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나이 차별 좀 바뀔까요?
1. . .
'23.5.24 5:49 AM (39.7.xxx.245) - 삭제된댓글나이든 사람도 잘하는 사람이 있기야하겠지만
너무도 확연히 차이가 나니까 고용주입장에서 꺼릴 수밖에 없는 것이 너무도 잘 이해가 됩니다.
사회분위기 제반여건에 따라 변화가 있기를 바라지만 나이든 사람이 신입으로 환영받는 직장은 드물지않을까 싶습니다
다소 주제와는 벗어나지만 오죽하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고 하겠어요2. …
'23.5.24 6:25 AM (202.7.xxx.238) - 삭제된댓글니이차별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 다른 나라도 다 똑같다는 주장 많이 봤어요. 사회를 바꾸려고 노력하는게 아니라)
나아들면 효도 강조하는 문화에서 달라지려면 적어도 몇십년은 걸릴걸요.3. ..
'23.5.24 6:28 AM (202.7.xxx.238)나이차별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 다른 나라도 다 똑같다는 주장 많이 봤어요. 사회를 바꾸려고 노력하는게 아니라)
나이 들면 효도 강조하는 문화에서 달라지려면 적어도 몇십년은 걸릴걸요.4. ...
'23.5.24 6:37 AM (125.177.xxx.181) - 삭제된댓글우리나라만 그렇지 않아요
사람 마음 다 똑같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나이 들어 새로운 분야 도전하는 사람 있고 또 그 중에 성공하는 분도 있죠
그건 그 사람이 각고의 노력을 해서이지 사회 분위기 때문은 아니죠5. ..
'23.5.24 7:22 AM (202.7.xxx.238)서구사회는 나이에대한 얽매임이 우리보다 훨씬 적어요. 40대에 일반사무직 취업이 힘들지 않고요.
이력서에 아예 나이를 적지 않아요.
그럼에도 나이차별에대한 문제의식 자체가 우리보다 강한데
우리는 문제의식조차 별로 없는 상황.6. ㅇㅇ
'23.5.24 7:25 AM (211.193.xxx.69)장유유서라는 유교적 관습이 여전히 사람들 인식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어서
사람들 말과 행동을 나이가 얼마나 많이 지배하는데요
유교적 관념이 좀 더 희미해져야 그나마 나이든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는데 수월해질 것 같아요7. ....
'23.5.24 7:27 AM (211.220.xxx.6)외국은 나이차별 없어요.
정말 확 늙지 않은 이상...
50살에 캐나다 로펌 직원으로 아무 차별없이 신입으로 취업되던데요.8. 원글
'23.5.24 7:38 AM (223.38.xxx.231)네 우리나라 문화 경직되어 있어요. 너무 아쉬워요. 경단녀 분들도 그래서 육아 전 하던일과 많이 다른 일자리로 다운하여 다니셔야 하구요
9. 웃기죠
'23.5.24 7:43 AM (1.177.xxx.111)중국의 유교사상이 중국에서는 사라졌는데 한국에서만 아직도 끈질기게 존재.
한국은 아직도 나이가 무기고 나이로 대접 받길 원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직장에서 신입으로 나이 든 사람을 뽑지 않으려 하는게 당연.
30년전에 일본 가서 제일 신기했던게 나이 든 신입 사원들.
나이를 내세워 개긴다거나 그런거 일절 없이 정말 신입처럼 행동하는게 놀라웠어요.
한국 나이든 분들 꼰대기질 버리지 않는 한 쉽지 않아요.
자업자득인 셈이죠.10. 미국
'23.5.24 7:55 AM (175.223.xxx.241)유럽 마트 보세요. 여유롭게 양보하고 줄서서 농담하고 케셔가 할아버지라도 기다리고 우린 가능한가요? 캐셔 느리면 난리나죠 그러니 할아버지 캐셔 못쓰는거죠. 국민성 때문에 안됩니다
11. ...
'23.5.24 8:03 AM (106.101.xxx.126) - 삭제된댓글그놈의 국민성타령하는건 여전한데
그 타령하는 국가자존감낮은건 또 대부분 노인들이죠
우리 국민성이 어뗘서요
쯧
일하는분야마다 다르지 않나요?12. 일하는
'23.5.24 8:07 AM (175.223.xxx.151)분야 마다 다른 직종 어딘가요?기술직도 20~40대들이 더 잘하고 사람 써보면 왜 나이든 사람 안쓰는지 알아요
우리나라 처럼 급격하게 변하는 사회에선 일 못따라와요
유교타령이 아니고요. 일본처럼 아직 펙스 쓰고 아날로그 감성이 남아 있는 나라도 아니고요. 나이 많은분 의사도 컴퓨터 서툴러서 종이 차트 쓰는곳 얼마나 많은데요. 의사야 전문직이라
버티는거죠13. ㅁㅇㅁㅁ
'23.5.24 8:20 AM (125.178.xxx.53)일할 사람이 많으면 차별이 존재할 수 밖에 없을 거 같아요
인구가 점점 고령화되어 일할 사람이 줄어들면야
나이 많아도 써주겠지요
나이에 따른 차별은
당하는 사람입장에서는 억울하지만
나이먹을수록 말 안통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슬픈 현실 ㅠㅠ 때문에
불가피한 면도 없지는 않더라구요14. ....
'23.5.24 8:22 AM (106.101.xxx.126)그놈의 국민성타령하는건 여전한데
그 타령하는 국가자존감낮은건 또 대부분 노인들이죠
우리 국민성이 어뗘서요
쯧
그리고 나이 마흔넘어 공부하고 취직하겠다는데
경력이 전무한건데
저라도 솔직히 꺼려지는데요
나이들면 집중력떨어지고 습듭력떨어지고
국민성타령하는 꼰대질에
경력직 얘기인줄 알았는데...
그래도 기술경력직은 나이 52인데 여러곳 취업되던데요
분야마다 다른것 같아요15. 국민성
'23.5.24 8:28 AM (110.70.xxx.216)빨리빨리 맞죠. 그러니 노인 못쓰는거고요
16. ...
'23.5.24 8:56 AM (211.36.xxx.242)다시 공부해 번듯한 직장 찾으려는 노력도 않고
그럴 능력도 안 되니 만만한 사회탓 나라탓17. 윗님은
'23.5.24 9:02 AM (175.223.xxx.90)직장 안다닌분인듯.
직장 찾으려 노력 안하고 능력 안되서 사회탓 나라탓 하겠어요? 빵없음 밥먹음 되죠 노~~~~력을 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