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나 지방 여행가면서 야시장 관광객 대부분 2030
이 이후 세대는 자녀 교육인지 돈 쓸 여유 없더라구요.
여행도 잘안가구요.
60대 이후로는 많고요.
20 30 소비 보면 아주 대조적이예요.
같은 시대인데 명품, 호캉스, 오마카세, 골프 돈 쓰는 스포츠 도배, 드라이기는 다x슨에 청소는 200만원 로봇청소기 쓰고요.
다른 한쪽에서는 편의점 도시락에 무지출 챌린지하면서 . 극단적인 절약에 열광하고요.
그만큼 이 세대도 빈부격차가 커진 탓이겠죠?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30이 돈을 팡팡 써줘야죠.
음 조회수 : 3,118
작성일 : 2023-06-04 22:02:33
IP : 223.38.xxx.7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음냐
'23.6.4 10:06 PM (1.243.xxx.162)간당간당
하고싶은거 사고싶은거 다 사고 다 사먹고
인스타땜에 가오픈, 오픈 한 핫플레이스 줄 서서 인증샷 올려야하고 돈 떨어지면 다시 빡세게 일하는 하루살이 인생
그게 보기 좋나요? 불쌍해요
비빌 언덕 없는애들이 더 그러던데 그렇게 나이만 먹겠죠2. 부모
'23.6.4 10:08 PM (14.32.xxx.215)빈부도 상관없어요
관종들 저러다 쫄딱 망해서 나라가 세금으로 구제해즐 판이에요3. 라랑
'23.6.4 10:18 PM (1.239.xxx.222) - 삭제된댓글미래가 없어 보이니 지금 이순간 즐기고살자 마인드가 되었겠죠 전세사기 다주택자 한탕주의 다 윗세대들이 준 유산 아닌가요
4. ㅇㅇㅇㅇ
'23.6.4 10:29 PM (124.50.xxx.40)부모님들이 이게 다 6.25 겪게 한 할아버지 할머니 때문이다 하는 소린 들어 본 적 없는데 말이에요.
5. 6 25
'23.6.4 10:32 PM (1.239.xxx.222) - 삭제된댓글왜없나요 지금 이순간까지 색깔론 펼치는데요?
6. . .
'23.6.4 10:46 PM (210.179.xxx.245)코로나 이전까지 경기와 별 상관없이 매년 인천공항 출국자수
갱신하던 시절에 주고객층을 분류한적 있었는데
2030 여자였어요.
그리고 PT 매출 주타겟층도 2030 여자에요.
딴건 모르겠어요.
관심분야라 보는데 다른 세대층에서 안열리는 지갑이
2030여자들한테서는 열리는거죠. 자신을 위한 소비7. 아이엠에프
'23.6.5 4:36 AM (59.4.xxx.58)이후로 저축률이 떨어지고, 돈 씀씀이에 대해 관념이 달라졌다고 해요.
애면글면 모아봤자 한순간에 날리는 쓰디쓴 경험이 시킨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