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모재산은 N분의 1로 상속 받는게 보통이지만 일부 사람들은

........... 조회수 : 3,949
작성일 : 2023-05-21 20:55:02
N분의 1을 아주 싫어하죠..

예를 들어서 장남이 병든 부모 모시고 병원비 내줬는데

차남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도

부모가 사망하자 똑같이 상속받는게 기분 안좋아하는 경우가 있어요...

진짜 상속문제는 복잡하고 쉽게 재단할수 없는 문제입니다.. 


IP : 121.133.xxx.17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23.5.21 8:55 PM (14.32.xxx.215)

    클때 양육비도 어쩔수없이 차이나구요
    그런거 다 따지고들려면 한도 끝도 없어요 ㅠ

  • 2. 옳소
    '23.5.21 8:58 PM (182.220.xxx.133)

    부모 돌아가시고 나서 엔분의 1로 상속하려고 하니 너는 유학비 몇억 미리 받은거니 그거 제해라. 너도 공부잘해서 유학가지 그랬냐 라며 개싸움 난 집안을 봤어요. (친척입니다)
    진짜 돈앞에 장사없다고 있는집에서 과거 지원받은 내역 다 까서 하나하나 계산하는거 보면서 돈없는게 오히려 다행일수도 있겠다 싶었네요.

  • 3.
    '23.5.21 9:00 PM (119.149.xxx.228) - 삭제된댓글

    잘할필요없어요

  • 4. ㅡㅡ니
    '23.5.21 9:13 PM (59.14.xxx.42)

    외국사는데 엔분의 1 그것도 좀 그렇죠.

  • 5. ..
    '23.5.21 9:17 PM (39.7.xxx.139)

    내말이요
    N분의 1이 오히려 역차별 같아요.
    장남이 일찍 취직해서 집살때 돈도 보태고
    동생들 학비도 대주고
    집안 대소사 다 챙기는데

    장남이 보태서 산집을 N분의 1하는게 정상인가요?

  • 6. ..
    '23.5.21 9:47 PM (116.121.xxx.209)

    형제 많은 집.
    장남으로서 책임, 심리적인 부분이 가장 크다고 봐요.
    제사 모시는 집 같으면 장남..더 챙겨주는 게 마땅하다고 봐요.

  • 7. ...
    '23.5.21 10:08 PM (211.51.xxx.77)

    부모가 기여가 많은자식한테 미리 증여를 해주면 되는데 보통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자식한테 미리주더라구요.

  • 8. ...
    '23.5.21 10:15 PM (122.36.xxx.161) - 삭제된댓글

    줄것이 있는 부모라면 장남에게 더 주었으면 더 주었지 덜주는 경우는 못봤어요. 가난한 부모야 장남에게 기대는 경우 있지만 이런 경우는 아무에게도 줄것이 별로 없죠. 장남들의 욕심이란... 장남들이 결혼할 때는 부모들이 적어도 전세자금은 기꺼이 대죠. 좀 사는 집은 집도 사주고 차도 사주던데 딸들 결혼할 때는 혼수 삼천. 그런데 장남들은 남은 재산을 엔분의 일 한다고 하면 자기 것을 도둑맞는 다고 생각하더라구요. 제사를 모시는 것을 얼마나 더 쳐주어야할까요? 제사비용으로 일년에 오백만원이라고 해봐요. 십년이면 오천, 이십년이면 일억인데... 일억만 더주는 건 아니잖아요. 눈에 보이지 않는 장남으로서의 책임, 심리적인 부분을 어떻게 계산하여야 할지. 딸이 부모를 뒷바라지해도 그 육체적인 고됨이 장남의 심리적인 부담감에 비하면 참 가벼운 가 봅니다.

  • 9. ..
    '23.5.21 10:51 PM (124.53.xxx.169) - 삭제된댓글

    윗분
    그 반대의 경우도 꽤 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95317 아쿠아로빅 준비물 좀 가르쳐 주세요 14 ㅇㅇ 2023/08/18 1,007
1495316 나사계에서 영숙은 왜 인기가 없을까요 16 ㅇㅇ 2023/08/18 5,083
1495315 버버리 트렌치 왜 이렇게 됐어요???? 16 ........ 2023/08/18 5,542
1495314 닭꼬치 사먹을때 5 꼬치 2023/08/18 848
1495313 중국 헝다그룹이 파산위기인가요 12 중국발 2023/08/18 4,216
1495312 이동관 “윤석열은 밥 먹듯이 말 바꾸고 패거리 문화의 핵심에 있.. 6 B급들 2023/08/18 2,339
1495311 독일 연구진, ‘투명 쥐’ 만드는 데 성공 4 ㅇㅇ 2023/08/18 1,294
1495310 전체 통유리창 집은 겨울에 따뜻한가요? 13 ..... 2023/08/18 2,516
1495309 선풍기 추천해요 9 ... 2023/08/18 1,983
1495308 애들 세뱃돈은 어떻게 보관하시나요? 7 ㅅㅅㅅ 2023/08/18 1,439
1495307 고려은단 비타민씨가 종근당 제품보다 2배 정도 비싸던데 효과 차.. 12 노벰버11 2023/08/18 4,217
1495306 런던에 왔어요 18 ㅇㅇ 2023/08/18 3,690
1495305 EBS/KBS 당뇨 비만 프로그램을 열심히 보고 있어요. 10 매일요리초보.. 2023/08/18 3,373
1495304 인스턴트팟 하면~~ 25 ㅇㅇ 2023/08/18 4,095
1495303 예언서 2 2 류근시인낭독.. 2023/08/18 1,751
1495302 다시 해임을 맞으며 1 ... 2023/08/18 1,233
1495301 고추가루 냉동보관 안 되는 거였나요 20 보관 2023/08/18 6,776
1495300 큰 덤프트럭옆에 있다가 죽을뻔했네요 18 경차 2023/08/18 5,300
1495299 에어컨 새로 주문했는데... 2 무더위 2023/08/18 1,139
1495298 태어난김에 세계일주2 이별곡 찾아주세요 2 기안 2023/08/18 1,551
1495297 이재명부부 압색 69 ㄱㅂ 2023/08/18 7,042
1495296 대전에 저렴하게 점 뺄수 있는곳 4 뚜비 2023/08/18 1,833
1495295 남편 80 가지 2023/08/18 6,963
1495294 계란을 냉장고에 안넣었어요 5 에이미 2023/08/18 2,427
1495293 양주 어디에 팔아야 할까요? 12 허니버터 2023/08/18 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