천

상위5% 13억3500 이네요

기사 보니 가구당 순자산 기준이래요
IP : 106.101.xxx.90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23.6.13 7:54 PM (203.251.xxx.119)

    그 1% 부자들을 위해 가난한 사람들이 그렇게 종부세 타령했나보네요

  • 2.
    '23.6.13 7:57 PM (14.32.xxx.227)

    그 1%안에서 또 엄청나게 빈부격차가 나더라구요

  • 3. ...
    '23.6.13 8:05 PM (61.75.xxx.163) - 삭제된댓글

    조중동,종편, ㅆ방세등등...언론 기레기들이 정확한 정보를 보도 안하니..?
    모지른 서민들은 모르는거죠...? 개신교 신자인데 교회에 십일조 하시는분이..?
    나라에 세금 내는거에 쌍욕을...? 개인적으로 종교보다 나라가 먼저인걸 ..?..ㅉㅉ
    5%안에도 못드는 서민들이 초부자 세금 걱정을..?..ㅉㅉ

  • 4. . .
    '23.6.13 8:06 PM (59.14.xxx.159)

    공시지가일거에요.
    5프로에도 못 드네요.

  • 5. 안믿어
    '23.6.13 8:07 PM (112.167.xxx.92)

    그거 잘못된 조사라고 봐요 2020년 정부기관에서 조사한게 10억 이상 자가에 17억5천인가 더 여유가 있을때가 상위10%라고 조사됐던데 이게 현실성있음

    경기도에 농지며 대지 10억 넘는 사람 많구만 5%가 글케 흔할리가

  • 6. 진짜요
    '23.6.13 8:07 PM (121.162.xxx.59)

    5%가 왜 낮을까 생각하니
    2-30대 가구나 7-80대 가구들 평균치가 낮아서 그런가보네요
    4-50대는 20억은 있어야 상위에 들거 같아요

  • 7. 말도안돼ㅠ
    '23.6.13 8:09 PM (112.152.xxx.66)

    나이 50에
    상위 5%인데
    이맇게 쪼들리고 백화점서 블라우스한장
    못사입는 처진데 ㅠㅠ

  • 8. ...
    '23.6.13 8:50 PM (223.38.xxx.81)

    국제비교에서는 부동산 가격은 의미 없음요.
    외부/외국에서 보기에는 내부에서 자전거래로 올려 놓은 거라서요.

  • 9. ..
    '23.6.13 8:51 PM (210.179.xxx.245)

    아닐거에요
    집값 비싼 동네 아닌데 저금액보단 많지만
    저보다 여유있는 사람 주변에 천지인데
    내가 5%이내라니 말도 안돼요

  • 10. 말도안되유
    '23.6.13 9:05 PM (121.166.xxx.239)

    상위5% 13억3500 이네요??????
    재산20억인데 제가 5프로보다 높다니
    제주변에 20억 수두룩해요

  • 11. 순자산이에요
    '23.6.13 9:09 PM (121.129.xxx.115)

    빚 제외. 공시지가에.
    30억 집 있어도 부채가 50%면 순자산 15억인거죠.

  • 12. ...
    '23.6.13 9:11 PM (220.118.xxx.37)

    사실 체감하는 평균에 더 가까운 것은 국민소득보다는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이다. 2021년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4인)의 월평균소득은 700만원 남짓, 연간으로 계산하면 8400만원가량이니, 1인당 국민소득으로 단순 계산한 값의 절반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2인 가구 기준으로 보면, 연간 5400만원 정도라 사정이 조금 나아지기는 한다. 단순 평균값과의 차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내친김에 한국 가계의 평균 부채가 연간 소득의 약 95%라는 데이터와 주거용 부동산이 전체 자산의 4분의 3 정도 된다는 데이터를 결합해 도시근로자 4인 가구의 평균적인 모습을 그려보자. 예의 ‘베타 비율’로 계산한 재산 총액은 5억8000만원가량이고 그중에서 4분의 3인 4억3000만원 정도가 주거용 부동산에 쓰이며, 약 8000만원의 가계부채가 모두 주택 구입이나 전세를 얻기 위한 대출이라 가정해도 이를 합쳐 5억원 약간 넘는 부동산을 소유하거나 임차해 살고 있는 셈이다. 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과도 대체로 비슷한 수준이니 비교적 현실감 있는 계산일 것이다. 이 지루하지만 나름 극적인 계산의 교훈은 무엇인가?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306050300105?fbclid=IwAR12FaAKw...

  • 13.
    '23.6.13 9:20 PM (106.101.xxx.226)

    인터넷 뻥튀기가 사람들 다버려놨네 ~~

    평균 기사나 댓글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이 나라는 눈이 너무들 높아요 전부

    평균이면 저 하류층 취급이고 불행한 나라

    상위 10프로 이상을 평균이라 착각하고
    그러다보니 대다수가 불행한 나라

  • 14. 맞을거에요.
    '23.6.13 9:51 PM (121.168.xxx.246)

    20대~90대 많으면 100세까지 가구당이잖아요.
    혼자사는 가구도 많고
    방금 결혼한 가구들도 많고.

    여기 주 가입자들이 50대 전후.
    가장 돈 많을시기고. 여기가 처음 음식, 그릇 보러 모인 곳이라 일반적인 곳보다 소득이 높은거 같아요.

    대한민국 모든 가구수를 놓고보면 맞습니다.

  • 15.
    '23.6.13 9:54 PM (14.32.xxx.227)

    통계가 그렇다는데 내 주변은 안그렇다며 잘못됐다는 사람들이 꼭 있네요
    내 주변이 전체인구의 몇프로나 된다고

  • 16. ...
    '23.6.13 10:01 PM (119.71.xxx.84)

    부동산의 경우 공시지가니까
    실거래 가격으로 환산해보면
    금액이 훨씬 높아집니다.

  • 17. ㅇㅇ
    '23.6.13 10:24 PM (187.190.xxx.244) - 삭제된댓글

    1플로 약간 안되는 부동산. 현금있는데 전 종부세걱정 크게 안했거든요. 몇백수준이었던거같은데 기억안날만큼인데... 작년에 그난리가 우습긴 하네요

  • 18. To저
    '23.6.14 1:25 PM (112.152.xxx.59)

    전에도 비슷한글올라왔는데 아니라고ㅋㅋ 통계도 무시하고ㅠ 주변에부자많다고ㅠ 본인미터로ㅠ
    공시지가아니고 시세에 순자산이고요
    빚도많고 하니까요
    1프로도 50만. 군단위입니다
    그럼적은수는아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6243 누가 버린 꽃을 주고가네요 3 2023/06/14 2,314
1476242 서울서 세종시까지 직행버스가 3 유리병 2023/06/14 1,219
1476241 파마가격... 7 ..... 2023/06/14 2,386
1476240 누가 최고일까요? 3 2023/06/14 962
1476239 부모의 삶의 경험이 고대로 자녀에게 7 ㅇㅇ 2023/06/14 2,960
1476238 에어랩 색상 골라주세요~ 6 ... 2023/06/14 1,002
1476237 [펌] "이젠 야근해도 걱정 없네요"…맞벌이 .. 23 zzz 2023/06/14 5,081
1476236 부당한 070요금청구 2 억울 2023/06/14 686
1476235 전업인데 바쁘다는 글 보면 하는일을 정말 세세하게 적더라구요 40 ㅇㅇ 2023/06/14 6,512
1476234 결국 소금으로 이동관이 묻히는군요. 7 이럴줄알았어.. 2023/06/14 1,905
1476233 서울국제도서전 ‘얼굴’에 ‘블랙리스트 가담’ 소설가 오정희 (f.. 4 ... 2023/06/14 1,165
1476232 주민센터에 운동 강좌 개설해서 운영해보신분 계신가요? 5 -- 2023/06/14 1,178
1476231 공무원자녀 장학금수령 전수조사 4 ㄴㄱ 2023/06/14 2,378
1476230 보통 오리털 이불 얼마나 쓰나요? 3 유리병 2023/06/14 882
1476229 농협 계약직 취직이 고졸도 가능한건가요? 8 ..... 2023/06/14 2,377
1476228 아빠 별세후 소액?출금 해버렸는데 어쩌죠 9 땅지맘 2023/06/14 4,345
1476227 유툽에서 나혼자산다 김대호 아나운서 편 보는데요 6 별개다궁금 2023/06/14 3,235
1476226 유방암 이면 난소 절제 ? 10 .. 2023/06/14 2,456
1476225 모델하우스 길거리 호객행위 효과가 있어요? 00 2023/06/14 779
1476224 소금은 82가 오히려 조용하군요 15 ... 2023/06/14 2,858
1476223 영어 한개만 봐주세요 2 .. 2023/06/14 581
1476222 제가 생각하는 백해무익한 게임 2 ㅇㅇ 2023/06/14 1,460
1476221 저는 워킹맘이면 지금처럼 살림 못해요 42 ... 2023/06/14 4,589
1476220 50대엔 어떤 안경테 많이 쓰세요? 18 고급진 2023/06/14 3,583
1476219 아이바오 출산장면 감동적이에요 6 ㅇㅇ 2023/06/14 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