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입시제도요.. 그냥 수능을 12번 보면 안되나요?

아이가 6학년 조회수 : 3,524
작성일 : 2023-05-17 01:05:08
6학년 아이 엄마입니다. 
지역은 경기도 비평준화 지역입니다.
고교학점제시행과 맞물려 평준화가 된다는둥 반대한다는둥,, 말 많더라구요. 
그리고 내신이 절대평가되고 수능도 절대평가 되서 결국엔 학생부의 세특이 중요하다 이런소문이 들려요. 
세특은 주로 발표 보고서 등등 수행평가 형식으로 알고 있고 학교별로 잦은 기회를 주는 학교가 있고 
관심갖지 않는 학교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특목고나 자사고가 유리할것같다는 소문도..
어쨌든 국영수 잘하는 아이들을  뽑는 건데 그 방법을  5-6가지 방법으로 줄세워서 5-6가지 모두 준비하게 만드는 제도 아닌가요? 너무 낭비같아요. 어느 전형이 유리한지 컨설팅까지 받아야 좋은 대학간다면서요...
그리고 절대평가되면 학교별 수준차이 심해서 학교마다 다 쉽게 시험 출제할거 같아요. 그러다 일부는 수능봐야하고.. 에휴 그냥 전국에 공통으로 3년동안 매학기마다 중간 기말고사를 수능형태로 전국 공통으로 보고 이것을 12번 평균내서 절대평가하고 변별력은 세특(수행평가)하는게 젤 낫지않을까요? 학생부때문에 교권도 무너지지않을거 구요...
IP : 14.138.xxx.4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17 1:07 AM (211.36.xxx.78) - 삭제된댓글

    수능보는날 비행기도 안떠요.
    직장인들 출근시간도 늦추고
    다른 학년 학생들은 학교도 안가요.
    이걸 12번 하자고요?

  • 2. ....
    '23.5.17 1:07 AM (175.193.xxx.138)

    매학기마다.... 그게 수시 잖아요?

  • 3. 원글
    '23.5.17 1:10 AM (14.138.xxx.41)

    꼭 수능이아이라도 전국 공통 시험시로 중간고사 기말고사 보는건 안되나해서요.

  • 4. ...
    '23.5.17 1:11 AM (61.79.xxx.23) - 삭제된댓글

    거기 들어가는 비용은요??
    수능 한번 보는데 수백억이 들어요
    그걸 12번이요??

  • 5. ㅁㅁㅁ
    '23.5.17 1:12 AM (58.120.xxx.28)

    문제 출제 위원은요
    1년 내내 감금 인가요 ?

  • 6. ...
    '23.5.17 1:14 AM (1.233.xxx.247)

    문제들이 문제은행에서 랜덤으로 뽑혀나오는게 아니예요...

  • 7. 수능이
    '23.5.17 1:14 AM (14.32.xxx.215)

    돈이 얼마가 드는지는 아세요??

  • 8. 아휴
    '23.5.17 1:24 AM (210.100.xxx.239)

    말이되는 얘길 하세요.
    내신절평되면 서서히 수능 무력화되다가
    없어질겁니다.
    대학별고사 생길거예요
    12번은 무슨.
    차라리 수능 한번이 공정해요.
    수능보다 내신 잘받으려고 사교육비 더 많이듭니다.

  • 9. 아마
    '23.5.17 2:31 AM (115.164.xxx.251)

    원글님은 미국처럼 sat시험 일년에여러 번 보는것 처럼 생각하셨을겁니다.
    토요일에 시험이라 수업에 지장을 주지도 않고
    일년에 여러번보니까 수능날 컨디션나빠서 망칠까 걱정안해도 되니까 그렇죠.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 10. 수능의미없다
    '23.5.17 5:41 AM (58.126.xxx.131) - 삭제된댓글

    Ai와 인공지능 발전으로 솔직히 외우는 공부 , 수능 같은 시험이 의미가 없어지고 있어요
    어차피 사장될 지식을 대학 가기의한 줄세우기로 돈낭비라는 생각은 안 드시는 지요...
    그렇게 대학 나와서 취직이 될지
    안될지 모르는 세상이 올 텐데요.... 어쩌면 대학타이틀 자체가 무의미해질지도요..

  • 11.
    '23.5.17 6:32 AM (58.231.xxx.119)

    고교학점제가 전 좋아 보이지가 않아요
    수능 무력화
    절대평가제
    이걸로 잘 하고 열심히 하는것을 어찌 알죠?
    도리어 예전 수시처럼
    엄마정보력이 판 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에요

  • 12. 이렇게하면
    '23.5.17 7:16 AM (121.190.xxx.146)

    시험비를 학생들에게 현실화시킨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 아닌가요?
    ㅡㅡㅡㅡ
    말이 좋아 현실화지 그럼 돈있는 집은 12번치고 없는 집은 1번 치겠죠
    이게 없어진 수시 무제한 접수하고 뭐가 달라요?

  • 13. 세특
    '23.5.17 7:20 AM (110.11.xxx.45)

    은 학교마다 과목샘마다 차이가 큰 부분인데 이걸로 변별을 가지면 힘들어지죠

  • 14. ㅅㅅ
    '23.5.17 7:39 AM (113.52.xxx.185)

    참고로 학력고사 시절 1년에 2번 본 적은 있었어요. 1번은 너무 가혹하다고 해서... 1990년대 어느 해였을 겁니다. 그 두번도 감당이 안 되어 폐지했는데 1년에 12번요?

  • 15. ......
    '23.5.17 7:42 AM (175.223.xxx.199)

    12번 보면 만점자와 고득점자가 엄청 많아질텐데
    감당할 자신 있나봐요?

  • 16. 위에
    '23.5.17 8:11 AM (58.140.xxx.139)

    학력고사 2번 아니에요
    1994년 수능을 두 번 봤죠

  • 17. ㅡㅡㅡㅡ
    '23.5.17 8:36 A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전국가적 시험 한번 보는 것도 비용이 얼만데요.

  • 18. ㅡㅡㅡ
    '23.5.17 9:00 AM (183.105.xxx.185)

    희한하죠. 사실 수능 강화하는 게 젤 편한데 ..

  • 19. 저기요
    '23.5.17 9:16 AM (182.229.xxx.215)

    원글님이 말하는, 그렇게 중간기말 봐서 입시 치르는게 지금 수시예요
    제일 큰 문제가 뭔지 아세요?
    3년 내내 애들이 입시에 매달려야 하고, 단 한 번의 실패도 용납되지 않아요
    고1 입학해서 한 달반만에 중간고사 보는데 그게 입시에 들어가니까 중학교때부터 선행 다 해놓고 가는 거예요
    3년 내내 한 번이라도 사춘기 방황 따위로 시험을 소홀히 할 수가 없죠. 애들한테 실패할 기회가 없어요

  • 20. 수시가 수능12번
    '23.5.17 9:55 AM (61.84.xxx.71)

    12번 수능보는게 수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0239 108배 염주 3 무념무상 2023/05/23 1,128
1470238 임산부 경찰 에스코트 사건 15 ... 2023/05/23 4,940
1470237 본인도 모르는 당뇨이면. 7 증상이 2023/05/23 3,232
1470236 3년 전체계좌 수익률 8 수익 2023/05/23 1,869
1470235 정신과 진료기록 이력으로 보험가입시 불이익 있을까요? 4 ... 2023/05/23 1,896
1470234 빅마마 이혜정씨 매력있네요. 29 ... 2023/05/23 7,109
1470233 고구마는 다 구워 얼리는게 진리인가뵈요.. 13 박스 2023/05/23 5,555
1470232 알바비 소득이 얼마 이상이면 건강보험 나오고 그런게 있나요? ㅇㅇ 2023/05/23 626
1470231 사랑하는 82피플님 소나티네 곡좀 찾아주세요 3 소나티네 2023/05/23 556
1470230 간설파마후깨참 닭다리 4 양념 2023/05/23 1,321
1470229 50살 여자사람, 영어공부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요? 6 무엇이든 조.. 2023/05/23 3,411
1470228 코로나 재감염 얼마만에 되셨어요? 4 걱정 2023/05/23 1,687
1470227 고등학교 수업시 녹음해도 되나요? 2 .... 2023/05/23 2,214
1470226 등기원인과 등기접수? 4 궁그미 2023/05/23 348
1470225 몽골 사시는 분 계실까요? ... 2023/05/23 559
1470224 70년대생들도 형제자매남매가..2-3명이 제일 많지 않나요.??.. 26 ... 2023/05/23 3,325
1470223 친정 아버지한테 화가 나요 9 .... 2023/05/23 3,889
1470222 73년 이전 출생자 분들 3 아프지마 2023/05/23 3,006
1470221 아이 반 애들 코로나로 16명결석이래요 14 ... 2023/05/23 7,639
1470220 아이두고 부부 여행 언제 처음하셨나요? 7 아이 2023/05/23 1,409
1470219 심형탁 5억 소송 무죄·사기방조 무혐의 9 abcd 2023/05/23 5,660
1470218 마이 시크릿 호텔 1 드라마 강추.. 2023/05/23 553
1470217 부추전에 계란 넣어요 말아요? 18 부추 2023/05/23 2,855
1470216 화재원인 중 딤채오래된 것 (리콜서비스는 받았어요) 5 ㅇㅇ 2023/05/23 1,084
1470215 보톡스 효과 언제 나와요? 9 .. 2023/05/23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