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국 사립대학 예술대들의 국립 예술대 한예종 견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국 사립대학 예술대들의 국립 예술대 한예종 견제를 위한 담합에 대해
일반 국민들의 객관적인 시각은 어떤가요?
제 생각에는 기존 기득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억지 같아요
학생들 동원해 시위하는 모습 바람직해보이지도 않구요
다 열어놓고 정정당당하게 실력으로 승부하면 되지 않을까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885887?sid=103
1. 글쎄요
'23.6.6 1:28 PM (14.32.xxx.215)한예종에 내 세금 들어가는게 더 싫은데요
2. ...
'23.6.6 1:31 PM (116.125.xxx.12)서울대있는데 구지 한예종이 있을 이유가 있나요?
3. . . . . .
'23.6.6 1:32 PM (115.92.xxx.154)한예종에 내 세금 들어가는게 더 싫은데
ㅡㅡㅡ 국립대도(예술대 포함) 세금 들어가요.
한예종만 석박사 과정이 없다는 게 더 놀랍네요. 사립대는 자기 학생들 뺏길까 봐 견제하는 듯.4. ...
'23.6.6 1:33 PM (211.36.xxx.15)한예종 뭔가 확실히 잘 모르겠어요. 요즘 뜨긴했는데
5. ㅇㅇ
'23.6.6 1:39 PM (221.150.xxx.98)별 볼일 없는 대학교에 석박사과정 만들면
아무도 관심이 없을겁니다
그러나......6. 한예종응원
'23.6.6 1:44 PM (223.33.xxx.106) - 삭제된댓글한예종에 석박과정 없다는게 더 이상한데요?!
소수의 학생수로 세계적인 성과 내는 한예종 같은 국립 예술대가 있다는게 얼마나 놀라운가요
특히 예술 분야는 실기와 이론이 겸비된 교수가 더더더 많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제가 아는 학생도 한예종 미슐원 학부 졸업후 유럽으로 미술사 석박 과정 공부하러 가 있어요
한예종 석박과정 당연히 있어야 연결성 있게 공부하여 훌륭한 지도자가 더 많이 배출될 수 있을것 같아요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일인으로서 한예종의 무궁한 발전을 격하게 응원합니다^^7. 한예종에
'23.6.6 1:45 PM (223.62.xxx.124)더 이상 무슨 혜택을 더 줘야할까요
국립대랑 한예종은 풀이 달라요8. 한예종응원
'23.6.6 1:48 PM (223.33.xxx.83)한예종에 석박과정 없다는게 더 이상한데요?!
소수의 학생수로 세계적인 성과 내는 한예종 같은 국립 예술대가 있다는게 얼마나 놀라운가요
특히 예술 분야는 실기와 이론이 겸비된 교수가 더더더 많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제가 아는 학생도 한예종 미술원 학부 졸업후 유럽으로 미술사 석박 과정 공부하러 가 있어요
한예종 석박과정 당연히 있어야 연결성 있게 공부하여 훌륭한 지도자가 더 많이 배출될 수 있을것 같아요
저런 시위 기존 기득권의 견고한 카르텔 지키려고 억지 쓰는걸로 보여요
계급장 떼고 정당하게 경쟁하면 될텐데,
학생수도 적은 한예종 견제하려고
순진한 학생들 동원해 저런 시위하러 국회 농성이나 하고
전혀 교육적이지 않아보여요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일인으로서 한예종의 무궁한 발전을 격하게 응원합니다^^9. 예전엔
'23.6.6 1:50 PM (223.62.xxx.172)정규대학이 아니라서 외국에서 석박도 못했었어요
한예종 교수에 대해서는 워낙 말이 많으니 생략...
82는 유독 한예종에 대해서 후하지만 저기에 세금 쏟아붓는거 저도 별로에요10. ...
'23.6.6 1:52 PM (1.234.xxx.165)정규대학이 아닌건 문체부소관이니 그렇죠.
학교는 반대할 수 있다 쳐요. 학생들은 반겨야 하는 거 아난가요? 좋은 기회가 생기는 건데?
저도 한예종 응원.11. ...
'23.6.6 1:54 PM (142.116.xxx.168) - 삭제된댓글저는 한예종 응원해요.
그런데 석박도 하겠다... 그거는 한예종 처음 만든 취지와 다른거 아닌가요?
정규 공부과정 거부하고 순수하게 실력을 추구하는 곳인데, 왜 정규과정을 하려고 하나요?
그러면 기존 대학으로 가서 석박 하면 되죠..
결국 제도권으로 인정받고 싶어하는거잖아요.12. ㅇㅇ
'23.6.6 1:57 PM (175.213.xxx.190)이래서 서울대 예종 둘다 붙음 당 연히 서울대 갔죠 종합대학도 아니고 실제 입시엔 그래요 예종 원해서 교수따라 가는 경우 제외하고 다 서울대 선호하죠 이제와서 석박사?
13. ----
'23.6.6 1:58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이건 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은데요...
예술 계열은 사실 별로 석박사가 필요 없어요. 실기능력은 미술 음악 무용 등 수상이나 실제 업적으로 이루는거고 창작활동 왕성해야할 시기에 석박을 하면 이론공부에 석박 학교에서 노동하느라 본인들 실기를 못하고 탁상공론인 박사를 하느라 실기능력이 극 하양화되죠... 이론공부할 사람들 빼고는 박사를 할필요가 없고 해외에도 저런 실기과목 박사 주는 학교는 정말 몇 안되는데 한국엔 수요에 비해 학교도 너무 많고 박사과정 이상이 쓸데없이 너무 많은데 사회에서 수요가 없어요. 다만 예체능 공부 하면 취업이 안되니 부자 애들이 많아서 애매해서 학력인플레...로 석사 이상을 그냥 많이 가는건데요 박사 이상이 필요한건 사실 대학교수로 가기 위해 필요한건데 지금 학교들이 다 없어지고 살아남지도 못하는 추세라 교수로 갈수 있는 자리가 거의 없어서 일반 대학에선 석박 과정들이 다 미달되는 상태인데요. 이론 공부하고 교수지망생들 배출하는 공급은 사실 서울대나 연대 이대 등만 해도 차고 넘치죠. 박사를 받아줄 곳도 없는데 박사과정 만드는게 쓸데가 있는지... 예체능 박사는 박사 만드는 학교 교수들 입장에서도 다들 회의적인데말이죠... 그냥 학위장사거든요. 국립대에서 얼마안되는 수요를 다 빨아들이면 사실 나머지 학교들은 연구 자체가 안되는 지금 현 상황이라 싫어하겠네요. 한예종에서 석박 만들려는것도 이해는 가고(뭐 학교도 비즈니스니 덩치 키우고 상장하고 싶은것처럼) 나머지 학교들 반대도 이해는 가네요.14. ----
'23.6.6 2:01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다른 직업이랑 달리 문과나 예체능은 취업하는것도 아니고 안정적인 직업이 별로 없어서 진짜 다들 교수를 하고 싶어해서 교수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엄청 엄청 많은데 교수 될수가 없어요 학교들이 다 없어지는데 지금도 바늘구멍인데 어떻게 교수를 해요. 그럼 박사 해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고 학원장사치처럼 쓸데없는 학위장사해서 갑을관계 더 공고히 쥐고 노예들 만든다는건데... 지금 서울대 연대 이대 박사해도 다 교수임용이 안되는데 문체부 예산 써서 한예종에서 박사 양산해서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데요? 한예종 교수들만 좋죠 노예로 한 십년 애들 잡고있을수 있으니까. 그 애들 교수로 만들수 있나요? 없을껄요. 그럼 몇년 노예활동하고 애들은 인상 낭비...그걸 문체부 예산 우리 세금으로?
15. ----
'23.6.6 2:03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다른 직업이랑 달리 문과나 예체능은 취업하는것도 아니고 안정적인 직업이 별로 없어서 진짜 다들 교수를 하고 싶어해서 교수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엄청 엄청 많은데 교수 될수가 없어요 학교들이 다 없어지는데 지금도 바늘구멍인데 어떻게 교수를 해요. 그럼 박사 해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고 학원장사치처럼 쓸데없는 학위장사해서 갑을관계 더 공고히 쥐고 노예들 만든다는건데... 지금 서울대 연대 이대 박사해도 다 교수임용이 안되는데 문체부 예산 써서 한예종에서 박사 양산해서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데요? 한예종 교수들만 좋죠 노예로 한 십년 애들 잡고있을수 있으니까. 그 애들 교수로 만들수 있나요? 없을껄요. 그럼 몇년 노예활동하고 애들은 인상 낭비...그걸 문체부 예산 우리 세금으로? 학위장사해서 한예종 교수들 장사 도와주는거자나요? 전 회의적. 저거 옹호하시는 분들은 그냥 예체능쪽 학위장사의 실상을 모르시는듯?
16. ----
'23.6.6 2:04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다른 직업이랑 달리 문과나 예체능은 취업하는것도 아니고 안정적인 직업이 별로 없어서 진짜 다들 교수를 하고 싶어해서 교수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엄청 엄청 많은데 교수 될수가 없어요 학교들이 다 없어지는데 지금도 바늘구멍인데 어떻게 교수를 해요. 그럼 박사 해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고 학원장사치처럼 쓸데없는 학위장사해서 갑을관계 더 공고히 쥐고 노예들 만든다는건데... 지금 서울대 연대 이대 박사해도 다 교수임용이 안되는데 문체부 예산 써서 한예종에서 박사 양산해서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데요? 한예종 교수들만 좋죠 노예로 한 십년 애들 잡고있을수 있으니까. 그 애들 교수로 만들수 있나요? 없을껄요. 그럼 몇년 노예활동하고 애들은 인상 낭비...그걸 문체부 예산 우리 세금으로? 학위장사해서 한예종 교수들 장사 도와주는거자나요? 전 회의적. 저거 옹호하시는 분들은 그냥 예체능쪽 학위장사의 실상을 모르시는듯? 문과 서울대 박사들도 다 백수들인데 예체능 박사들을 어따써요...
17. -----
'23.6.6 2:09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다른 직업이랑 달리 문과나 예체능은 취업하는것도 아니고 안정적인 직업이 별로 없어서 진짜 다들 교수를 하고 싶어해서 교수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엄청 엄청 많은데 교수 될수가 없어요 학교들이 다 없어지는데 지금도 바늘구멍인데 어떻게 교수를 해요. 그럼 박사 해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고 학원장사치처럼 쓸데없는 학위장사해서 갑을관계 더 공고히 쥐고 노예들 만든다는건데... 지금 서울대 연대 이대 박사해도 다 교수임용이 안되는데 문체부 예산 써서 한예종에서 박사 양산해서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데요? 한예종 교수들만 좋죠 노예로 한 십년 애들 잡고있을수 있으니까. 그 애들 교수로 만들수 있나요? 없을껄요. 그럼 몇년 노예활동하고 애들은 인상 낭비...그걸 문체부 예산 우리 세금으로? 학위장사해서 한예종 교수들 장사 도와주는거자나요? 전 회의적. 저거 옹호하시는 분들은 그냥 예체능쪽 학위장사의 실상을 모르시는듯? 문과 서울대 박사들도 다 백수들인데 예체능 박사들을 어따써요...사립처럼 미달 막으려고 유학생 받아야하는것도 아니고 세금 쓰는 학교면서 유학생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해외대학들도 박사 있는 학교들도 실기위주 대학은 거의 없어요. 미술쪽도 제가 아는걸로는 영국왕립학교 박사 주는 학교 딱 하나정도 있고 대부분 미술대학은 석사 이상 학위가 없고 박사는 철학박사 phd 수여 가능한 일반 대학에 설립되어있고 이론수업 가능한 일반대학들이에요. 실기위주 교과과정에서 박사를 어떻게 정의할건지 틀조차 논의가 없을껄요 한예종은. 음악도 제가 알기로 독일정도이고... 한예종이 줄리아드는 아니자나요? 줄리아드에 가는건 최고학교라 그런거지 ㅋㅋ 박사가 있어서 가는거 아니자나요...미국도 음악쪽 박사 있는 학교들은 종합대학들 아닌가요? 설립해도 저는 해외사례 보면 석사정도까지가 맞는것 같은데요.
18. 대학
'23.6.6 2:10 PM (223.33.xxx.135)일반대학은 교육부 산하에 있는 것이고
한예종은 문체부 산하인 국립예술대잖아요
카이스트, 경찰대, 사관학교… 등과 같이
교육부 산하가 아닌 해당 관련기관 산하인 특수대학이죠
기회는 평등해야 하고 건강하게 경쟁하며 상생할 생각울 해야
서로 윈윈하며 함께 발전할텐데,
억지로 누르고 막는다고 될일인가요?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가 요구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응해야 할텐데
기존 가득권만 지키려고 고집하며 새로운 물결은 무조건 거부하고 담합하여 힘으로 눌러대기만 하면 오래 못버티죠.
어차피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살아남고 도퇴되는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흐름 아닐까요?
실력으로 살아남아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겠죠
아무튼 전국 예술대들이 똘똘 뭉쳐 저 쬐끄만 한예종 견제하느라 몰려다니는 모습이 뭔가 이상해 보입니다19. ---
'23.6.6 2:12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다른 직업이랑 달리 문과나 예체능은 취업하는것도 아니고 안정적인 직업이 별로 없어서 진짜 다들 교수를 하고 싶어해서 교수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엄청 엄청 많은데 교수 될수가 없어요 학교들이 다 없어지는데 지금도 바늘구멍인데 어떻게 교수를 해요. 그럼 박사 해봤자 아무 쓰잘데기 없고 학원장사치처럼 쓸데없는 학위장사해서 갑을관계 더 공고히 쥐고 노예들 만든다는건데... 지금 서울대 연대 이대 박사해도 다 교수임용이 안되는데 문체부 예산 써서 한예종에서 박사 양산해서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데요? 한예종 교수들만 좋죠 노예로 한 십년 애들 잡고있을수 있으니까. 그 애들 교수로 만들수 있나요? 없을껄요. 그럼 몇년 노예활동하고 애들은 인상 낭비...그걸 문체부 예산 우리 세금으로? 학위장사해서 한예종 교수들 장사 도와주는거자나요? 전 회의적. 저거 옹호하시는 분들은 그냥 예체능쪽 학위장사의 실상을 모르시는듯? 문과 서울대 박사들도 다 백수들인데 예체능 박사들을 어따써요...사립처럼 미달 막으려고 유학생 받아야하는것도 아니고 세금 쓰는 학교면서 유학생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해외대학들도 박사 있는 학교들도 실기위주 대학은 거의 없어요. 미술쪽도 제가 아는걸로는 영국왕립학교 박사 주는 학교 딱 하나정도 있고 대부분 미술대학은 석사 이상 학위가 없고 박사는 철학박사 phd 수여 가능한 일반 대학에 설립되어있고 이론수업 가능한 일반대학들이에요. 실기위주 교과과정에서 박사를 어떻게 정의할건지 틀조차 논의가 없을껄요 한예종은. 음악도 제가 알기로 독일정도이고... 한예종이 줄리아드는 아니자나요? 줄리아드에 가는건 최고학교라 그런거지 ㅋㅋ 박사가 있어서 가는거 아니자나요...미국도 음악쪽 박사 있는 학교들은 종합대학들 아닌가요? 설립해도 저는 해외사례 보면 석사정도까지가 맞는것 같은데요. 한예종 교수들이 석박 원하는건 교육위주로 가지 않고 우리도 십년정도 갑질 할수있는 대학원생들을 가지고 싶다... 그런 맥락인듯. 이건 장점도 있지만 전체 생태계나 학생 입장 생각하면 부정적인 부분들도 분명히 많아서 제3자라면 대부분은 중립인게 맞는것 같은데 자기 이익 걸린거 아니면 저걸 옹호하는게 더 의도가 있는듯.
20. ---
'23.6.6 2:16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시간이 흐르면서 변화가 요구되고 눌러댄다? 그냥 추상적인 이야기로 아무말이나 하시는데요
의대정원, 소아과 산부인과 흉부외과에 애들 없는거 뭐 그런거랑 같은 맥락이죠.
아무튼 한예종이 석박 있다고해서 크게 위상이 달라질것도 없을것 같고요(미국으로 해외유학생이 몰리는건 미국에 기회가 많고 예술 중심지고 유명교수들이 있어서임 석박이 있어서가 아니라. 한국 영재가 미국이나 유럽으로 가지 아시아로 안가는것처럼) 그냥 교수들에게만 좋은거고. 석박이 한예종에 생긴다고 해서 국내 학생들에게 더 좋을것도 없고요 생태계에 도움이 되기는 커녕 지금 정부가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문 닫게하는 정책 쓰고있는데 뭐 그거의 일환이니 대학들에선 싫어하는게 뻔하고 그런거죠.
원글은 상황을 제대로 모르시는 분 같은데 뭘 그렇게 확신에 차서 주장하시는지 ㅋㅋ 그게 더 이상해보여요. 제3자 입장에서야 그냥 밥그릇 다툼으로 보이는데요21. ----
'23.6.6 2:23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실력으로 겨루면 되지 ... 라고 말씀하시는데
석박의 의미는 실력겨루기 ㅋㅋ 가 아니라
대학교수로 얼마나 많이 갈수 있냐에요.
대학으로 많이 꽂아주고 그 네트워킹이 되고 대학갈 실적을 많이 만들어낼수 있냐일텐데
대학에 지금 이미 서울대 연대 이대 미술은 홍대 카이스트 출신들로 포진되어 있을텐데 학생들도 한예종 박사를 해서 대학으로 가기 힘들꺼고요 별 의미가 없죠 사실. 그리고 박사 가는 길은 서울대 학부 후 미국 유학이(가장 강대국이므로 강대국의 최대 네트워크) 공식인데요... 기타대학에서 석박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별 의미가 없고 그냥 교수들이 대학원생 있는 삶을 누리고 싶은게 커요. 학부생은 계속 가르쳐야되니까 힘드니까.22. -----
'23.6.6 2:25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실력으로 겨루면 되지 ... 라고 말씀하시는데
석박의 의미는 실력겨루기 ㅋㅋ 가 아니라
대학교수로 얼마나 많이 갈수 있냐에요.
대학으로 많이 꽂아주고 그 네트워킹이 되고 대학갈 실적을 많이 만들어낼수 있냐일텐데
대학에 지금 이미 서울대 연대 이대 미술은 홍대 카이스트 출신들로 포진되어 있을텐데 학생들도 한예종 박사를 해서 대학으로 가기 힘들꺼고요 별 의미가 없죠 사실. 그리고 박사 가는 길은 서울대 학부 후 미국 유학이(가장 강대국이므로 강대국의 최대 네트워크) 공식인데요... 기타대학에서 석박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별 의미가 없고 그냥 교수들이 대학원생 있는 삶을 누리고 싶은게 커요. 학부생은 계속 가르쳐야되니까 힘드니까.
박사까지 키우려면 철박박사학위 주는 종합대학에서 그래도 박사 틀을 만드는게 더 좋아요.
그냥 실기만 계속 한다고 박사를 줄수있는게 아니라서. 학생들도 교수들도 박사급의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학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수있는지 학부때부터 교육을 다양하게 받고 여러 교수들이랑 협의를 하고 해야하거든요. 한예종은 교수들도 실기위주라 좀 어렵죠.23. ----
'23.6.6 2:25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실력으로 겨루면 되지 ... 라고 말씀하시는데
석박의 의미는 실력겨루기 ㅋㅋ 가 아니라
대학교수로 얼마나 많이 갈수 있냐에요.
대학으로 많이 꽂아주고 그 네트워킹이 되고 대학갈 실적을 많이 만들어낼수 있냐일텐데
대학에 지금 이미 서울대 연대 이대 미술은 홍대 카이스트 출신들로 포진되어 있을텐데 학생들도 한예종 박사를 해서 대학으로 가기 힘들꺼고요 별 의미가 없죠 사실. 그리고 박사 가는 길은 서울대 학부 후 미국 유학이(가장 강대국이므로 강대국의 최대 네트워크) 공식인데요... 기타대학에서 석박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별 의미가 없고 그냥 교수들이 대학원생 있는 삶을 누리고 싶은게 커요. 학부생은 계속 가르쳐야되니까 힘드니까.
박사까지 키우려면 철박박사학위 주는 종합대학에서 그래도 박사 틀을 만드는게 더 좋아요.
그냥 실기만 계속 한다고 박사를 줄수있는게 아니라서. 학생들도 교수들도 박사급의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학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수있는지 학부때부터 교육을 다양하게 받고 여러 교수들이랑 협의를 하고 해야하거든요. 한예종은 교수들도 실기위주라 좀 어렵죠. 박사급은 논문의 질이랑 논문편수가 많이 나와야하는데 저기는 실기학교자나요.24. ====
'23.6.6 2:26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실력으로 겨루면 되지 ... 라고 말씀하시는데
석박의 의미는 실력겨루기 ㅋㅋ 가 아니라
대학교수로 얼마나 많이 갈수 있냐에요.
대학으로 많이 꽂아주고 그 네트워킹이 되고 대학갈 실적을 많이 만들어낼수 있냐일텐데
대학에 지금 이미 서울대 연대 이대 미술은 홍대 카이스트 출신들로 포진되어 있을텐데 학생들도 한예종 박사를 해서 대학으로 가기 힘들꺼고요 별 의미가 없죠 사실. 그리고 박사 가는 길은 서울대 학부 후 미국 유학이(가장 강대국이므로 강대국의 최대 네트워크) 공식인데요... 기타대학에서 석박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별 의미가 없고 그냥 교수들이 대학원생 있는 삶을 누리고 싶은게 커요. 학부생은 계속 가르쳐야되니까 힘드니까.
박사까지 키우려면 철박박사학위 주는 종합대학에서 그래도 박사 틀을 만드는게 더 좋아요.
그냥 실기만 계속 한다고 박사를 줄수있는게 아니라서. 학생들도 교수들도 박사급의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학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수있는지 학부때부터 교육을 다양하게 받고 여러 교수들이랑 협의를 하고 해야하거든요. 한예종은 교수들도 실기위주라 좀 어렵죠. 박사급은 논문의 질이랑 논문편수가 많이 나와야하는데 저기는 실기학교자나요. 타학교는 매년 교수평가도 논문의 질이나 논문편수로 평가를 받을텐데 저기는 그렇지가 않을껄요.25. ----
'23.6.6 2:27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실력으로 겨루면 되지 ... 라고 말씀하시는데
석박의 의미는 실력겨루기 ㅋㅋ 가 아니라
대학교수로 얼마나 많이 갈수 있냐에요.
대학으로 많이 꽂아주고 그 네트워킹이 되고 대학갈 실적을 많이 만들어낼수 있냐일텐데
대학에 지금 이미 서울대 연대 이대 미술은 홍대 카이스트 출신들로 포진되어 있을텐데 학생들도 한예종 박사를 해서 대학으로 가기 힘들꺼고요 별 의미가 없죠 사실. 그리고 박사 가는 길은 서울대 학부 후 미국 유학이(가장 강대국이므로 강대국의 최대 네트워크) 공식인데요... 기타대학에서 석박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별 의미가 없고 그냥 교수들이 대학원생 있는 삶을 누리고 싶은게 커요. 학부생은 계속 가르쳐야되니까 힘드니까.
박사까지 키우려면 철박박사학위 주는 종합대학에서 그래도 박사 틀을 만드는게 더 좋아요.
그냥 실기만 계속 한다고 박사를 줄수있는게 아니라서. 학생들도 교수들도 박사급의 교육과정이 무엇이고 학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수있는지 학부때부터 교육을 다양하게 받고 여러 교수들이랑 협의를 하고 해야하거든요. 한예종은 교수들도 실기위주라 좀 어렵죠. 박사급은 논문의 질이랑 논문편수가 많이 나와야하는데 저기는 실기학교자나요. 타학교는 다 종합대들이니 타전공들 박사받은 교수들과 같이 평가를 받으니 매년 교수평가도 논문의 질이나 논문편수로 평가를 받을텐데 저기는 그렇지가 않을껄요.26. 석박사가 있는거
'23.6.6 2:34 PM (39.117.xxx.239)한예종에 석박 필요한 것 같은데요.
남자들은 군대가 자유롭지 않잖아요.
그거때문이라도 필요하지 않나요.
석박사를 교수되려고만 하나요.
경우에 따라선 자대출신 교수도 필요한거구요.27. ---
'23.6.6 2:39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아 참 그리고 실력으로 경쟁이라고 말씀하셨는데...
한예종은 세금으로 운영되는거고 사립은 자기들이 수익을 만들어서 운영해야 하는거니 실력으로 경쟁은 절대 아닌거죠.
기업을 한곳은 국가자원을 투입하고 하나는 지원을 안하면서 둘이 경쟁하면 그건 실력으로 경쟁하는게 아니니 저들이 반대를 하는거죠.
한예종 대학원 설립에 반대하는건 아닌데요, 기사랑 내용을 생각해보니 석사 정도는 학생들이 2-3년동안 학부실기과정을 심층적으로 더 연구하고 공부할수 있으니 뭐 가능한 이야기일것 같고요.
박사는 5-8년 정도 걸리는 과정인데
박사설립하면 실기위주 교수들이 아니라 논문쓰는 교수들을 임용해야 할거고
박사학위 성격을 어떻게 만들건지, 박사받은 인력이 졸업하고 뭘할수 있을지,
학교들이 사라져서 일자리가 없어져서 대학원 운영이 어려워지고 있는 현 환경에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
지금 교수들이 과연 박사지도를 할수있을지,
이게 예술계에 도움이 될런지
고민을 해야할것 같고요.
한예종은 종합대학 성격이 아니라 영재원 같은 개념으로 설립된걸로 알고있는데.
실제 나이 어린 분들이 조기 입학을 하기도 하고,
일반적인 종합대학 교육과정이랑 다르게 영재들 실기육성을 해주고 쓸데없는 학업내용을
줄이고 실기육성을 위한 과정으로 저는 알고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에 일반종합대학같은 과정을 신설하는게
학교 설립 원칙에 맞는것인지
아무튼 교육은 백년대계이니
면밀히 생각해봐야죠.
그냥 감정적으로 무슨 경쟁, 누르기 그런 생각은
안일하다고 봐요.
지금 한국 교육과 대학 자체가 다 위기이니까요.
크게 보면 나라가 위기이고.28. 음
'23.6.6 2:40 PM (207.148.xxx.172)경찰대 카이스트 한예종을 같이 묶었으니...
저런 학교들은 막대한 세금으로 지원되서
다른갈을 갈 경우 돈을 뱉는 경우도 았어요
한예종은 살기 위주 학교였고 영리목적 활동도 제한했었는데
그걸 풀고 다른 학교들 하는거 다하고 자원은 또 받겠다는거에요
한예종에서 실적을 내는 학과들은 정해져있어요
사실 저기에 세금이 굳이 들어가야 하는것도 의문입니다만
본레 설립취지와 맞지않게...
교수타령 하는건 지금 교수들이 물러날 시기가 슬슬 오나보군요29. ----
'23.6.6 2:41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한 학과에서 교수티오는 교수가 은퇴해야 나오니 정말 얼마 안되요.
한 5-10년에 티오가 한번 나오고요.
예체능 과정이 있는 서울 내 학교 중에서 나이와 전공이 맞아야 자리가 있는거니
예체능쪽은 서울대에서도 각 학번당 교수 되는 학생 숫자가 많으면 1-2명이에요.
지방대는 소멸 위기이니.
그러면 박사 졸업한 나머지는 백수거나 그냥 레슨하고 학원 하는거자나요. 학력만 인플레하고.
지금도 석박 너무 많아서 문제에요. 십년 전에도 학교 너무 많아 다 없애야 한다 한지가 언젠데요.30. ----
'23.6.6 2:43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한예종 졸업하면 다 예술가 될거같지만
대부분은 백수되거나 전공 못살려요...
자교에서 교수된다 하시는 분들은..... ㅋㅋ 교수자리가 얼마나 어려운지 별로 없는지
서울대 빼고 자교에서도 자교출신 선호 안하는지 모르시는듯.31. ----
'23.6.6 2:50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한예종 졸업하면 다 예술가 될거같지만
대부분은 백수되거나 전공 못살려요...
자교에서 교수된다 하시는 분들은..... ㅋㅋ 교수자리가 얼마나 어려운지 별로 없는지
서울대 빼고 자교에서도 자교출신 선호 안하는지 모르시는듯.
그리고 석박까지 생기려면...
지도가능한 인력도 필요하고
돈도 엄청 많이 필요하고
지금 자원도 교육중심인데
학교 자체가 교육중심에서 대학원중심, 연구중심 학교로
전환해야 한단 소리에요.
서울대는 연구중심 학교죠.
그렇담 향후 임용도 교육이 아니라 연구중심 연구자로 임용해야 할것이고
(현재 다 교육중심 교수들일테니)
앞으로 몇십년 그럴수밖에 없을텐데
그게 영재중심 학교에 좋을지,
그리고 국가자원을 서울대랑 둘이 서울에서 연구중심학교로 나누는데
서울대는 서울대니까 그냥 둔다해도
나머지 학교들은 의아할수밖에 없기도 하고
과연 영재들에게 좋은건지
학교 설립원칙과 맞는건지 좀 무계획적으로 보이긴 해요.32. 한예종예산보시면
'23.6.6 2:59 PM (116.84.xxx.3)깜짝놀라실껄요?
학생들도 그 비싼 기자재에 좋은 강사진 등등 경험하고 나니 눈이 눈썹위로
말도 안되는거요구하고 나라보조금이 자기들 활동비인줄 아는 학생이 계속 가속도 붙어서 생산되더라구요.
제 입장에선 또 다른 귀족학교라는 표현에 손들어 주고 싶습니다.33. ----
'23.6.6 3:00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위에 군대문제 말씀하셨지만
석박은 타교 많으니 서울대, 연대, 이대, 한양대, 홍대, 카이스트, 고대 등 옵션은 많죠. 꼭 자교로 가야하는거 아니니까.
한예종 교수들이 타학교랑 차별화가 되는것도 아니고 윗 학교들이랑 비슷해요.
그리고 한예종 입학 학생들은, 전공마다 다르긴 하지만 실기 잘하는데 성적이 안되는 학생들이 많은 경향이긴 했어서 박사까지 하는것이 적절한 인력풀인지는 전공마다 다를거에요.
그리고 석박 고민을 하는게, 아마도 음악쪽 말고는 영재원 비슷한 지금 구성이 투입되는 자원 세금만큼 졸업생들의 아웃풋이 안나오고 있어서 고민을 하는것일텐데 이건 한예종의 커리큘럼과 구조적인 다른 문제들도 고민을 같이 해야하는것일듯.34. ----
'23.6.6 3:02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그리고 위에 군대문제 말씀하셨지만
석박은 타교 많으니 서울대, 연대, 이대, 한양대, 홍대, 카이스트, 고대 등 옵션은 많죠. 꼭 자교로 가야하는거 아니니까.
한예종 교수들이 타학교랑 차별화가 되는것도 아니고 윗 학교들이랑 비슷해요.
그리고 한예종 입학 학생들은, 전공마다 다르긴 하지만 실기 잘하는데 성적이 안되는 학생들이 많은 경향이긴 했어서 박사까지 하는것이 적절한 인력풀인지는 전공마다 다를거에요.
그리고 석박 고민을 하는게, 아마도 음악쪽 말고는 영재원 비슷한 지금 구성이 투입되는 자원 세금만큼 졸업생들의 아웃풋이 안나오고 있어서 고민을 하는것일텐데 이건 한예종의 커리큘럼과 구조적인 다른 문제들도 고민을 같이 해야하는것일듯.
(강사진이나 교수진은 사실 서울시내 교수들 수준은 비슷하고 강사진은 서울시내 다 비슷해서 주요학교들은 비슷한 분들이 다 다녀서 큰 차이 없습니다.. 하위학교들과 지방은 서울권 학교들과는 차이가 있죠.)35. ...
'23.6.6 3:05 PM (106.101.xxx.15)기존 대학에서 못하는 걸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특수 대학인데요
그걸 견제한다고요?
그럼 커리큘럼이나 제도를 바꾸는 시도들은 왜 안하는감?
저희 대학 동창이 한예종 초창기에 다녔고 다른 동창 딸이 작년에 졸업했어요
얘기 들어보면 왜 한예종이 저렇게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인재를 내놓는 성과를 거뒀는지 담박에 알겠더만요
학생 트레이닝, 커리큘럼과 학과를 구분하지 않고 자유롭지만 심도깊이 파고드는 수업이 아주 독특하던데요?
예술이 학위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학위가 필요없이 자유로와야 하는데 그 강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기존 대학들이 견제를 한다니 예술한다는 사람들 뇌가 그렇게 딱딱해서야36. ...
'23.6.6 3:05 PM (106.101.xxx.213)한예종은 설립당시부터 사립예술대들이 설립반대 많이 했어요. 그래서 문체부 산하에 두면서 학사가 아닌 전문사라는 이름으로 학사를 줬구요. 돈만 비싸게 받고 가르치는 덧도 별로 없는 사립대들의 자기 밥그릇 챙기기 싸움도 맞아요. 그럼 학생 교육을 한예종처럼 해보든가. 하지도 못하면서 한예종이 잘나가는 거 배아픈거.
37. …
'23.6.6 3:06 PM (67.160.xxx.53)세금으로 운영된다는 말…누가 들으면 사립대학은 교육부 지원 한 푼 안 받는 곳이고, 한예종이나 카이스트는 학생들이 등록금 안 내고 공짜로 다니는 줄 알겠어요; 이 싸움 한지 아주 아주 오래됐고, 교수들 밥그릇 싸움 맞아요. 근데 기존 학교들이 자기들이 쫄리니깐 견제하려고 저러는 거 눈에 딱 보여서 그냥 폼 구기는 거죠.
38. ----
'23.6.6 3:11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예고 출신이라 한예종 간 친구들도 많고 교수님들도 아는 분들 많은데요
전공마다 다를것 같긴 해요.
그런데 제가 알기로는 한예종 취지가, 일반 대학 입시랑 좀 다르게
공부 성적이 우수하지 않더라도 실기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육성하는 것이었는데요.
음악 무용쪽은 ... 공부까지 되면 서울대 가고 공부안되면 한예종 가고 뭐 그런 분위기인데.
사실 퍼포먼스가 나오는 학과들은 어짜피 실기로 승부보는 원래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그런건데
미술원 등은 아웃풋이 타 학교에 비해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어요.
전공마다 아마 입장이 다를텐데
학위 필요없이 자유로워야 한다면 학위가 필요 없는게 맞죠.
근데 석사 박사는 실기를 잘한다고 주는 과정이 아닌데
실기위주로 가는게 맞지 지금 와서 일반 종합대학이랑 똑같이 논문 연구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하면 실기위주 한예종 설립목적이랑 대치되는거죠...39. ----
'23.6.6 3:13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예고 출신이라 한예종 간 친구들도 많고 교수님들도 아는 분들 많은데요
전공마다 다를것 같긴 해요.
그런데 제가 알기로는 한예종 취지가, 일반 대학 입시랑 좀 다르게
공부 성적이 우수하지 않더라도 실기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육성하는 것이었는데요.
음악 무용쪽은 ... 공부까지 되면 서울대 가고 공부안되면 한예종 가고 뭐 그런 분위기인데.
사실 퍼포먼스가 나오는 학과들은 어짜피 실기로 승부보는 원래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그런건데
미술원 등은 아웃풋이 타 학교에 비해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어요.
전공마다 아마 입장이 다를텐데
학위 필요없이 자유로워야 한다면 학위가 필요 없는게 맞죠.
근데 석사 박사는 실기를 잘한다고 주는 과정이 아닌데
실기위주로 가는게 맞지 지금 와서 일반 종합대학이랑 똑같이 논문 연구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하면 실기위주 한예종 설립목적이랑 대치되는거죠...
석사까지는 해외 예술대학도 1-2년 과정이 많으니 그것은 좋아보이는데
박사는 좀 아닌것 같아요. 박사는 종합대학이 아닌곳은 운영이 어렵고 설립취지와 맞지 않아
해외대학들은 종합 대학 아닌곳에선 거의 운영을 하지 않아요.40. ----
'23.6.6 3:14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예고 출신이라 한예종 간 친구들도 많고 교수님들도 아는 분들 많은데요
전공마다 다를것 같긴 해요.
그런데 제가 알기로는 한예종 취지가, 일반 대학 입시랑 좀 다르게
공부 성적이 우수하지 않더라도 실기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육성하는 것이었는데요.
음악 무용쪽은 ... 공부까지 되면 서울대 가고 공부안되면 한예종 가고 뭐 그런 분위기인데.
사실 퍼포먼스가 나오는 학과들은 어짜피 실기로 승부보는 원래 잘하는 애들을 뽑아서 그런건데
미술원 등은 아웃풋이 타 학교에 비해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어요.
전공마다 아마 입장이 다를텐데
학위 필요없이 자유로워야 한다면 학위가 필요 없는게 맞죠.
근데 석사 박사는 실기를 잘한다고 주는 과정이 아닌데
실기위주로 가는게 맞지 지금 와서 일반 종합대학이랑 똑같이 논문 연구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하면 실기위주 한예종 설립목적이랑 대치되는거죠...
석사까지는 해외 예술대학도 1-2년 과정이 많으니 그것은 좋아보이는데
박사는 좀 아닌것 같아요. 박사는 종합대학이 아닌곳은 운영이 어렵고 설립취지와 맞지 않아
해외대학들은 종합 대학 아닌곳에선 거의 운영을 하지 않아요.
그리고 한예종 설립 초반에 한예종으로 입학한 친구들 꽤 있는데
전공 살린 친구 한명도 지금 없어요...41. ----
'23.6.6 3:26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생각해보다보니 여러가지가 생각나서 계속 댓글을 달게 되는데요.
한예종이 잘나가서;;; 질투를 하는건 절대 아닌게요.
한예종에서도 몇십년 세금투여를 했는데 생각보다 아웃풋이 안나오고 결과가 예상보다 안좋아서...
석박신설을 해야하나 고민을 하는거에요.
교수들도 학생들도 생각보다도 공헌도나 영향력면에서 떨어지고..
학교운영은 교수들이 하는데, 정경대, 이과 등 다양한 교수들이 있는 학교들보다 교수들이 다 예체능계열이나 아마 학교운영도 정책수립 등에 시행착오나 어려움이 있을꺼고 학내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결국 일반학교랑 비슷해지겠단 이야긴데 그렇다면 한예종 존재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단거죠...42. ----
'23.6.6 3:40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생각해보다보니 여러가지가 생각나서 계속 댓글을 달게 되는데요. 한예종이 잘나가서;;; 질투를 하는건 절대 아닌게요. 한예종에서도 몇십년 세금투여를 했는데 생각보다 아웃풋이 안나오고 결과가 예상보다 안좋아서... 석박신설을 해야하나 고민을 하는거에요. 교수들도 학생들도 생각보다도 공헌도나 영향력면에서 떨어지고.. 학교운영은 교수들이 하는데, 정경대, 이과 등 다양한 교수들이 있는 학교들보다 교수들이 다 예체능계열이나 아마 학교운영도 정책수립 등에 시행착오나 어려움이 있을꺼고 학내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결국 일반학교랑 비슷해지겠단 이야긴데 그렇다면 한예종 존재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단거죠...
위 의견은 한예종 석박설립에 대한 원론적인 생각이었고
이를 반대하는 사립대 입장이나 학생 시위 등은 뭐 그 입장이 아니니 직접적으로 학생수급 문제라는건지 교육부나 문체부 정책비판인지 복합적인건지 판단하긴 어렵네요.43. ----
'23.6.6 3:51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생각해보다보니 여러가지가 생각나서 계속 댓글을 달게 되는데요. 한예종이 잘나가서;;; 질투를 하는건 절대 아닌게요. 한예종에서도 몇십년 세금투여를 했는데 생각보다 아웃풋이 안나오고 결과가 예상보다 안좋아서... 석박신설을 해야하나 고민을 하는거에요. 교수들도 학생들도 생각보다도 공헌도나 영향력면에서 떨어지고.. 학교운영은 교수들이 하는데, 정경대, 이과 등 다양한 교수들이 있는 학교들보다 교수들이 다 예체능계열이나 아마 학교운영도 정책수립 등에 시행착오나 어려움이 있을꺼고 학내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결국 일반학교랑 비슷해지겠단 이야긴데 그렇다면 한예종 존재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단거죠...
위 의견은 한예종 석박설립에 대한 원론적인 생각이었고
이를 반대하는 사립대 입장이나 학생 시위 등은 뭐 그 입장이 아니니 직접적으로 학생수급 문제라는건지 교육부나 문체부 정책비판인지 복합적인건지 판단하긴 어렵네요.
그리고 박사 뽑으려면 학과 교수들이 박사 있어야 하는데요
지금은 한예종 교수들이 박사 있는 교수들이 아니라 실기 교육 위주라 석사 이신 분들이 많을텐데...
박사급으로 뽑으려면 결국 그냥 학교에 오래 있던 연구자 논문실적으로 뽑아야해서 그냥 다른 학교들이랑 똑같아지잔 소리에요44. -----
'23.6.6 4:28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저도 생각해보다보니 여러가지가 생각나서 계속 댓글을 달게 되는데요. 한예종이 잘나가서;;; 질투를 하는건 절대 아닌게요. 한예종에서도 몇십년 세금투여를 했는데 생각보다 아웃풋이 안나오고 결과가 예상보다 안좋아서... 석박신설을 해야하나 고민을 하는거에요. 교수들도 학생들도 생각보다도 공헌도나 영향력면에서 떨어지고.. 학교운영은 교수들이 하는데, 정경대, 이과 등 다양한 교수들이 있는 학교들보다 교수들이 다 예체능계열이나 아마 학교운영도 정책수립 등에 시행착오나 어려움이 있을꺼고 학내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결국 일반학교랑 비슷해지겠단 이야긴데 그렇다면 한예종 존재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 한단거죠...
위 의견은 한예종 석박설립에 대한 원론적인 생각이었고
이를 반대하는 사립대 입장이나 학생 시위 등은 뭐 그 입장이 아니니 직접적으로 학생수급 문제라는건지 교육부나 문체부 정책비판인지 복합적인건지 판단하긴 어렵네요.
그리고 박사 뽑으려면 학과 교수들이 박사 있어야 하는데요
지금은 한예종 교수들이 박사 있는 교수들이 아니라 실기 교육 위주라 석사 이신 분들이 많을텐데...
박사급으로 뽑으려면 결국 그냥 학교에 오래 있던 연구자 논문실적으로 뽑아야해서 그냥 다른 학교들이랑 똑같아지잔 소리에요
제대로 된 박사 논문을 써보지 않은 실기전공자들이 박사논문 쓸 훈련이 안된 실기전공자들 데리고 학위장사를 하고 수요보다 공급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이런 실기전공들에서 박사를 자꾸 개설해서 학위장사 하니 김건희 논문같은 졸속논문들이 나오는거에요.
박사는 논문쓸 정도의 연구가 필요하고 박사급 인력을 가르치고 검증하고 또 후속연구자로 키워줄수 있는 기관에서 양성하면 되는거죠. 한예종은 그런 종류의 인력풀도 아니고 그 전공들의 특수성이 박사학위자들을 연구자로 키워낼수도 없자나요 과기원도 아니고. 종합대도 아니고.45. ----
'23.6.6 4:29 PM (118.34.xxx.13) - 삭제된댓글https://www.karts.ac.kr/nri/bbs/NuriBbsDetail.do?bbsId=BBSNURI_001&nttNo=98768...
제가 궁금해서 방금 한예종 교수채용 공고를 봤는데
채용이 학사, 석사에요.
저런 분들이 실기 경력은 많겠지만 박사가 없는데 학생들에게 박사를 어떻게 학위를 수여해요...46. 학부모
'23.6.6 4:54 PM (223.33.xxx.142) - 삭제된댓글저희아이 한예종 재학생인데,
교수님들 서울대->해외 유명대학 박사던데요
학교 커리큘럼 탄탄하고 교육과정 만만하지 않아요.
밤새는 일이 부지기수에요
오죽하면 캠퍼스에 학생들이 안보인다고..
다들 작업실, 연습실, 도서관 어딘가에 틀어박혀서
작품활동, 연습, 과제 등등
뭔가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요47. ——-
'23.6.6 5:49 PM (118.235.xxx.245) - 삭제된댓글https://www.karts.ac.kr/nri/bbs/NuriBbsDetail.do?bbsId=BBSNURI_001&nttNo=98768...
제가 궁금해서 방금 한예종 교수채용 공고를 봤는데 채용이 학사, 석사에요. 저런 분들이 실기 경력은 많겠지만 박사가 없는데 학생들에게 박사를 어떻게 학위를 수여해요...
한예종이 생긴게, 10-20때에 천재로 영재로 데뷔하는 애들이 실기에 집중하고 학과성적르로 대학가야하고 그런 과정을 줄여주기 위해 만들어진걸로 알고있는데요. 기능적이고 도제식인 음악이나 무용 등에선 한예종이 효과가 있아보어요. 하지만 이 아이들은 한예종이 기른게 아니라 이미 초중고에서 엘리트교육을 받고 고등학교때 이미 만들어진 애들이라 서울대를 가건 어딜가건 뛰어낸 애들이고 대학교에서 만들어진 애들이 아닌거죠.
미술이나 영상원쪽에선 아웃풋이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이쪽분야는 컨텐츠고 기능적인게 아니라 조기영재성보단 학업, 그리고 종합대에서의 다양한 학습과 인적교류가 오히려 도움될거에요. 서울대나 홍대가 또는 이대 국민대 건대 등이 훨씬 한예종보다 아웃풋이 훨씬 크죠. 미술원쪽은 실패라 봅니다. 연극원은 모르겠네요. 중대 연영보다 한예종 아웃풋이 나은가요? 아무튼 원별로 특성도 너무 달라서 외부에서 보기엔 차라리 쪼개는것이 맞는것 같고 교과부담을 덜고 실기에 집중하려는 교수들과 학생들을 뽑아 제도권 탈피하려던 학교가 이제외서 제도권을 염원하면 한예종이 실패작이었다고 인정하는 셈일텐데요…48. ——
'23.6.6 5:56 PM (118.235.xxx.245) - 삭제된댓글https://www.karts.ac.kr/nri/bbs/NuriBbsDetail.do?bbsId=BBSNURI_001&nttNo=98768...
제가 궁금해서 방금 한예종 교수채용 공고를 봤는데 채용이 학사, 석사에요. 저런 분들이 실기 경력은 많겠지만 박사가 없는데 학생들에게 박사를 어떻게 학위를 수여해요...
한예종이 생긴게, 10-20때에 천재로 영재로 데뷔하는 애들이 실기에 집중하고 학과성적르로 대학가야하고 그런 과정을 줄여주기 위해 만들어진걸로 알고있는데요. 기능적이고 도제식인 음악이나 무용 등에선 한예종이 효과가 있아보어요. 하지만 이 아이들은 한예종이 기른게 아니라 이미 초중고에서 엘리트교육을 받고 고등학교때 이미 만들어진 애들이라 서울대를 가건 어딜가건 뛰어낸 애들이고 대학교에서 만들어진 애들이 아닌거죠.
미술이나 영상원쪽에선 아웃풋이 별로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이쪽분야는 컨텐츠고 기능적인게 아니라 조기영재성보단 학업, 그리고 종합대에서의 다양한 학습과 인적교류가 오히려 도움될거에요. 서울대나 홍대가 또는 이대 국민대 건대 등이 훨씬 한예종보다 아웃풋이 훨씬 크죠. 미술원쪽은 실패라 봅니다. 연극원은 모르겠네요. 중대 동국대 연영보다 한예종 아웃풋이 나은가요? 아무튼 원별로 특성도 너무 달라서 외부에서 보기엔 차라리 쪼개는것이 맞는것 같고 교과부담을 덜고 실기에 집중하려는 교수들과 학생들을 뽑아 제도권 탈피하려던 학교가 이제외서 제도권을 염원하면 한예종이 실패작이었다고 인정하는 셈일텐데요…49. 자가당착
'23.6.7 11:02 AM (223.63.xxx.208)잘은 몰라도…
전국 사립대 똘똘 뭉쳐 학생수도 많지 않은 한예종 몰아세우는 듯한 집단행동 하는 모습 기괴해 보입니다.
저 국회 시위에 동원된 학생들 모두 자발적으로 나갔을까요?
저런 집단행동보다 합리적인 협의를 해야 지성인답겠죠
그리고 우리나라에 세계적으로 번듯한 국립 예술대 있는것 얼마나 좋은 일인가요?
현재 여기저기 이원화 상태인 열악한 한예종 캠퍼스도 한곳으로 모아주고
나라에서 신경써서 더 성장할 수 있게 기반을 마련해 주어야 마땅한 학교라고 생각해요.
한예종은 연극원 같은 몇몇 실용과는 현장의 고수들 중 교수로 초빙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세계 유수 대학 석박 출신들이고,
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가들도 많은걸로 알고 있어요
무엇보다도 현재 부상하는 k컬쳐 k예술 이어가야죠
세계대학 평가 랭킹 안에 의미있는 순위 기록하는 한예종인걸요
함께 성장하여 대한민국의 문화 예술의 세계적인 번영을 이루어 가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