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일은 의사 1만->1.5만명 증원
의대 정원을 10년 동안 4천명 늘린다는 정부 정책에 우리나라 의사들이 절대 안된다며 중환자실, 응급실에서까지 철수하는 실력행사를 했죠.
사회적 비용이 엄청났는데, 독일은 의대 정원을 5천명 늘리기로 했는데도 별다른 갈등이 없다고 합니다.
갈등은 커녕 의료계가 환영하고 있다는데,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박사과정에 있는 우리나라 유학생 연결해 그곳은 어떻게 진행됐는지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지금도 한국보다 국민당 의사수가 많은데
향후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대비해서 5천명을 늘린대요.
게다가 10년 의무 농촌근무..
더 놀라운건 의사들이 반대를 안 한다고 하네요.
1. ......
'23.5.28 8:35 PM (175.223.xxx.248)10년 근무하는건 따로 전형으로 뽑는거구요
독일도 의대 지원해놓고 몇년씩 기다려요2. ㅉㅉ
'23.5.28 8:38 PM (175.223.xxx.92)무슨 반대를 안해요
반대했다고 뻔히 기사에 나오는구만
본인이 보고 싶은것만 짜집기 하면 설득력 떨어져요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today/article/5910404_32531.html3. 밥그릇충
'23.5.28 8:39 PM (122.36.xxx.22)우리도 의료개혁이 필요해요
20년 정원동결 말이나 됩니까?
두배는 늘려야 돼요4. ...
'23.5.28 8:40 PM (119.192.xxx.109) - 삭제된댓글그러게요 의사만 증원을 안하네요?
5. ..
'23.5.28 8:41 PM (39.7.xxx.45) - 삭제된댓글공무원이잖아오
의사 간호사 병원직원들 공무원이죠
9 to 5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파독간호사도 있었고
우리나라도 의사 간호사 공무원되면
미국이나 중국가서 진료보면 되구요6. ...
'23.5.28 8:47 PM (14.45.xxx.213)유럽국가들은 우리나라랑 의료시스템이 달라요.
7. ㅋ
'23.5.28 9:03 PM (122.36.xxx.22)웬 공무원?
공무원도 있고 개업의도 있고 다얌하던데?
우리도 많이 뽑아 의사 공무원도 하고
개업의도 하고 페닥도 하고 의료시스템 바꿔야죠
수술할 의사 절대부족인데 시스템타령만 하고 있네8. 유럽의사는
'23.5.28 9:07 PM (125.138.xxx.203)그냥 공무원,
9 to 69. 여기는
'23.5.28 9:08 PM (182.228.xxx.84) - 삭제된댓글82는 꼬인사람들만 원글 쓰는거 같아요.
그만 와야지.10. 우리도
'23.5.28 9:35 PM (39.114.xxx.142)의사들이 9 to 6아닌가요?
종합병원들은 5시면 끝나구요
물론 간호사들이 남아있긴하지만.11. 우리나라
'23.5.28 9:46 PM (223.38.xxx.91)의사들은 정원확대하면 의료질 떨어진다고 하는데
독일의료질 떨어진다는 말은 못들어봤네요.12. 참나
'23.5.28 10:08 PM (175.201.xxx.163)독일은 대학도 공짜인데
의대정원 말고도 다 독일처럼 해달라고 하시죠?
우리나라랑 독일은 사회 경제 구조나 국민성 교육체제 등등 엄청 다른나라에요13. 우리나라도
'23.5.28 10:15 PM (223.38.xxx.169) - 삭제된댓글이미 70프로 이상 공짜에요. 본인부담금 30프로 이내로 내잖아요.
14. 우리나라도
'23.5.28 10:16 PM (223.38.xxx.169)이미 70프로 이상 공짜(세금)에요. 본인부담금 30프로 이내로 내잖아요.
15. 독일 따라하려면
'23.5.28 10:23 PM (68.98.xxx.152)세금 엄청나게 내야해요.
16. ㅇㅇ
'23.5.29 9:48 AM (110.15.xxx.22)독일은 병원도 맘대로 개업 못해요
동네마다 병원수 딱 정해져있어서
우리나라처럼 한건물에 병원 몇개씩 있고
자유경쟁(?) 시스템이 아니에요
구조 자체가 다른데 단순비교 할 수 없어요17. 독일은
'23.5.29 11:10 AM (223.38.xxx.141)의사수는 많지만 공보험(일부 사보험)내에서 해결하기에
우리나라처럼 진료비 청구자체가 적어요.
경증질환은 정말 경하게 다루고요
중증질환은 중하게 공짜로 다뤄주고요.
또 의사들 수입자체가 적고요.
그렇다고 정해진 의사한테만 강제배정되어 진료받는것도 아니고
선택가능해요.
그래서 의료비 부담이 그리 크지 않아요.
앞으로 매년 5천씩 증원되니까 소비자들 선택권은 더 넓어지겠죠18. 공짜
'23.5.29 6:57 PM (175.201.xxx.163)자꾸 공짜 공짜 하는데
공짜가 어딨어요
독일 사람들은 우리나라보다 세금은 훨씬 많이
내는데 중증질환이 되서야 혜택 받는거잖아요
시스템이 다르다는데
그게 그렇게 이해가 어려워요?19. 왜 아예
'23.5.29 6:59 PM (175.201.xxx.163) - 삭제된댓글캄보디아처럼 나라에서 의사 싹 잡아다
강제수용하자고 하죠? 다수가 밀어붙이면
못할게 없잖아요 댁들 세상에선20. 왜 아예
'23.5.29 7:00 PM (175.201.xxx.163)캄보디아처럼 나라에서 의사 싹 잡아다
강제수용하자고 하죠? 다수가 밀어붙이면
못할게 없잖아요 댁들 세상에선.21. 그래사
'23.5.29 7:04 PM (175.201.xxx.163) - 삭제된댓글의사 다음엔 누구에요?
자동차 나사 조이나, 사람 병을 고치나
같은 페이 받는게 그렇게 바람직한 세상이에요?22. 그래서
'23.5.29 7:05 PM (175.201.xxx.163)자동차 나사 조이나, 사람 병을 고치나
같은 페이 받는게 그렇게 바람직한 세상이에요?
그리고 의사 잡고 나서 다음 하향평준 시킬 대상은
누구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