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가라는 개념이 20세기 초에 생겨났더났다는데 맞나요?
검색하는데 잘 안나오네요?
1. 곽군
'23.5.30 4:19 PM (27.100.xxx.18) - 삭제된댓글국가의 3요소 배우잖아요 영토, 국민, 주권
주권이란게 생긴게 시민혁명 뒤니까 당연 20세기겠죠
그전엔 왕정이였잖아요 ㅡㅡ2. 윗님
'23.5.30 4:26 PM (211.228.xxx.106)왕정이냐 공화정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라는 개념은 좀 다르죠.
그러니까 나는 한국인이다, 미국인이다 이런 개념요.
정확히 언제부터 국가 개념이 생겼는지 저도 궁금하네요.
예전엔 태어나 한 마을에 살다가 죽었으니...3. ,,,
'23.5.30 4:28 PM (61.254.xxx.98)그럴리가요
4. 음
'23.5.30 4:29 PM (211.223.xxx.123) - 삭제된댓글서양은 몰라도 한국 동아시아는 수백년은 됐을걸요.
조선인들이 조선의 신민(주권은 몰라도 그건 현대적 개념이고 한 국가의 소속이다는 측면에서)
조선의 땅 조선 민족 조선 국가 라는 개념이 없었을 리가 없잖아요.
심지어 고려도.
중국의 당 송 명도 그렇고요.5. 음
'23.5.30 4:29 PM (211.223.xxx.123)서양은 논외로 쳐도 한국 동아시아는 수백년은 됐을걸요.
조선인들이 조선의 신민(주권은 몰라도 그건 현대적 개념이고 한 국가의 소속이다는 측면에서)
조선의 땅 조선 민족 조선 국가 라는 개념이 없었을 리가 없잖아요.
심지어 고려도.
중국의 당 송 명도 그렇고요.6. 곽군
'23.5.30 4:35 PM (27.100.xxx.18) - 삭제된댓글그렇게 치면 씨족 사회로 거슬러 가겠죠 그리고 신석기부터 정착해서 정착이 시작됐고 청동기때 고조선이 들어섰는데..
7. 아마
'23.5.30 4:41 PM (122.32.xxx.116)'근대 민족 국가' 라는 개념을 이야기하는 것일듯요
8. 프리드리히
'23.5.30 5:00 PM (59.4.xxx.58)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이나 '농경의 배신'을 참고해 보시길.
아마도 찾는 수준의 지식을 얻기는 어려울 것 같기도 하지만.
우선 서점에 가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게 도움이 될 듯해요.9. ..
'23.5.30 5:06 PM (211.192.xxx.26)근대민족국가, 근대국민국가의 개념은 프랑스 혁명 이후에 생겼죠
10. 무슨
'23.5.30 7:30 PM (175.213.xxx.37)말도 안되는 소리요
적어도 1776년 미국 독립선언문만 해도 영국의 식민지로부터 독립을 이루는 국가지향을 건국이념으로 작성됐고
기타 권리장전이나 프랑스 인권선언같은것들도 국민의회에 의해 쓰여져 이미 국가를 토대로 한 건데요.18세기 프랑스 철학자 토크빌도 미국의 민주주의란 저서를 통해 미국이란 국가의 모델을 보고한 것이 프랑스 혁명이후 공화정에 큰 영향을 주었죠11. 무슨
'23.5.30 7:41 PM (175.213.xxx.37)이것도 근대국가 개념이지 국가라는 개념 그자체는 군주제 왕정 공화제 막부 할것 없이 국가가 될수 있는겁니다
태양왕 루이14세가 짐이곧 국가요라 했듯 왕정시대에도 국가 개념이었 거슬러 올라가 BC 3-4세기 그리스 플라톤 시대에 국가론을 논했을정도로 국가라는 개념은 오래도록 진화돼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