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집

다랑 조회수 : 14,501
작성일 : 2023-05-25 21:03:03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경우 본 적 있나요?

확실히 노후가 문제되지요??
IP : 211.234.xxx.251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5.25 9:04 P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뭐 이런글이...
    저요. 소득은 낮은데 아이둘 혼자키우느라 저축은 못하고 있네요. 노후걱정 해주시는건가요. 거참..

  • 2.
    '23.5.25 9:07 PM (58.231.xxx.119)

    저요 저요
    저축이 아니라 까 먹고 있어요
    둘다 특목고라 학비에 학원비에 적자에요
    노후 걱정입니다

  • 3. ㅇㅇ
    '23.5.25 9:08 PM (119.198.xxx.247)

    저요~
    결혼후 한번도 저축한적없어요
    집사고 원리금갚고 보험내고 나머지는 다썼어요
    다행이 평수넓혀저질러놓은게 많이 오르고
    대출갚아가며 아주조금씩이지만 원금도 갚고사는거지
    급여도 오르고.. 충분히 즐기며살아요.
    아등바등하고산 엄마보고 다필요없다싶어서요
    한푼두푼이 모여 세푼만 돼도 머라안하겠는데
    안그러드라구요 운도있고 팔자도있는거같고

  • 4. 보긴 봤어요
    '23.5.25 9:09 PM (61.109.xxx.141)

    노후가 문제 되는게 아니라
    노후가 너무 잘되어 있는 경우요... 물려받는 재산이 어마어마해요
    부부가 경쟁하듯 쓰더라고요

  • 5. ...
    '23.5.25 9:15 PM (222.236.xxx.19)

    물러받을재산이 확실하게많겠죠.. 물러 받을거 없으면 일단 불안해서그렇게는 못살겠죠...

  • 6. ..
    '23.5.25 9:21 PM (211.246.xxx.183)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8098673?type=recommend

    노후까진 모르겠고
    저축에 관해선 여기 대답이 더 많네요

  • 7. -----
    '23.5.25 9:30 PM (211.215.xxx.235)

    물려받은 건물 등 유산이 많은 경우죠. 주변에 몇몇 있어요.
    아낄 필요없죠 여행 가고 싶은데로 다니고..

  • 8. 기억
    '23.5.25 9:36 PM (221.165.xxx.250)

    완전 큰 공기업 한국** 다녔던 친척부부가 그렇게 저축없이 살다가 바깥분이 갑자기 40대 초 돌아가시고 홀로 남겨진 분이 자식들 키우느라 진짜 험한일은 다 하시더라구요
    노후도 준비안되어 힘드실거예요
    애들 어릴때 단단한 직장믿고 재테크도 안하시더니 안되었어요

  • 9. ..
    '23.5.25 9:40 PM (210.179.xxx.245)

    성향상 현재가 더 중요하고 돈 쓰는 재미에 큰
    비중을 둔 경우요.
    은퇴는 좀 늦게 하더라구요

  • 10. ㅁㅇㅁㅁ
    '23.5.25 9:44 PM (125.178.xxx.53)

    재산이 많지않다면 그렇죠
    근데 그런사람 많을거에요
    너도나도 욜로욜로
    어쩔려구

  • 11. ㅁㅁ
    '23.5.25 9:45 PM (39.121.xxx.133)

    펑펑 쓰는 집은 물려받을 게 많거나 믿는 구석 (부모) 있는 경우겠지요? 암것도 없는데 어찌 그리 다 쓰나요?

  • 12. ㅡㅡ
    '23.5.25 9:58 PM (116.39.xxx.174)

    저요. 결혼 15년차인데 13년은 한푼도 저축 않하고
    다 쓰고 살았어요.ㅜㅜ
    해마다 명품도 사고 외식 여행 엄청나게 하구요.
    시댁 친정 여유 있으시고 물려받기도 했고
    받을것도 있다는 안일함에 그랬던것 같아요.
    근데 2년전부터 이게 아니다 싶어 저축. 절약의 즐거움에
    빠졌어요. 이제 소비하는 살에서 벗어나긴 했어요.
    좀더 돈을 가치있게 쓰고 싶어요.

  • 13. 가깝게
    '23.5.25 10:04 PM (112.168.xxx.241)

    두 집 있어요. 한집은 고소득, 다른 한 집은 중간 소득인데 월급 전부 쓰면서 살더라구요. 두 집의 공통점은 시댁이나 친정이 꽤 여유있는 집이예요. 믿는 구석이 있으니까 그렇구나 싶어요.

  • 14. ...
    '23.5.25 10:43 PM (122.38.xxx.57)

    대기업 외벌이 가장이 월급타서 아이들 학원비 사교육비로 쓰고 대출받아 생활비 쓴다는 집도 보긴 했습니다
    아들 둘 서울대 보내긴 했다는데 과연 그게 성공인건지 다들 알쏭달쏭해했습니다

  • 15. ㅡㅡㅡㅡ
    '23.5.25 10:55 PM (119.194.xxx.143)

    진짜 물려받을거 없는데도 펑펑 쓰는집
    봤어요 집도 없는데 50넘어서도 계속 전세 여력되는란 무조건 큰 평수로 전세다니고 차는 꼭 수입차 타야 하니 중고로 항강 수입차
    오랫동안 알고 지내면서 보니 남의 눈이 더더 중요한 사람들이더라구요
    진짜 앙가에서 받을거 하나도 없는 사람들인데 직장도 정년 다가오고

  • 16. ...
    '23.5.25 11:08 PM (223.38.xxx.174)

    저희집이 좀 그런편이었어요.
    명품이나 화려하게살정돈 아니었지만 대출 최대치로 많이끼고 큰평수집살고 차도 두대..
    저랑 동생 사고싶은거는 최대한 사주시고 대학때 중고국산차지만 차도 사주셨고요.
    알바안하고 대학생활 했고 몇백드는 학원같은거 다니고싶으면 다니고 해외배낭여행도 가고 등등..

    자영업이라 은퇴는 없어서 60대 중후반 두분다 일하시고 순자산은 그렇게 많진 않구요.
    자식들은 좋은대학나와 취업잘하고 결혼도 둘 다 잘했어요.
    저희는 허례허식이라기보단 자식한테는 아낌없이 주는 부모님이셨고
    덕분에 서민이지만 동수저비슷하게 살았던거같아요.
    지금도 자식들 펑펑 잘쓰고 사는데도 본인은 돈쓸데없다며 조금이라도 보태주려 하세요.

  • 17. 소비하기에도
    '23.5.25 11:46 PM (14.49.xxx.105)

    모자라는데 저축씩이나..
    평생 번돈보다 나가는게 더 많았어요
    남들만큼 버는데 남들은 어떻게 저축 하는지 알수가 없어요
    외상이면 소도 잡는다고,대출도 해준다면 다 받았어요
    근데 다행히도 부동산도 좋아해서 몇개 샀더니 그게 또 올라줘서 평생 저축 못해봤어도 자산은 팍팍 늘어나 있더라고요
    애들한테도 아껴쓰란말 안해요
    아껴쓰나 쓸때 쓰나 자기 팔자만큼 있게마련이라

  • 18. ...
    '23.5.26 12:39 AM (117.53.xxx.56)

    외벌이에 남편 정년 얼마 안남고 온식구 다 골프치면서 마이너스 대출 쓰는 친구있어요
    재테크 좀 하라고 하면 돈이 없는데 어떻게 하냐고
    시댁 친정 믿는 구석도 없는데 옆에서 지켜보면 왜 저러고 사나 싶어요

  • 19. 하아
    '23.5.26 7:37 AM (118.220.xxx.115) - 삭제된댓글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집들은 양가에 받을게 두둑하거나 퇴직후 연금이빵빵하거나 둘중하나겠죠

    둘다 아닌경우는 맞벌이빡세게해서 노후준비하셔야해요

  • 20. ...
    '23.5.26 8:07 PM (118.235.xxx.142)

    애들 사교육 때문에 저축 못하시는 집들은 정신 차리세요. 애들에게 미래의 부담을 안겨주는거에요. 좋은 학교 못 간 것보다 노후 준비 안되어있는 부모가 더 재앙이에요.

  • 21. 울집
    '23.5.26 8:39 PM (122.32.xxx.66)

    이네요 아직 전세이고 2번의 투자 실패로 힘든 시기도 있었는데 아끼고 살다 돌아보니 나이는 60이 코 앞이고. 애들 뒤로 돈 많이 들어가고 참 답답하긴 한데 이러다 죽겠다 싶어 소소하게 돈 쓰고 대출 갚고 그러고 있네요.
    연봉이쎄고 임대주는 작은 부동산에 땽 그리고 회사 지분이 있어서 버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2682 윤석열에게도 졌다고 난리 치는분들 ㅎㅎㅎ 51 지나다 2023/05/31 3,256
1472681 바보도 대통령 만드는 기레기 3 전태일 열사.. 2023/05/31 859
1472680 독도 한국땅이라고 일본 교수 가르치는 한국유학생 7 ... 2023/05/31 1,161
1472679 오염수에 집중할 때 1 ... 2023/05/31 479
1472678 엄마 사랑 듬뿍 받고 자란 분들은 8 2023/05/31 4,335
1472677 뉴스에 나올뻔 한것 같아요 2 당근 2023/05/31 2,546
1472676 온라인에서 파는 금목걸이 믿고 사도 되나요? 6 ... 2023/05/31 1,844
1472675 부산 흰여울마을 밤에가도 이쁠까요? 10 ... 2023/05/31 1,276
1472674 서명/길냥이 목졸라 죽인 학대범 엄중처벌 탄원서 13 쌍놈 2023/05/31 601
1472673 정수기 5년 지나서 교체 하는데 혜택이 없어요 6 정수기 2023/05/31 1,761
1472672 셋팅펌과 매직셋팅 차이가 크나요? 6 ... 2023/05/31 3,489
1472671 다음 정부는 친일할까요 아니면 반일할까요? 23 궁금 2023/05/31 1,287
1472670 출근은 한건가요 2 ㅡㅡ 2023/05/31 1,107
1472669 화초 넓은 잎 뭘로 닦나요? 2 .... 2023/05/31 1,196
1472668 형제나 친척이 많으면 돈모으기 쉽지 7 ㅇㅇ 2023/05/31 2,845
1472667 통밀 또띠아 15센티짜리로 뭘 하죠? 7 2023/05/31 1,076
1472666 태풍으로 샷시가 떨어져 사고나면 누구 책임인가요? 6 패닉 2023/05/31 1,904
1472665 생머리 고정시키는 방법 좀... 5 2023/05/31 1,194
1472664 손톱 모양 어떠세요? 독수리 발톱처럼 끝이 휘는건 단순 노화인가.. 5 .. 2023/05/31 1,950
1472663 집에 쌀이 얼만큼 있으세요? 23 궁금 2023/05/31 4,513
1472662 욱일기 아니라며? 일본언론 “욱일기 맞다.” 11 ... 2023/05/31 1,151
1472661 경상도에 오이짠지(오이지) 안먹는 사람 많아요. 39 2023/05/31 3,588
1472660 오늘 재난문자 발송때 제일 무서웠던 장면 21 ㅇㅇ 2023/05/31 13,583
1472659 사주에 물이 없는것과 물이 무섭고 싫은 거랑 상관있나요? 24 . . 2023/05/31 3,429
1472658 '스토너' 읽어 보셨나요 13 ... 2023/05/31 2,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