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0억짜리 아파트가 30만원 올랐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언론
1. ..
'23.5.28 2:33 PM (121.157.xxx.62)2. ᆢ
'23.5.28 2:40 PM (58.231.xxx.119) - 삭제된댓글한문도 이 사람 유튜브 여기저기 나와서 떨어진다고
에전 선대인 생각남3. ...
'23.5.28 2:44 PM (117.111.xxx.15)부동산때문에 금리도 안올리잖아요.
4. ...
'23.5.28 2:51 PM (221.140.xxx.205)총선때 두고보자
5. 건설회사
'23.5.28 3:08 PM (59.4.xxx.58)광고 매출이 굉장히 크대요.
6. ..
'23.5.28 3:20 PM (121.157.xxx.62)금융권 일제히 연체 급증. 금리 내리는데 왜 이러나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127807. ..
'23.6.6 11:11 AM (121.157.xxx.114) - 삭제된댓글미친집값이라고 정권교체된 윤정권이 특례보금자리론 40조 풀고 유주택자 전세대출까지 풀어주며
투기를 조장하고 있는건 안보이시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다음과 같이 아주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집을 알아보거나 사려는 사람, 특히 젊은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라.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모기지금리가 다시 낮아지는 때를 기다려라.”
반면 우리나라 정부는 2022년 3분기부터 ‘가계대출 규제 정상화방안’이라는 해괴한 제목을 달고 주택가격이 정상화돼가는 하락조정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최대 80%로, 대출한도는 6억원으로 확대해줬다. 또한 연소득 연봉의 신용대출한도 제한을 풀어주면서 은행별로 최고 연소득의 2.7배까지 신용대출을 확대하는 정책도 시행했다.
IMF와 OECD가 선진국 중 가계부채 위험국가로 한국을 지목하며 대출 규제 및 관리 정책을 시행하라고 조언 및 경고를 했음에도, 우리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정상화’라는 알량한 단어를 앞세워 전국민의 부채 증가를 조장하는 상반된 정책을 시행한 것이다.
이어 청년과 무주택서민에게 “대출 더 해줄 테니까 집을 더 사라”고 하는 특례보금자리론 주택금융정책까지 정부의 정책행보는 마치 금융기관 영업부장과 다를 바 없는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특히 신용점수가 최하위인 271점(10등급) 이상이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의 원인을 연상시킨다.
또한 특례보금자리론 정책은 유주택자의 대환대출과 함께 다주택자의 전세보증금 반환대출을 동시에 끼워 넣었다는 점에서 공정과 상식을 벗어나 보인다. 정부의 진정성과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다다주택자와 갭투자자, 갭투기자, 건설사를 위한 ‘집값을 떠받치는 정책’이라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이 같은 정부의 주택관련 대출정책과 일부 언론들의 보도 행보를 살펴보면 과연 이게 정상적인 정책이고 정상적인 언론인지, 국민을 위한 정부이고 언론인지, 아니면 투기꾼과 은행 등 등 금융기관을 위한 정부와 언론인지 헷갈릴 정도다.
출처 : 시사위크(http://www.sisaweek.com)8. ..
'23.6.6 11:13 AM (121.157.xxx.114)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다음과 같이 아주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집을 알아보거나 사려는 사람, 특히 젊은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라. 그리고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모기지금리가 다시 낮아지는 때를 기다려라.”
반면 우리나라 정부는 2022년 3분기부터 ‘가계대출 규제 정상화방안’이라는 해괴한 제목을 달고 주택가격이 정상화돼가는 하락조정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최대 80%로, 대출한도는 6억원으로 확대해줬다. 또한 연소득 연봉의 신용대출한도 제한을 풀어주면서 은행별로 최고 연소득의 2.7배까지 신용대출을 확대하는 정책도 시행했다.
IMF와 OECD가 선진국 중 가계부채 위험국가로 한국을 지목하며 대출 규제 및 관리 정책을 시행하라고 조언 및 경고를 했음에도, 우리 정부는 이를 무시하고 ‘정상화’라는 알량한 단어를 앞세워 전국민의 부채 증가를 조장하는 상반된 정책을 시행한 것이다.
이어 청년과 무주택서민에게 “대출 더 해줄 테니까 집을 더 사라”고 하는 특례보금자리론 주택금융정책까지 정부의 정책행보는 마치 금융기관 영업부장과 다를 바 없는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특히 신용점수가 최하위인 271점(10등급) 이상이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의 원인을 연상시킨다.
또한 특례보금자리론 정책은 유주택자의 대환대출과 함께 다주택자의 전세보증금 반환대출을 동시에 끼워 넣었다는 점에서 공정과 상식을 벗어나 보인다. 정부의 진정성과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다다주택자와 갭투자자, 갭투기자, 건설사를 위한 ‘집값을 떠받치는 정책’이라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이 같은 정부의 주택관련 대출정책과 일부 언론들의 보도 행보를 살펴보면 과연 이게 정상적인 정책이고 정상적인 언론인지, 국민을 위한 정부이고 언론인지, 아니면 투기꾼과 은행 등 등 금융기관을 위한 정부와 언론인지 헷갈릴 정도다.
출처 : 시사위크(http://www.sisaweek.com)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1485652 | 초등방학이래도 | 요즘 | 2023/07/18 | 349 |
1485651 | 군산시장 하는 거보니 이재명 뽑고 싶다. 33 | 지나다 | 2023/07/18 | 3,264 |
1485650 | 블루베리 잘 아시는분 4 | 궁금 | 2023/07/18 | 1,432 |
1485649 | 아파트 방화문 3 | 빗님 | 2023/07/18 | 979 |
1485648 | 저도 정리 시작했습니다 4 | 커피 | 2023/07/18 | 2,109 |
1485647 | 생리팬티 입을때요 5 | 덥다 | 2023/07/18 | 1,796 |
1485646 | 살 안짜는게 목표 3 | 다이어트 | 2023/07/18 | 1,504 |
1485645 | 건강검진후 조직검사했는데 7 | 겁님이 | 2023/07/18 | 2,759 |
1485644 | 개업 30년이래 최대매출 올려준 한국 김건희 9 | ... | 2023/07/18 | 3,856 |
1485643 | 수해지역 돌며…"아이고 박수 한번 쳐 주세요".. 7 | .... | 2023/07/18 | 2,110 |
1485642 | 영양보조제 키토산 드시는 분들 계시나요 | ㅇㅇ | 2023/07/18 | 204 |
1485641 | "윤대통령은 국민을 종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6 | 씨알의 소리.. | 2023/07/18 | 1,939 |
1485640 | 엄청난 과체중은.. 5 | .... | 2023/07/18 | 2,438 |
1485639 | 사람들 몇명만 모이면 호구조사 들어가네요. 1 | sdd | 2023/07/18 | 1,017 |
1485638 | 아기들노는 편백나무큐브도 발지압하기 괜찮을까요? | .. | 2023/07/18 | 314 |
1485637 | 세 식구 밥솥6인용 살까요? 20 | 나이팅게일 | 2023/07/18 | 2,212 |
1485636 | 한미반도체 일찍 팔아 속상하신 분.. 17 | ㅇㅇ | 2023/07/18 | 2,747 |
1485635 | 견주님, 집사님들께 품종명 질문 2 | 미리 감사 | 2023/07/18 | 440 |
1485634 | 에코프로비엠 언제 팔까요? 4 | .. | 2023/07/18 | 2,186 |
1485633 | 어씽하는 분들 질문이요. 6 | 00 | 2023/07/18 | 954 |
1485632 | 셰어하우스랑 오피스텔 조언부탁드려요 4 | 딸맘 | 2023/07/18 | 773 |
1485631 | 문자보내면 1이 있는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는... 3 | 문자메세지 .. | 2023/07/18 | 2,785 |
1485630 | 강남 물난리났을때 퇴근하지 않았어요? 16 | ... | 2023/07/18 | 3,402 |
1485629 | 강남 고1 7등급 9 | ㅠㅠ | 2023/07/18 | 2,299 |
1485628 | 요즘 귤 드시는분? 6 | 해바라기 | 2023/07/18 | 1,4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