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구색(주황색) 조명 많이 쓰시나요?

happy12 조회수 : 3,838
작성일 : 2023-02-16 01:02:19
우리나라는 거실이든 화장실이든 하얀빛(주광색, daylight 색) 많이 쓰잖아요.
그런데 제가 호주에 산 적이 있는데, 모든집 거실등이 주황색 조명이었어요.

왜그럴까? 궁금했었는데
지식브런치 채널 + 댓글 보고 알게 되었어요.

서양인들은 모닥불에 대한 감각이 우리 동양인들과 다르게
더욱 더 따뜻하고 아늑하게 여긴다는군요.
아주 옛날부터
가축을 늑대로부터 보호할때,
특히 유목민족들은 양치기를 할 때 모닥불이 필수였고,
한밤중에 맹수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이자
따뜻하게 몸을 녹일 수 있었기에
모닥불에 대한 아늑함을 느끼는 정도가 무척 크다는군요.
그렇기에 집을 밝히는 불빛이
모닥불 색깔인 주황색이 된거죠.

반면에 우리 동양인은 농경생활이 대부분이었기에
한낮의 햇빛같은 하얀빛을 긍정적으로 여기고
밤에는 불을 키키보단 해가 지면 일찍 잤기에
모닥불에 대한 감각이 서양인보다는
덜 아늑하다고 느낀다는거예요.
그래서 백색등을 주로 쓴다는군요.

이건 하나의 가설이지만
저에게는 명쾌한 답이 된 것 같아요.

또 하나 추가하자면
호주는 카펫을 많이 썼기에
지저분한거 눈에 안띄게 하려고 백색등을 안쓴 것 같기도 해요.
청결에 있어선 우리 한국인이 최고인듯..

우리나라도 지금은 주황색 조명이 널리 쓰이는 것 같아요.
82님들 어떠세요?
IP : 121.137.xxx.107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2.16 1:04 AM (61.77.xxx.72)

    이번에 집 전체 주광색 led로 바꿨어요 환한게 좋아서요
    식탕등만 주황색으로 했네요

  • 2. 플럼스카페
    '23.2.16 1:06 AM (182.221.xxx.213)

    저는 이 용어가 지금도 혼동되는게
    주백색, 주광색, 전구색 구분을 못합니다.ㅠㅠ
    등 사러가서 고민하다 온 적 있어요.

  • 3. 저희집은
    '23.2.16 1:07 AM (180.229.xxx.53)

    다 전구색이예요.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이 좋아서요.
    우리 언니는 전구색은 답답하다며..주광색이 좋다고..

  • 4. 오오오
    '23.2.16 1:09 AM (211.58.xxx.161)

    그렇군요
    전구색이 고급스럽고 이쁜데 우리나라집들은 왜케 촌스럽게 흰색쓰나 다같이 전구색이면 밖에서 볼때 이쁠텐데 우리집만 튀네했어요

  • 5. ㅇㅇ
    '23.2.16 1:10 AM (211.234.xxx.142)

    가족이 모여앉는 식탁에만 따뜻한 느낌 들게 전구색(주황색) 달았어요.
    음식도 더 신선하고 먹음직스러워 보여서 좋더군요.

  • 6. ..
    '23.2.16 1:11 AM (211.110.xxx.60)

    우리집은 설정가능해요 주광색~ 전구색 모두요 아주 진한 전구색 중간전구색 전구색섞인 흐리멍텅색 약간 백색 완전 백색 즉 휴대폰어플에 바(bar)로 되어있고 집벽에는 다이얼로 되어있어 손가락으로 원하는 색으로 이동가능 그리고 밝기도 원하는대로 가능하고요.

  • 7. 저희
    '23.2.16 1:12 AM (210.96.xxx.10)

    방은 주광색
    거실 부엌 화장실 전구색

  • 8. zz
    '23.2.16 1:19 AM (112.151.xxx.59) - 삭제된댓글

    주광색이요
    상쾌하고 환함이 좋아요
    근데 평소엔 간접조명(이것도주광색) ㅋ

  • 9.
    '23.2.16 1:26 AM (140.248.xxx.187)

    올 전구색 외국집 살때…
    어둡고 늘어지고~
    특유의 형광등색은 차가워 보여서 싫어했어요.

    지난집 led 올공사 하면서
    4000k 조명하니까
    밝고 깨끗하면서도 찬기는 없는 난색이라
    참 좋다 느꼈어요.

  • 10. 저는
    '23.2.16 1:29 AM (112.146.xxx.207)

    저는 눈이 약해서 밝은 등이 너무 힘들어요, 싫기도 하고.
    그리고 어릴 때부터 주황색 불빛 좋아했어요~ 설레는 빛 ㅎㅎㅎㅎ 예쁜 오두막 창가에 놓인 램프 불빛 같지 않나요.

    따스하고 아늑한 주황색 스탠드
    여기저기 두고 삽니다. 예뻐요~

  • 11. 원글님해설
    '23.2.16 1:32 AM (211.250.xxx.112)

    이해갑니다. 잘 읽었어요

  • 12. ...
    '23.2.16 1:48 AM (112.147.xxx.62)

    전구색 간접조명 스탠드
    보조용으로 두는데
    형광등 다 끄고 켜놓으면
    눈도 편하고 마음도 포근해요

    가끔은 암막커튼 쳐놓고 켜놔요

  • 13. lllll
    '23.2.16 2:48 AM (121.174.xxx.114)

    주광색은 푸른빛이 돌아 너무 차고
    전구색은 답답하구요
    4000~4500K 정도의 주백색이 좋네요.
    주백색을 못구하면
    주광색과 전구색을 하나씩 달아 빛을 믹서해서 사용해요.

  • 14. ....
    '23.2.16 2:52 AM (58.231.xxx.145)

    식탁은 제가 앉아서 책도 보고 노트북도 쓰는 공간이라서
    주광색 하얀빛이예요.
    주방도 주광색,청결해보이고요
    거실은 주백색이요
    적당히 아늑해보여서 좋아요
    포인트 주는 다운라이트들도 모두 주백색이예요

  • 15. ㅇㅇ
    '23.2.16 3:35 AM (125.129.xxx.163)

    주광색(쨍한 백색)
    >주백색(태양빛과 흡사, 연한 노랑색)
    >전구색(노랑색)

    저희집은 전구색은 너무 노랗고 쨍한 주광색은 눈부셔서 전부 주백색으로 사용해요.
    몇몇 등은 조절 되는데 전구색 보다 살짝 밝게 써요.

  • 16.
    '23.2.16 3:42 AM (211.212.xxx.141)

    고급진 색을 전구색이라 하긴 하던데
    저는 전구색밑에서는 물체의 실제 색깔 판별이 어려워
    주광색이 좋더군요.

  • 17. ㅡㅡㅡ
    '23.2.16 5:04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우린 아궁이에 불이 있었어요
    인테리어 잘해놓고 흰빛으로 마무리하는 사람 이해 안돼요

  • 18. ㅡㅡㅡ
    '23.2.16 5:08 AM (218.55.xxx.242)

    우린 아궁이에 불이 있었어요
    인테리어 잘해놓고 흰빛으로 마무리하는 사람 이해 안돼요
    흰빛을 많이 사용하는게 디자인감이 유럽보다 떨어지는것과 관련 있는것도 같고

  • 19. 주광색
    '23.2.16 6:56 AM (121.133.xxx.137)

    맘이 안정이 안돼요 전ㅋㅋ
    주백색과 전구색 적당히 섞어놨어요
    주광색은 엘이디 보편화 된 이후
    안써봤어요

  • 20.
    '23.2.16 7:01 AM (173.206.xxx.242)

    저는 주백색이요. 3000-4000K정도

  • 21. 간접등
    '23.2.16 7:26 AM (59.10.xxx.178)

    가능하면 간접등 사용하고
    전구색으로 써요
    주방일 할때는 주백색 쓰구요
    훨씬 안정감 있고 형광등색은 눈이 불편해요

  • 22. 전구색
    '23.2.16 7:29 AM (112.150.xxx.117)

    저희는 방 등까지 전구색이요.
    요즘은 led 등도 전구색 나와서 좋아요.
    눈이 편안하고 아늑해서 좋아요.

  • 23. 주광색 노
    '23.2.16 7:31 AM (59.6.xxx.68)

    주광색은 너무 차갑게 밝아서 리모델링 할때 아예 제외시켰어요
    그 푸르고 차가운 빛은 어떻게 봐도 극단적이고 과하다는 생각이 들고 눈 아파서요
    그래서 주광색과 전구색 사이의 적절히 편안한 빛인 주백색을 기본으로 깔고 식탁과 코너공간처럼 아늑한 분위기를 원하는 곳만 전구색으로 하고
    저는 주광색이 햇빛과 닮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 24.
    '23.2.16 8:03 AM (112.152.xxx.59)

    저도참고할게요

  • 25. 여행가서
    '23.2.16 8:15 AM (211.36.xxx.74) - 삭제된댓글

    숙소가 형광등 색으로 되어 있으면 업체나 집주인이
    너무 감각 없는 사람이구나 해요
    가정집도요
    어떻게 주광색으로 살 수가 있지?
    우리 남편 같은 사람

  • 26. 저도
    '23.2.16 8:38 AM (210.95.xxx.43)

    전구색 조명이 좋아요.
    따듯한 느낌이 좋아서
    조명공사할때 안방도 전구색으로 했는데
    안방은 좀 아닌듯 해요 ㅋㅋㅋ
    업자가 말릴때 고심할껄 묘하게 느낌이 다르더라구요.

    동네 까페가 있는데
    거긴 조명이 주광색이에요.
    주인장 정말 센스없단 생각이 들더군요
    어떻게 까페가 주광색일 수 있는지..
    보기만 해도 들어가고 싶지 않아요.

  • 27. 초록
    '23.2.16 10:38 AM (39.7.xxx.49)

    저희는 주백색 4000k에 식탁등만 전구색이에요.
    남편이 전구색을 답답해해서 주백색을 했는데,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전부 벽간접이라 전구색으로 했으면 좀 침침했을것 같아요

  • 28. ..
    '23.2.16 11:58 AM (220.78.xxx.153)

    책상있는 방만 빼고 다 전구색입니다. 주백색 조명을 켜면 집에 있어도 쉬는것 같지 않고 피곤하게 느껴져요. 전구색이 아늑하고 따뜻한 느낌이 들어 집이 더 이뻐보이기도 해요.

  • 29.
    '23.2.16 11:59 AM (106.101.xxx.2)

    이 글보고 참고 했었어요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3590599

  • 30. 전구
    '23.2.17 3:59 AM (58.148.xxx.236)

    주백색
    주광색x
    전구색이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39247 방탄 뷔 좋아하시는 중년분들만 18 사월이 2023/02/16 2,858
1439246 명절에 시부모가 며느리 음식준비시키는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13 명절 2023/02/16 3,803
1439245 이거 부모 잘못 맞죠? 6 // 2023/02/16 2,038
1439244 오늘 저녁 뭐해드실 거예요? 12 저녁 2023/02/16 2,110
1439243 보통 다른 지자체에서 대장동같은 사업하면 이익 환수 1 포포로포 2023/02/16 398
1439242 네이버페이 모으는 재미 2 ... 2023/02/16 1,972
1439241 혹시 포토샾 구독하신 분께 질문입니다. 7 포토샾 2023/02/16 463
1439240 서초동에서 이상한 거래 하나 나왔어요 23 ..... 2023/02/16 6,542
1439239 월세로 6년 거주했어요 17 2023/02/16 5,456
1439238 82에서 정말 좋았던 댓글 두개 공유합니다 50 ..... 2023/02/16 5,474
1439237 연산 교재 추천 부탁드려요 79 2023/02/16 257
1439236 쑥갖으로 부침개 가능 ? 14 요리.궁금 2023/02/16 1,308
1439235 참기름 들기름 수입은 먹으면 안될까요? 13 ㅇㅇ 2023/02/16 2,368
1439234 오늘 검사결과받고 바로 전화왔네요. 11 친구 2023/02/16 4,332
1439233 소식하면 장수한다 속설 입증됐다 11 ㅇㅇ 2023/02/16 5,150
1439232 돈 많은 사람들이요 6 ㄷㄷ 2023/02/16 2,261
1439231 박명ㅅ 도 유재 ㅅ 한테 얻어먹어요 3 .. 2023/02/16 3,218
1439230 전기압력밥솥 크기 10인용?6인용? 8 밥솥크기 2023/02/16 965
1439229 X쿠 밥솥.. 올 스테인레스 vs 트윈프레셔 어떤게나을까요? 7 2023/02/16 1,248
1439228 송악산둘레길 6 제주 2023/02/16 1,367
1439227 직장 내 성과평가 4 2023/02/16 929
1439226 지금 딱 냉장고 재료가 10 .. 2023/02/16 1,115
1439225 부친상을 치르면서 느낀점 36 ㅇㅇ 2023/02/16 21,660
1439224 이 프라다 지갑 진짜인지 봐주세요 6 000 2023/02/16 1,936
1439223 배임으로 손해? 제3자 뇌물죄? 7 0000 2023/02/16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