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안에서 첫째 (특히 딸) 특징이라는데..

신기 조회수 : 7,869
작성일 : 2023-05-09 11:28:03

유튭 보다 나온건데 첫째들 특징이 
"주로 현관 옆방을 쓴다." 

저도 첫째라 응? 했는데 
생각해보니 부모님과 살때 이사 3번 하는 동안 한번 빼고는 계속 현관 옆 혹은 맞은 편 방. ㅋㅋ

IP : 222.101.xxx.29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9 11:30 AM (119.70.xxx.119)

    저는 안방 다음으로 큰방이요.
    지금은 현관 앞이긴 한데, 다른집들에서는 안쪽일때도 많아서.
    위치 상관없이 부모님방 다음으로 큰방 썼어요.

  • 2. .....
    '23.5.9 11:30 AM (221.157.xxx.127)

    막내가 안방맞은편이니까

  • 3. ..
    '23.5.9 11:33 AM (211.208.xxx.199)

    저희는 현관 옆방이 남향이고 아들인 큰 애가 추위를 많이 타서 항상 그 방을 주고
    안방 맞은편은 넓지만 북향이라 둘째인 딸애한테 줬는데
    그것도 특징에 해당될까요? ㅎㅎ

  • 4. ...
    '23.5.9 11:36 AM (211.234.xxx.203)

    저는 첫째고 계속 안방 빼고 제일 큰방 썼는데
    보통 첫째한테 제일 큰방 주지 않아요?

  • 5. ??
    '23.5.9 11:37 AM (222.97.xxx.75) - 삭제된댓글

    아닌데요
    큰딸애 안방다음큰방
    현관방은 아들방인데?

  • 6. 저희도
    '23.5.9 11:38 AM (124.59.xxx.205)

    이사오면서 첫째 딸방을 현관 옆방을 줬어요. 왜 그런지 보니 안방 다음으로 크고, 붙박이 장까지 있는 방이 현관 옆방이에요. 그보다 작은 방은 방도 작고 장도 없어요., 그래서 당연히 큰방 준건데, 아마도 아파트 설계도들이 대부분 다 비슷하니 큰딸에게 큰 방을 준게 아닐까 싶어요.
    여자애니 옷도 많고 짐도 많잖아요. 큰애니까 더더군다나 큰방주고..

  • 7. 보통
    '23.5.9 11:38 AM (124.5.xxx.61)

    그 방에 제일 힘센 애가 쓰죠.

  • 8. ㅇㅇ
    '23.5.9 11:39 AM (116.127.xxx.4)

    저희 집도 서너 번 이사 했는데
    위치 상관 없이 큰 딸은 안방 다음 큰방
    작은 딸은 작은 방 줬는데
    본인들이 원한게 아니고 자동으로 그렇게 되고
    당연한 듯 불만도 없더라구요

  • 9. ..
    '23.5.9 11:43 AM (39.113.xxx.237)

    안방 다음으로 큰 방..

  • 10. ..
    '23.5.9 11:48 AM (175.119.xxx.68)

    사춘기때 부모방과 떨어진방 원하잖아요

  • 11. ker
    '23.5.9 11:51 AM (180.69.xxx.74)

    안방빼고 젤 큰방 아닌가요

  • 12. ..
    '23.5.9 11:53 AM (182.224.xxx.3)

    안방 다음으로 큰 방..2222
    아파트에서 안방 다음으로 큰 방이 보통 현관앞방이고
    딸이든 아들이든 큰 아이가 쓰겠죠.

  • 13. ..
    '23.5.9 11:53 AM (58.227.xxx.143) - 삭제된댓글

    우린 큰방 아들인데.. 순서상관없이 ㅎ

  • 14. ㅇㅇ
    '23.5.9 11:55 AM (96.55.xxx.141)

    전 제가 안방 다음 큰방 동생이 현관 옆방이었는데요.
    남동생 키가 183에 90키로 거구여도요.
    누나라는 서열 확실했음

  • 15.
    '23.5.9 12:00 PM (67.160.xxx.53)

    일단 안방 다음 큰 방이기도 하고, 밤 늦게 몰래 나가서 놀다가 집에 순식간에 감쪽같이 들어와서 자기도 편했…

  • 16. dd
    '23.5.9 12:03 PM (198.16.xxx.123) - 삭제된댓글

    저도 안방 다음으로 큰 방이었는데 ㅋㅋㅋ

  • 17. 버터링
    '23.5.9 12:09 PM (14.32.xxx.186)

    엥? 문간방은 아들 주는겁니다....우리집은 큰딸은 안방 다음으로 좋은방 주셨고 저도 그랬어요

  • 18. ...
    '23.5.9 12:11 PM (222.236.xxx.135) - 삭제된댓글

    전형적인 큰애 맞네요.
    안방 다음으로 큰방 줬다가 추위 많이 타서 남향인 현관 옆방으로 줬어요. 막내는 안방에서 제일 가까운 방도 맞아요ㅎㅎ

  • 19. gg
    '23.5.9 12:35 PM (211.169.xxx.162)

    ㅎㅎ 저희도 안방 다음으로 큰방을 첫째 주셔서 그렇게 방 썼어요.

  • 20. …….
    '23.5.9 12:49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보통 애 둘인 집에서 첫째 둘째 터울이 많이 지는 경우 아니면 그렇진 않는데요.
    두세살 차이면 잠자리 독립을 둘이 같이 하거나.. 작은 아이는 부모랑 좀 더 있고, 큰 애 먼저 방을 분리하게 되니 보통 안방 바로 다음 큰방을 쓰게 되죠. 저희 집은 항상 안방 맞은 편이나 주방 옆 방이 큰 딸인 제 방이었고 남동생이 현관앞 가장 작은 방 썼어요.

  • 21. ㅇㅇㅇㅇ
    '23.5.9 1:07 PM (211.192.xxx.145)

    안방 빼고, 방 고르기 우선권 있었고
    부모님이 이 방 니가 쓸래 하는 방은 다음 큰 방, 안쪽 방, 따뜻한 방, 뷰 좋은 방, 환한 방..
    돌이켜보니 동생이 싫다고 한 경우도 없었네요.
    요즘 아파트는 현관 옆 방이 큰가봐요? 작년에 지은 동생네 아파트가 현관 앞이 큰 딸 방이에요.

  • 22. ??
    '23.5.9 1:10 PM (221.164.xxx.72) - 삭제된댓글

    둘째가 딸인데 어릴때부터 오빠보다 짐이 많아 자연스레 안방 다음으로 큰방줬어요

  • 23.
    '23.5.9 1:21 PM (223.62.xxx.62)

    다 맞네요. 전 7살부터 현관 옆방 써왔고 여러 번 이사를 했지만 거기가
    1. 남향,
    2. 안방 다음으로 큰 방이었어요
    재밌네요 ㅎㅎㅎ

  • 24. 안방
    '23.5.9 1:57 PM (106.101.xxx.159)

    안방줬어요.
    우리부부방에서 젤 떨어진 곳에... 멀리 있어야 안부딪혀요.

  • 25. .....
    '23.5.9 2:03 PM (106.241.xxx.125)

    저희집은 방 5개인데 안방이 제일 크고 두번째가 안방 건너방. 세번째는 붙박이장이 없는 방. 네번째가 현관 바로 앞 방. 가장 작은 방은 신발장 지나 왼쪽으로 꺾으면 왼편방. (오른쪽은 화장실. 직진하면 다용도실과 뒷베란다)
    맏이인 제가 두번째로 큰, 안방의 맞은편방 썼어요. 고등학생일 때 이사해 결혼할 때까지 그 방 썼구요.
    둘째가 3번째로 큰 방인 문간방. 막내가 제일 작은 방이었습니다. 붙박이장이 없는 곳은 서재로 썼어요.

    지금 현재 저희 집은 방 4개인데 방 두개는 너무 작아요. 큰애가 두번째로 큰 방 (거실 맞은편에 있고 현관에서 직진하면 오른쪽 코너). 둘째는 아직 어려서 안방 건너편 방. 문간방은 옷과 운동기구 놓고 씁니다.

  • 26. 윗 댓글 중
    '23.5.9 7:04 PM (180.211.xxx.254)

    그 방에 제일 힘센 애가 쓰죠.
    |-------->
    윗 댓글 중에서 이 댓글에 공감합니다
    기가 좀 약한 둘째는 방문 열면
    현관이 보이는 것이 싫다고
    뭔가 휙 나올 것 같아서
    싫다고 하더라고요
    붙박이장도 있고 더 좋아 보이는
    방이었는데도요

  • 27. 저는
    '23.5.9 9:26 PM (58.121.xxx.80) - 삭제된댓글

    첫 딸에게 현관 방 2개를 터서 , 커다랗게 만들어, 맘껏 네 꿈을 펼치라고 했네요.
    다른 자녀 아무 불만 없던데요.

    결론은 너무 욕심 많은 어른이 되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00748 윤석열 애잔하다, 14 .... 2023/09/04 3,646
1500747 은행일 잘 아시는분? 2 00 2023/09/04 1,105
1500746 돌싱글즈 보면서 몇몇에게 공통적으로 안타까운 점 10 ㅇㅇ 2023/09/04 4,821
1500745 (촛불)국민들을 힘없게 가난하게 만들어놓고 전쟁으로 약탈 1 지금 2023/09/04 1,168
1500744 맛있는 계란이 따로 있나요? 17 ... 2023/09/04 3,011
1500743 이주호 장관 추도사에 등돌려앉은 현직교사들 11 선생님.응원.. 2023/09/04 3,919
1500742 가정법원 쉬는날이 언제인가요? 1 ㅇㅇ 2023/09/04 746
1500741 고추장물. 청양 고추도 될까요? 비법도 부탁드려요. 6 ... 2023/09/04 1,600
1500740 아이가 요로 쪽이 아프다는데요 4 요로 2023/09/04 615
1500739 【230904】[탐사보도] 바이든 욕설 파동 덮으려 대통령실 ‘.. 5 더탐사봐주세.. 2023/09/04 1,946
1500738 일본때문에 구내식당밥도 고민하게 됩니다. 8 ... 2023/09/04 1,461
1500737 가평 양평등 밥주는 숙소 1 즐거운맘 2023/09/04 1,440
1500736 맨발걷기 3일 했는데 머리가 너무 아파요 ㅜ 5 ㅜㅜ 2023/09/04 4,570
1500735 민주당, 내년 총선 개표에 신경 쓰세요 5 영통 2023/09/04 923
1500734 지금 이응경 나오는데 진짜 예쁘네요 7 우와 2023/09/04 6,986
1500733 청주시 분향소는 도대체 왜 없앴나요? 1 2023/09/04 696
1500732 코로나때문에 미각 후각을 잃었어요 6 후각 2023/09/04 1,673
1500731 오늘 병가내신 선생님들 많으신것 같아요.. 3 선생님 힘내.. 2023/09/04 2,114
1500730 신목초가 학부모 민원으로 유명한가요? 26 2023/09/04 5,101
1500729 양가부모 오래사는것도 솔직히 지옥이죠? 108 ㅇㅇ 2023/09/04 23,219
1500728 자기꿈을 손주대에서 이뤄주면 5 ㅇㅇ 2023/09/04 2,098
1500727 50대초반 철모파마하고 왔어요 20 내 머리 어.. 2023/09/04 5,499
1500726 인생이 힘들때 같이 속상해하고 울어줄 1한 사람만 있다면 5 2023/09/04 2,268
1500725 가을이 오나 했더니 다시 여름..ㅜ 14 ㅇㅇ 2023/09/04 4,799
1500724 끊임없이 돈질 자랑하는 건 왜 그래요? 13 돈이 되나?.. 2023/09/04 4,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