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인침대 퀸 or 킹 어떤 사이즈 쓰세요?

결정불가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23-05-25 14:27:49
이사를 하면서 드디어 침대를 사게 됐어요. 그동안은 집이 좁아 바닥에 접이식 토퍼 깔고 살았거든요.
나이 40 중반에 이제 수면의 질이 중요한 걸 온몸으로 느끼고 있으니 혼자 널찍이 자게 퀸 사야지 싶었는데,
덩치 큰 초등 아이가 자꾸 엄마랑 같이 자고 싶어해요.
(자기 방에 자기 침대 있어요)
그래서 킹 사이즈를 사볼까 싶은데... 방이 많이 답답해질까요?
20센치 차이라... 침대는 들어가는데 아무래도 자리를 차지하겠지요.
바쁜 맞벌이에 외동아이라... 엄마를 찾을 때까진 옆에 두고 재우는 것도 좋은데
침대를 써 본적이 없으니 감이 안오네요.
코골이 남편은 진즉에 거실로 쫓아냈어요. ㅎ 
 
IP : 121.129.xxx.24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나다가
    '23.5.25 2:32 PM (116.42.xxx.47)

    퀸요
    아이는 금방 독립해요
    킹사이즈는 침구 사는것도 쉽지 않죠

  • 2.
    '23.5.25 2:35 PM (221.143.xxx.13)

    더블 씁니다.
    소박하고 간소한 삶을 추구합니다

  • 3. ㅇㅇ
    '23.5.25 2:41 PM (221.162.xxx.95)

    수면의 질을 추구하신다면 아이 수면분리가 우선이에요
    그리고 침대는 더블 아니면 퀸으로요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 집값나누기 해보세요 자리차지하고 있을 일이 아니에요

  • 4. ..
    '23.5.25 2:45 PM (49.172.xxx.179)

    무조건 크면 클수록 좋긴 해요. 저도 고딩 딸이 아직도 한번씩 같이 자는데 가로193 매트리스 쓰다가 170으로 바꿨는데 좀 답답하긴 해요. 아이가 자꾸 넘어와서..
    킹 사이즈도 브랜드마다 여러가지인데 매트리스 몇센티짜리를 보시는건가요? 프레임을 잘보시면 매트리스랑 같은 가로 폭 프레임이 있고 10센티정도 더 큰 프레임이 있는데 방이 좁아지는게 신경쓰이시면 매트리스랑 같은 사이즈의 프레임을 고르시는것도 방법일듯 해요.

  • 5. .....
    '23.5.25 4:02 PM (211.234.xxx.1)

    수면의 질로는 수면 분리가 답인데요...
    초당 아이, 중딩 되면 따로 자던데요..
    불과 몇 년 안 남았을 듯요..

    들어갈 자리만 있다면 침대야 크면 클 수록 편하죠.
    다만 침대 크기에 프레임 크기 하면 자리를 의외로 많이 차지합니다.
    저는 가로 180cm 짜리, 이게 수퍼킹인지 울트라킹인지 쓰는데
    좋긴 해요.
    다만 침대 양쪽에 협탁 놓고 사람 내려올 공간 만들어 둬야지,
    한 쪽을 벽에 붙이면 그 쪽 사람은 일어나서 침대 건너 내려오기 너무 힘듭니다.

    침대커버는 안 쓰고 매트리스 커버, 패드, 이불 쓰는데
    매트리스커버, 패드는 사이즈 맞춰 사면 되고 이건 크게 안 비싸요.
    이불은 싱글 사이즈 각1개 씁니다.
    돌돌 말고 자는 스타일이라서요.
    그리고 이불은 퀸사이즈 쓰면 빨기도 힘들더라고요.

  • 6. 건강
    '23.5.25 4:36 PM (58.225.xxx.67)

    사이즈가 커지면 침구류 가격이 높아지죠
    방수커버,침대커버, 매트리스 패드...
    그러니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즈 추천합니다
    초등학생 자녀면...오래 같이 옆에서 자려 하지 않아요

  • 7.
    '23.5.25 5:34 PM (218.147.xxx.184)

    슈퍼싱글 두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6013 과자 추천 23:04:00 43
1686012 아롱사태 미역국 한번 데쳐서 끓이나요? 2 ㅇㅇㅇ 22:58:40 100
1686011 저는 이제 남편한테 질려서인지 1 77 22:57:56 297
1686010 표영호티비 금거래 방송봤어요 티비 22:56:11 372
1686009 장례식장 비용은 1/n , 식대 손님 수 비율로 3 장례 22:52:29 386
1686008 교육청이 잘못한거 아닌가요? 3 ㅇㅇ 22:50:12 548
1686007 치매초기에 한방치료 해보신분 계시나요? ㅇㅇ 22:42:50 130
1686006 원경 생각보다 너무 괜찮았어요. 7 마지막 22:41:31 1,077
1686005 줄리 찰리 궁금해요 3 blㅇㅇ 22:39:52 519
1686004 그 미친 대전 교사 그 와중에 12월 복직했네요 4 ㅇㅇ 22:37:53 1,205
1686003 강동원 너무 귀여워요 .. 22:37:09 353
1686002 궁금한이야기 구걸하는피아니스트 ???? 22:35:57 636
1686001 간헐적 편두통으로 깨질듯이 아프네요 6 22:34:13 361
1686000 니트 약간 늘어나게 할 수 있을까요? 3 .. 22:34:03 324
1685999 비상 계엄에 대한 PD수첩을 하네요 1 22:32:28 433
1685998 MBC PD수첩 합니다. 명태균게이트 3 ㅇㅇㅇ 22:29:16 749
1685997 오늘 PD수첩은 명태균 게이트에 관한 건가봐요! 3 디이어202.. 22:29:09 255
1685996 강아지 시저 캔 먹여보신 분  2 .. 22:22:49 216
1685995 국물멸치 추천해주세요 1 며루치아라치.. 22:22:13 190
1685994 노처녀 노총각 소개팅이요.. 22 소개팅 22:21:13 1,175
1685993 70년대생만큼 반공교육 많이 받은 세대 있나요? 6 ........ 22:19:46 475
1685992 토요일에 대전에서 동서울 오는 버스 3 고속버스 22:13:22 303
1685991 부모님 장례식비 어떻게 나누나요? 10 ... 22:13:17 1,612
1685990 국회동의 없이 계엄선포 못하도록 계엄법 개정안 발의 5 박선원 22:12:38 766
1685989 올리고당 보다 조청이 더 몸에좋죠? 5 조청 22:03:14 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