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식 제공
소면국수 보낸 부모는 그냥 귀여울정도네요 ㅎㅎ
단어에 대한 오해로 생기는 해프닝도 많다. 한 교사는 “학생 알림장에 교과목 국, 수, 사, 과를 적어줬더니 다음 날 학부모가 아이한테 소면 국수와 과일 사과를 들려 보낸 일도 있었다”고 했다. 또 다른 교사는 “가정통신문에 ‘체험학습 중식 제공’이라는 안내 문구를 본 부모님이 ‘우리 애가 중국 음식을 싫어하는데 일방적으로 점심 메뉴를 결정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학교에 민원을 넣은 일이 있었다”며 “실제로 일어난 일들”이라고 했다.
1. ㆍ
'23.6.11 7:09 AM (14.44.xxx.94) - 삭제된댓글이런 일도
교사가 현충일에 대해 조사해오라고 숙제를 내주었는데
학부형이 아이에게 벌레잡는 날이라고 했다고2. .
'23.6.11 7:19 AM (153.134.xxx.11)국수사과는 아이가 띄어쓰기를 안 해서 오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충일은 충격이네요..
3. ㅇㅇ
'23.6.11 8:22 AM (211.193.xxx.69) - 삭제된댓글한자교육에서 벗어난 세대들의 폐해라고 생각되네요
한자를 교육을 받음으로써 우리가 쓰는 단어가 한자에서 비롯되어고
발음은 같지만 쓰이는 뜻은 여러가지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는데
한자를 쓸줄 안다 모른다 이건 나중의 문제이고
단어 뜻을 유추하는 데 이런 개념을 장착하는게 아주 아주 중요하거든요
근데 이걸 순우리말 교육 이런걸로 퉁치면서 한자교육 필요없다 이래버리니
문해력 문맹이 탄생하는거죠4. ㅇㅇ
'23.6.11 8:30 AM (211.193.xxx.69) - 삭제된댓글한자교육에서 벗어난 세대들의 폐해라고 생각되네요
한자를 교육을 받음으로써 우리가 쓰는 단어가 한자에서 비롯되어고
발음은 같지만 쓰이는 뜻은 여러가지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는데
한자를 쓸줄 안다 모른다 이건 나중의 문제이고
문맥상에서 단어 뜻을 유추하는 데 이런 개념을 장착하는게 아주 아주 중요하거든요
근데 이걸 순우리말 교육 이런걸로 퉁치면서 한자교육 필요없다 이래 버리니
문해력 문맹인이 탄생하는거죠
영어도 단어들이 라틴어에서 왔지만 그 어원이 글자에 그대로 보이니
일단 글만 읽고 쓸 줄 알면 단어 뜻 이해는 문제 없지만
우리말은 숨은 그림 혹은 없는 그림 찾기가 되어버려서 글을 읽고 쓸줄 안다고 뜻을 아는게 아닌 경우가 허다하죠
특히 전문적인 고급단어를 한자를 직접 가져와서 뜻풀이 까지 해야 이해가 되는 경우도 아주 많아요5. ㅇㅇ
'23.6.11 8:43 AM (211.193.xxx.69) - 삭제된댓글한자교육에서 벗어난 세대들의 폐해라고 생각되네요
한자를 쓸줄 안다 모른다 이건 나중의 문제인데 단지 한자가 어렵다는 이것에만 방점이 찍히는게 안타깝더라구요
한자 교육을 받음으로써 우리가 쓰는 많은 단어가 한자에서 비롯되었고
발음은 같지만 쓰이는 뜻은 여러가지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는데
문맥상에서 단어 뜻을 유추하는 데 이런 개념을 장착하는게 아주 아주 중요하거든요
근데 이걸 순우리말 교육 이런걸로 퉁치면서 한자교육 필요없다 이래 버리니
문해력 문맹인이 탄생하는거죠
영어도 단어들이 라틴어에서 왔지만 그 어원이 글자에 그대로 보이니
일단 글만 읽고 쓸 줄 알면 단어 뜻 이해는 문제 없지만
우리말은 숨은 그림 혹은 없는 그림 찾기가 되어버려서 글을 읽고 쓸줄 안다고 뜻을 아는게 아닌 경우가 허다하죠
특히 전문적인 고급단어를 한자를 직접 가져와서 뜻풀이 까지 해야 이해가 되는 경우도 아주 많아요6. ㅇㅇ
'23.6.11 8:44 AM (211.193.xxx.69)한자교육에서 벗어난 세대들의 폐해라고 생각되네요
한자를 쓸줄 안다 모른다 이건 나중의 문제인데 단지 한자가 어렵다는 이것에만 방점이 찍히는게 안타깝더라구요
한자 교육을 받음으로써 우리가 쓰는 많은 단어가 한자에서 비롯되었고
발음은 같지만 쓰이는 뜻은 여러가지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는데
문맥상에서 단어 뜻을 유추하는 데 이런 개념을 장착하는게 아주 아주 중요하거든요
근데 이걸 순우리말 교육 이런걸로 퉁치면서 한자교육 필요없다 이래 버리니
문해력 문맹인이 탄생하는거죠
영어도 단어들이 라틴어에서 왔지만 그 어원이 글자에 그대로 보이니
일단 글만 읽고 쓸 줄 알면 단어 뜻 이해는 문제 없지만
우리말은 숨은 그림 혹은 없는 그림 찾기가 되어버려서 글을 읽고 쓸줄 안다고 뜻을 아는게 아닌 경우가 허다하죠
특히 전문적인 고급단어들 같은 경우 한자를 직접 가져와서 뜻풀이 까지 해야 이해가 되는 경우도 아주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