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대생 군입대

38개월 조회수 : 3,523
작성일 : 2023-06-08 13:04:05
요즘 의대생들 졸업전에 현역으로 군입대 하거나 계획있는 경우가 많나요?
군의관이나 공보의 38개월 너무 길어서 요즘 의대생 70프로 정도가 현역입대 고려한다고 아침뉴스에 설문조사 결과 나오던데.. 현실이 정말 그런지.
IP : 211.234.xxx.110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울아들
    '23.6.8 1:04 PM (116.109.xxx.144) - 삭제된댓글

    부대도 그런 이유로 온 아이 있더라구요

  • 2. 아닐걸요
    '23.6.8 1:06 PM (211.245.xxx.178)

    남자들 군의관으로 가는거 잠깐 쉰다고 생각하던걸요.
    제 주변 지인들 자식들 보면 그래요.
    그거 의대 정원 늘리는거 밑밥 까는거지요. 군의관 모자르다고 또 기사 나오겠네요.ㅎㅎ
    면허따고 전문의 따면 장교로 가고 수련 기간 끊기면 주변에 민폐라고 대부분 늦게 가던걸요.

  • 3. ....
    '23.6.8 1:09 PM (211.179.xxx.191)

    고민이야 하겠죠.

    현실적으로는 동기들이랑 같이 움직이니 전문의 따고 가요.

    윗 댓글처럼 군의관때 쉬지 언제 쉬냐 그런 말도 있고요.

  • 4. ..
    '23.6.8 1:14 PM (211.208.xxx.199)

    고민은 하겠지만 일단 의사면허증 따는 졸업까지는
    웬만해서는 현역입대 안해요
    낙제를 여러번 한다든지 중대한 사유가 아닌한
    의대 공부를 중간에 쉬면 얼마나 데미지가 큰데요

  • 5. 분위기 많이
    '23.6.8 1:20 PM (223.39.xxx.20)

    바뀌었어요.
    재수에 삼수에 장수생이 더 많은 의대입니다.
    기본 들어오는데 몇년 까먹고
    유급없이 국시 전문의시험 합격하는데 11년
    한번 삐끗하면 저 11년이 12~15년 되는 애들도 많고
    다 끝났나 돈벌어야지 싶은데
    또 군대 3년 남아있음 끝이 없잖아요.
    요새 군대 기간 짧아지고
    하루종일 폰도 하고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졌잖아요.
    현역입대하는 애들 꽤 있어요

  • 6. ㅎㅁ
    '23.6.8 1:22 PM (210.217.xxx.103)

    요즘 현역 많이 감.
    저 긴 군대생활을 견딜 애들이 없음.

  • 7. ㅇㅇㅇ
    '23.6.8 1:25 PM (222.97.xxx.75) - 삭제된댓글

    졸업때 까지는 왠만해서는 안가요22
    동기들과 멀어지면 데미지 좀있는거 맞고
    원하는 전공 들어가는것도 좀 힘들죠
    그래서 낙제 때 가기도 하고
    인턴마치고 전공떨어지면 가고
    졸업하면 공보위로 가니까
    단지 짧게 다녀오기 위해 졸업전 일부러 현역?
    거의없습니다

  • 8. 왜 희생
    '23.6.8 1:26 PM (125.190.xxx.84)

    현역이 18갤로 줄면 당연히 의대생도 기간맞춰줘야지 변함얷이 39갤이 말이 되나요? 의대생은 인생 시간표가 다른가.
    군의관 월급도 사병 40받던 때나 많았지 그것도 현실화해야죠
    이 넘의 나라는 등록금 한푼 안 보태주면서 무조건 의대면 못잡아먹어 안달

  • 9. 울애
    '23.6.8 1:40 PM (203.142.xxx.241) - 삭제된댓글

    공보의 3년해야해서 현역이 낫겠다 싶기도해요

  • 10. ..
    '23.6.8 1:46 PM (106.101.xxx.169)

    일반 현역병은 18개월로 줄이고 월급도 많이 올렸잖아요
    의대생이랑 형평성이 안맞아요
    39개월씩이나 의무복역해야하는데요
    복역기간을 줄이던가 뭔가 현실화해야죠

  • 11. ..
    '23.6.8 2:19 PM (211.229.xxx.31)

    요즘은 분위기 달라졌어요
    제가 아는 의치대 아이들 현역 몇명 갔습니다

  • 12. ...
    '23.6.8 2:19 PM (118.235.xxx.113) - 삭제된댓글

    고민할뿐 현역으로 가는사람 별로 없어요
    대부분 군의관때 결혼하고 시간 여유있으니 여행다니고 즐기며 살던데요
    어제 유퀴즈보니 현역들 사고도많이 당하던데 군의관과 현역 형펴성 따지는분들 웃겨요
    군의관이 그런 사고 위험속에 근무하는것도 아니고 어제 나온 그분처럼 그런 군의관으로남아 의술 펼치는분들 몇이나 된다고

  • 13. hahaha
    '23.6.8 2:23 PM (125.132.xxx.228)

    현역18개월과 군의관39개월 단순비교는 좀 심하죠
    보통 공보의 군의관시절이 의대생들 꿀빠는 시절 아닌가요

  • 14. 뭔 꿀
    '23.6.8 2:47 PM (125.190.xxx.84)

    시골이나 산간오지 쳐박혀서 200받으면서 시간 죽이는대요. 거기다 감염병이라도 돌면 공보의 죽어나는대요. 과로사 몇명이나 했는지 모르시나
    36갤 때 39였음 18이면 20갤 수준으로라도 내려오는 게 상식이죠. 월급도 마찬가지.

  • 15. 읫분들께
    '23.6.8 2:50 PM (222.97.xxx.75) - 삭제된댓글

    1.공보위 오지에서 하면
    뒤에는 좀좋은곳에 발령났다가 재대
    2.꿀빠는시기라는게 그때서야 시간이되니
    연애도 취미도 할수있기에
    3.학부생때 현역 잘 안갑니다
    단지 18개월때문에 간다는건 거의없음

  • 16. 헐 38개월
    '23.6.8 3:45 PM (112.154.xxx.145) - 삭제된댓글

    너무 심하군요
    현역병과 같이 현실화해야겠어요

  • 17. 군대
    '23.6.8 3:57 PM (218.38.xxx.220)

    아들 생활관에도 전문의 딴 후임 들어왔다합니다.
    군의관은 넘 길어서.. 의무병으로 현역 들어와서 18개월 한다고..
    그런 사람들 많아졌데요.
    왜그런가? 했더니.. 군의관은 38개월이라니... 월급이 많아도 요즘 아이들 안가죠..
    빨리 끝내고 병원생활하는게 나으니까..

  • 18.
    '23.6.8 4:04 PM (58.120.xxx.31)

    주변에 많아요.
    조카, 아이 친구등.
    기간이 너무 차이나서.

  • 19. 조금 있으면
    '23.6.8 5:15 PM (106.102.xxx.12) - 삭제된댓글

    군의관들 부족해서
    의대생 더 늘려야한다는글 올라오겠네요.

  • 20. ……
    '23.6.8 5:23 PM (118.235.xxx.154)

    지방 보건소에 공보의 부족한 것도 문제인데요. 공보의 복무기간을 줄이면 안그래도 병의원 없는 시골 의료서비스는 어쩌나요? 건강보험 재정이든 세금 지출이든 늘어날텐데..

  • 21. 케로로
    '23.6.8 5:28 PM (116.125.xxx.25) - 삭제된댓글

    위에 댓글중 군인이 뭔 하루종일 폰을 하나요
    일과시간후에 폰 지급받아요 취침전에 폰 반납하구요

  • 22. 잘모르면서
    '23.6.8 5:56 PM (116.36.xxx.95)

    잘모르면서 댓글다시는분들 있네요.
    전문의 따면 현역병 못가요. 군의관 가거나 공보의 입니다.
    신검에서 보충역등급받거나 하면 공익은 갈수있겠지만요.

    군인 휴대폰쓸수있으나 일과시간후에만 허용되는데 하루종일 폰 한다고 쓴분도 있고...
    익명방이라 그러려니 하면서도 말도 안되는 댓글보니 좀 그렇네요.

  • 23. 하루종일
    '23.6.8 7:25 PM (218.234.xxx.95)

    폰 한다는 댓글 쓴 사람인데요.
    제 아들은 아직 군대안가고
    친구들한테 건성으로 들은거라 잘못 알았네요.
    낮이고 밤이고 톡와서 귀찮다고~
    그래서 폰 자유롭게 하는줄 알았어요.
    나머지 의대생 현역가는 분위기가 있다는건
    사실입니다.

  • 24. 그냥
    '23.6.9 7:55 AM (210.180.xxx.253)

    군의관만 39개월인거 이해가 안가요.

    국가에서 등록금 지원이라도 해줬으면 의무감으로 당연히 복무해야지요

    하지만 아무 지원도 없는데 의대 나왔다는 이유로 39개월 복무는 말도 안됩니다.

    1)여학생의 비중이 높아짐 2) 의전출신이 있음
    으로 인해 군의관 숫자가 엄청 모자란대요

    거기다 현역 입영하는 아이들도 많구요.저출산도 가세하고

    의무병을 많이 지원받을거라는 이야기도 있어요

    현역으로 간다는 뜻은 곧 6년 의대 졸업하기 전에 다녀온다는 뜻입니다.
    의사 면허 따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고 잡혀갑니다.

  • 25. 전문의
    '23.6.9 9:03 AM (218.38.xxx.220)

    아들 후임 29살 전문의 며칠전에 왔어요.의무병..
    그 사람은 전문의 땄기땜에 후반기교육 안받고, 투입..원래 의무병 4주후반기교육 있거든요.

    그리고 핸드폰은 저녁배식끝나고 받아서 9시까지 연락하고요..

  • 26. ......
    '23.6.9 9:32 AM (211.234.xxx.210)

    전문의따면 의무병포함 사병으로 갈수없어요.
    현재 병역법이 그래요.

    아마 윗글님이 정보를 잘못
    전달받았거나 했을듯해요.

  • 27. ..
    '23.6.13 9:18 AM (119.71.xxx.2)

    전문의가 아니고 의사 면허만 딴 일반의로 입대했을거예요.(전문의는 인턴. 레지던트 끝내야 전문의)
    의사면허만 따고 의대 졸업까지하고 일반의 현역병으로 입대는 가능합니다. 본과4학년 10월쯤 작성하게 되는 의무장교서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됩니다. 국시 끝나고 졸업하고 짧게 현역병 입대를 고려할 경우 의무장교서약서 작성을 안합니다.
    의무장교서약서란 인턴, 레지던트 수련을 받는 동안 군복무를 미뤄주는 대신 군의관으로 복무하겠다는 서약서 같은거라고 보면 됩니다.
    현역병 복무 기간이 짧아지고 처우 개선이 되다보니 요즘 의대생들은 카츄샤는 많이들 넣어보고 4급 공익판정 받은 경우는 의무장교서약서 안 쓰고 졸업 후 공익근무를 택하는 경우가 많고 예과 끝내고 현역병 입대도 꽤 하고 있어요.
    의대에 여학생 비율이 늘고 의전원으로 군필 입학생이 늘은데다가 기본적으로 군병력 가능 인원이 줄어서 공보의나 군의관을 할 수 있는 인원 자체가 많이 줄었어요.
    그런데 공개된 숫자를 보면 군의관 숫자는 몇년간 소폭이지만 증가하다보니 공보의 티오가 아주 적어서 예전 같으면 의대 졸업후 인턴전 입대를 하면 대부분 공보의로 갔던게 중위 일반의 군의관으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그리고 무엇보다 의대생들 현역병 입대를 고민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군복무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육군현역 18개월과 37개월 공보의, 38개월 군의관하곤 비교불가죠. 기초군사훈련 기간도 현역병 5주, 공익 3주, 공보의 5주, 군의관 장교훈련이라서 2개월. 공익은 3주 군사훈련이 끝나면 나머지 복무기간을 집에서 출퇴근합니다. 토일은 출근 없이 집에서 지낼 수 있고요. 4급 공익인데 공보의로 오지에서 37개월 근무하려고 하지 않죠.
    요즘 20대 아이들이라면 당연히 고민할만 하다고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4841 방문재활 치료사 어떻게 구하면 좋을지... 3 어머니 2023/06/09 805
1474840 홧병걸려 쓰러질 지경인데 무슨 병원 갈까요? 5 홧병 2023/06/09 2,941
1474839 넷플 세계테마기행ㅡ프랑스 6 그랬어 2023/06/09 3,668
1474838 미국은 도대체 서울대가 몇 개나 있는건가요 15 ㅇㅇ 2023/06/09 5,370
1474837 마산보호소 15마리의 강아지들의 구조 입양 임보 부탁드립니다.(.. 10 마산보호소안.. 2023/06/09 1,080
1474836 디지털피아노 1단소리 이웃집들릴까요 층간소음 2023/06/09 507
1474835 딸아이에게 이런 편지를 받았다면 어쩌시겠어요? 36 걱정 2023/06/09 19,596
1474834 10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ㅡ 정청래 배탈사고, 신장식의 운명.. 3 같이봅시다 .. 2023/06/09 1,585
1474833 이게 사실일까요? 6 허언증 2023/06/09 2,635
1474832 일하면서 중얼대는 앞자리 동료ㅠ 10 도래 2023/06/09 3,693
1474831 한강 라면 맛의 비밀 들으셨나요? 8 ㅇㅇ 2023/06/09 8,056
1474830 서울 원룸시세 20 자취생 2023/06/09 3,950
1474829 네일 기본케어만 받는다면 얼마만에 한번씩이 좋을까요? 4 2023/06/09 2,139
1474828 이럴 경우 고가의 수입 도마 아끼는게 나은가요? 10 ........ 2023/06/09 2,722
1474827 땀나는 운동을 1 2023/06/09 1,626
1474826 확실히 아침밥을 조금이라도 먹으니 오후 내내 공복감이 덜하네요 1 2023/06/09 3,208
1474825 지금 궁금한 이야기 y 피해자 넘 억울하네요... 13 2023/06/09 6,801
1474824 (투표) 믿고 보는 드라마작가는 누구인가요 45 인생역전 2023/06/09 3,320
1474823 저녁 안 먹기 2일차~ 3일차 3 .. 2023/06/09 2,767
1474822 라면이 원탑으로 맛있네요 26 ... 2023/06/09 6,025
1474821 건강검진 어디서하세요? 10 .. 2023/06/09 2,939
1474820 명동식당은 부끄럽습니다. 125 명동 2023/06/09 23,959
1474819 친척중 전화하면 전화를 안받아요 3 전화 2023/06/09 2,851
1474818 4년 전 이동관, 윤석열 후보 향해 "도덕성 기본인데 .. 1 도덕성? ㅎ.. 2023/06/09 1,338
1474817 외출복과 실내복을 같이 입는게 유행된지 꽤 됐어요 3 ㅇㅇ 2023/06/09 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