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감자요리할때 기름을 같이쓰면 gi지수가낮다네요

모모 조회수 : 2,674
작성일 : 2023-06-07 23:06:22
방송에서 의사가 하는얘기
분명히 들었는뎌
잘아시는분이 없네요
당뇨인이 피해야할 식재료
감자를 삶아먹지말고 감자전이나
감자튀김을 해먹으면
Gi지수가 낮아져서
당뇨인들도 가끔
부담없이 먹을수 있다고합니다
기름의 칼로리도 있겠지만
감자좋아하는데 못드시는분들
가끔드시라구요
IP : 222.239.xxx.5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23.6.7 11:14 PM (49.1.xxx.81)

    들었어요. 탄수화물을 기름기와 같이 먹거나
    식초 넣어 새콤하게 먹으면 혈당을 천천히 올린대요.

  • 2. ..
    '23.6.7 11:26 PM (211.208.xxx.199)

    어머나, 오래전에 연구 결과가 있었군요.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107203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같은 식재료를 사용해도 죽으로 만들거나 굽거나 찌면 GI가 높아졌다. 오히려 식용유를 사용해 튀긴 음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GI를 나타냈다.

    임 교수팀은 “튀김음식의 GI가 찐 음식보다 낮은 것은 튀길 때 사용하는 식용유의 기름(지방) 성분이 옥수수, 고구마 등의 전분의 분해를 늦추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튀김용 기름이 위(胃) 배출 시간(음식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지연시켜 혈당이 급히 오르는 것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튀김류의 간식을 오래 섭취하면 비만 등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므로 과다 섭취는 삼갈 것”을 당부했다.

  • 3. 맞아요.
    '23.6.7 11:30 PM (121.177.xxx.90) - 삭제된댓글

    그래서 밥 지을때도 올리브유 한숟갈 넣고 꼭 합니다.
    탄수화물이 기름을 만나면 혈당이 올라간대요

  • 4. ㅇㅇ
    '23.6.7 11:35 PM (113.10.xxx.90)

    그래서 밥 지을때도 올리브유 한숟갈 넣고 꼭 합니다.
    탄수화물이 기름을 만나면 혈당이 올라간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무슨 소리인가요? 혈당올리려고 기름 넣는거예요?

  • 5. 헐..
    '23.6.7 11:40 PM (211.250.xxx.112)

    그러면 채소찜보다 채소볶음이나 튀김이 당뇨에는 더 좋은거예요?

  • 6.
    '23.6.7 11:46 PM (211.216.xxx.107)

    몰랐던 사실 알고 갑니다 글 감사합니다

  • 7. 두유
    '23.6.7 11:50 PM (175.125.xxx.70) - 삭제된댓글

    감자같은 전분이 많은 채소 말고.. 녹색채소나 버섯같은 채소는 탄수화물이 적으니 꼭 볶아먹거나 튀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당뇨만 놓고 보면 그런데.. 감자가 기름이랑 만나면 영양면에서는 안좋다는 얘기도 들은 것 같거든요. 임산부에게 감자는 권하지만, 감자튀김은 통조림처럼 가능하면 먹지말라고 한다고 했었는데~~~

  • 8. 두유
    '23.6.7 11:51 PM (175.125.xxx.70)

    감자같은 전분이 많은 채소 말고.. 녹색채소나 버섯같은 채소는 탄수화물이 적으니 꼭 볶아먹거나 튀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당뇨만 놓고 보면 그런데.. 감자가 기름이랑 만나면 영양면에서는 안좋다는 얘기도 들은 것 같거든요. 임산부에게 감자는 권하지만, 감자튀김은 통조림처럼 가능하면 먹지 않는게 좋다고 라디오에서 들었던 것 같아요~

  • 9. ...
    '23.6.7 11:52 PM (110.12.xxx.155)

    탄수화물이 기름을 만나면
    기름이 전분 분해를 늦춰
    혈당이 급히 올라가는 걸 막아주는 거죠.
    그러니까
    달지 않은 곡물빵을 올리브유랑 발사믹식초 소스에 찍어 먹는 건
    당뇨 합병증 막는 좋은 음식인 거죠.

  • 10. ㅁㅇㅁㅁ
    '23.6.7 11:59 PM (182.215.xxx.206)

    gi믿으면 안됩니다..
    매우 단편적이에요

    비교적 혈당을 덜 올리는 감자튀김이나 감자전을 선택하면 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조리에 사용된 기름 속 지방이 소화 속도를 늦춰 혈당을 천천히 올려 혈당지수가 낮게 나온다. 그런데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혈관질환 등 합병증 발병 위험이 커져 당뇨병 환자에게 좋지 않다.

    동일한 식품의 조리 방법을 택할 때는 혈당부하지수(GL)도 확인해야 한다. 혈당부하지수는 혈당지수를 1회 섭취량을 반영해 보정한 수치다.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이더라도 1회 섭취량이 적으면 혈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안됐다. 혈당지수에 섭취한 탄수화물 양을 곱한 뒤 100으로 나누면 된다. 감자의 혈당부하지수는 감자튀김 10, 감자전 9.8, 찐 감자 8.5, 감자구이 7.1이다. 감자를 먹을 때 혈당부하지수가 낮은 찐 감자나 감자구이를 선택하는 게 더 나은 이유다.

    https://naver.me/GQYEXEpm

  • 11. ...
    '23.6.8 12:02 AM (110.12.xxx.155)

    뭐든 적당히 조금 먹어야 해요.
    편법은 안 통해요.
    감자 같은 탄수화물을 고온에 오래 조리하면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물질이 나온대요
    그런 면에선 찐감자가 낫지만
    찐감자도 많이 먹으면 혈당이 올라가니까
    결국 조금 먹어야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4449 여름 긴 팔 셔츠 이쁜 것 있을까요?? 6 썸머 2023/06/08 1,835
1474448 전셋집이고 이사를 갈건데 저희가 단 커튼은 보통 어찌하나요? 20 로로 2023/06/08 5,283
1474447 영어 발음기호는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만 쓰나요?? 16 ㅁㅁ 2023/06/08 1,689
1474446 가끔 서울오면 느끼는 것이 22 흠.. 2023/06/08 5,510
1474445 112 신고글 궁금한거 2 ... 2023/06/08 785
1474444 초경전 배가 아픈가요? 6 궁금 2023/06/08 955
1474443 코오롱 광고 2 .... 2023/06/08 1,016
1474442 커피 마시면 속이 안 좋아지는건 왜 그럴까요 8 ... 2023/06/08 1,907
1474441 벼루 전각용품 등등 처분할 곳 2 이슬기 2023/06/08 746
1474440 이선희 말이 나와서 22 ... 2023/06/08 7,597
1474439 6월6일 301번버스(강남~동대문)에서 현금잃어버리신분 5 ㅇㅇ 2023/06/08 1,698
1474438 뉴스 보다가 우울증 올것 같아요 23 2023/06/08 6,054
1474437 우리 친정엄마의 속마음은 어떤걸까요 4 그르지마 2023/06/08 2,543
1474436 이동관 관련 기자들 사이 떠도는 말 16 ,, 2023/06/08 5,388
1474435 우울 기질 있는 아이는 유아기 때 기질이 드러나나요? 10 Dd 2023/06/08 2,887
1474434 또 씁니다 2 나이 먹어서.. 2023/06/08 854
1474433 요즘 구입한 맛있는 거.. 4 ㅇㅇ 2023/06/08 3,050
1474432 청소 도우미 서비스 추천 4 반짝 2023/06/08 1,356
1474431 딸이 미대생인데.. 17 ㅁㅁ 2023/06/08 6,008
1474430 친구한테 밥을 사주고싶긴한데 호구로 생각할까봐서요 29 ㄱㄱ 2023/06/08 5,164
1474429 범죄도시 일주일만에 6백만명, 천만영화 순위 6 ..... 2023/06/08 1,397
1474428 [버닝썬과 YG] 대한민국 범죄와 비리의 집약, 그 이면엔.. 3 ?!! 2023/06/08 867
1474427 의류나이불커버 종량제봉투 1 아지매아지매.. 2023/06/08 875
1474426 저녁 안 먹는분들 잠은 잘 주무세요? 6 ㅇㅇ 2023/06/08 2,340
1474425 치마 싫어하는분 계실까요 5 ㅇㅇ 2023/06/08 1,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