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군에 대해 제 생각

학군없음 조회수 : 1,860
작성일 : 2023-05-09 15:31:44
저 어릴적에 서초동에서 살았었어요. 강남, 대치...에 댈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학교로 볼때 크게 나쁜 동네는 아니었지요.
저는 그냥 저냥 중상 정도 성적이었어요. 그런데 교육적으로 보면 중요한 시기에, 아버지의 이유 없는 고집으로 서울 변방으로 이사를 갔네요. 자가로 살고 있어서, 전세값이 올라서 더 싼 지역으로 간 것도 아니고요.  
(아버지가 진짜 이유 없는 고집으로 잘못된 결정을 몇 번 하셨었고, 엄마는 아무런 힘이 없었어요).
아뭏튼 이사를 가고 전학을 갔는데, 학교와 동네 분위기가 많이 달랐어요.  그래서였을까요, 제 마음가짐이 헤이해지기 시작했고, 결국은 원래 가고자 하던 (당시 성적으로 기대해볼만한 )대학을 가지 못했어요.  물론 제가 열심히 하지 않아서였지요. 결국은 제 탓. 
그래서 저는 생각해요. 학군이란 건, 공부할 머리는 되는데 혼자서, 알아서, 아주 잘 할 깜냥이 "안"되는 아이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줄수 있겠구나.
그리고 또 하나는, 공부를 잘 못하더라도, 전체적인 분위기가 성실하고 열심히 하는 분위기라면, 성적이 상대적으로 나쁜 아이라도 어느 방향으로든 노력을 하게 되는 동기 부여나 분위기 조성이 되겠구나.
IP : 158.140.xxx.22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9 3:36 PM (218.48.xxx.188)

    대부분의 일반적인 애들이 원글님 같이 그렇죠.
    혼자서 알아서 아주 잘하는 애들이 몇프로나 되나요. 5프로도 안될듯
    그래서 다들 학군학군 하는거죠

  • 2. ....
    '23.5.9 3:39 PM (175.193.xxx.138) - 삭제된댓글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인강듣고, 교과서만 공부하는 최상위권 학생은 어디서나 상관 없지만, 대다수의 평범한 학생들은 분위기따라 친구따라 선생님 시키는대로 하니깐요.

  • 3. 역시
    '23.5.9 3:39 PM (106.102.xxx.143) - 삭제된댓글

    경험에서 나온 글이라
    더욱 마음에 와닿네요~

  • 4. ㅎㅎ
    '23.5.9 3:42 PM (58.148.xxx.110)

    맹모삼천지교란 말이 왜 있겠습니까??

  • 5. ...
    '23.5.9 3:44 PM (59.5.xxx.114)

    학군지 아이들은 적어도 인서울 상위권 대학을 바라는 반면 지방 상워권 친구들은 인서울만 해도 좋다고 생각을 하니까요

  • 6. ..
    '23.5.9 3:53 PM (175.211.xxx.182)

    동감입니다.

    저는 그래서 아이들에게 중요한게,
    잘하는 학생들 바운더리 안에 있는게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아이마다 다르겠지만,
    저희 큰아이 공부시켜보니
    어릴적부터 꾸준히 시켜서 상위권 아이들 바운더리에 들어가니
    본인이 그 아이들 벤치마킹도 하고, 안쪽팔리려고 좀 더 하더군요.

    반대로 아랫반 들어가니
    점수가 점점 하락합디다.
    다른애들도 다 안한다는게 이유였습니다.
    안해도 그냥저냥 괜찮아보이니 스르르 자연스럽게 공부를 덜 하더군요.

  • 7. 원글이
    '23.5.9 4:01 PM (158.140.xxx.227)

    대학에 들어가서, 서초동 살 적에 저보다 성적이 훨씬 아래였던 동네 친구들과 교내에서 몇 번 우연히 마주쳤어요. 그때 제가 얼마나 중요한 시기를 허투루 보냈는지, 참 후회가 많았죠. 대학 생활을 즐겁게 했던 것과는 별개로요.

  • 8. 그래서
    '23.5.9 4:10 PM (118.235.xxx.5)

    아이들이 비슷한 분당 같은데가 좋은거 같아요

  • 9. ....
    '23.5.9 4:25 PM (59.15.xxx.141)

    저도 공감해요
    저도 중학교땐 학구열 강한 동네 살면서
    애들 분위기 때문에 같이 열심해 했거든요.
    맨날 도서관가고 밤새고ㅎ 중학생이 그렇게까지 열심히 할필요는 없었는데
    근데 고1때 변두리 공부 엄청 안하는 학교로 전학가니까
    저도 어느 정도는 해이해지게 되더라고요.
    고3때도 점심시간에 교실에서 공부하는 애가 없었을 정도니 말 다했죠. 공부하는 애가 이상하게 보이는 분위기ㅠ
    그때 경험으로 주변 분위기 중요하다 생각해서 제 아이는 학군지에서 키웠어요.
    주위 친구들이 다 학원다니고 공부하니까 아이도 당연하게 여기고 하더라고요.
    아이 대학 잘 갔고 친구들도 다 잘 갔어요. 비슷한 아이들끼리 어울려서 비슷한 분위기에서 지내게 되는게 학군지의 장점인것 같아요.

  • 10. 네네
    '23.5.9 6:32 PM (211.58.xxx.161)

    아 학군지 ㅠㅠ
    등급2-3단계 낮아질텐데 감수하고갈만할까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02023 아직 일어나지도 않는일을 미리 걱정합니다 5 가을 2023/09/08 1,655
1502022 집에서 핸드폰만 볼 거면 가장 저렴이 돋보기 안경알이면 되나요?.. 3 독서용 돋보.. 2023/09/08 1,091
1502021 전기세 또 올린대요 나쁜ㅅㄲ야 30 2023/09/08 2,913
1502020 밀레 인덕션 어떤가요? 4 독특한 인덕.. 2023/09/08 935
1502019 여름두릅 생으로 먹어도 되나요 4 잘될꺼야! 2023/09/08 821
1502018 핸폰 초기화하면 사진도 다 없어지나요? 3 모모 2023/09/08 1,186
1502017 책가방 대용 캐리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ps 2023/09/08 416
1502016 애들 어릴 때 5 ... 2023/09/08 836
1502015 문과 수능 평균 3등급이면 숙대 못 가나요 15 ?? 2023/09/08 4,247
1502014 서울둘레길 1 명절 2023/09/08 730
1502013 기빨리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12 푸른이 2023/09/08 3,792
1502012 만일 로또 1등이 된다면 11 ㅇㅇ 2023/09/08 2,372
1502011 돼지고기 앞다리살로 갈비찜 흉내내기 20 음.. 2023/09/08 3,461
1502010 1992년 윤금이 사건 기억하시나요? 5 ..... 2023/09/08 2,521
1502009 엄마랑 같이 살고있는 집 시세가 6억정도인데요 8 ㅇㅇ 2023/09/08 3,374
1502008 진상의 잣대 4 슬픔 2023/09/08 1,065
1502007 아이들이 커가는게 너무 이쁘고 또 한편 아까워요.. 4 Me M 2023/09/08 1,407
1502006 옥순이 같은 여자도 시기 질투, 모함을 받네요 19 ㅎㄴㄹ 2023/09/08 6,285
1502005 유튜브 덕분에 반찬 만들기 편해졌어요 5 ^^ 2023/09/08 2,421
1502004 바닷가왔는데 왜이렇게 잠이 쏱아지죠~~? 8 졸려 2023/09/08 1,305
1502003 헐렁한 옷들이 유행을 하니 5 유행 2023/09/08 4,764
1502002 초고학년 딸 벌써 엄마 옷이나 악세사리 탐내네요 3 ㅣㅣㅣ 2023/09/08 1,064
1502001 이제 시간있고 돈 좀 있으나,,,,, 8 그러게 2023/09/08 2,452
1502000 교사 집단도 문제있다 20 혀늬 2023/09/08 3,058
1501999 어이없는 교육박람회 전당대회하는줄 1 어이없음 2023/09/08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