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혹시 지진나면 아파트 고층 저층 중에 어디가 위험한가요?

ㅇㅇ 조회수 : 4,976
작성일 : 2023-02-08 10:33:06

고층 저층 중에 어디가 더 위험한가요???
IP : 119.69.xxx.254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위험
    '23.2.8 10:34 AM (39.7.xxx.195) - 삭제된댓글

    다 위험하죠

  • 2. 다 아닌가요?
    '23.2.8 10:35 AM (223.38.xxx.210)

    무너지면 뭐 고층이나 저층이나

    그런데 증후 있을땐 대피하는건 저층이 빠르겠죠

  • 3. 다죽는
    '23.2.8 10:35 AM (61.105.xxx.11)

    그런거 없이
    그냥 폭삭

  • 4. ㅇㅇ
    '23.2.8 10:35 AM (119.69.xxx.254)

    건물이 무너진다는 상황에선.. 어디가 위험할까요

  • 5.
    '23.2.8 10:35 AM (1.225.xxx.114) - 삭제된댓글

    다죽어요.
    그나마 저층이 좀나을지

  • 6. 일단
    '23.2.8 10:36 AM (112.153.xxx.249)

    저층은 전조증상이 보일 때 대피하기는 좋겠고,
    갑자기 무너진다면 고층은 충격이 더 클 것 같고...
    다들 피해를 입겠지만 굳이 따지자면 그래도 저층이 더 낫지 않을까요?

  • 7. 우리나라는
    '23.2.8 10:36 AM (125.204.xxx.129)

    지진이 빈발하는 곳이 아니라서 내진설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다 위험해요.

  • 8. 다 죽죠
    '23.2.8 10:38 AM (223.38.xxx.210)

    천정만 무너져도 다치는데 윗층도 다 무너지일텐데요
    (건물만 무너지나요 가구등 물건도 다 쏟아지고 난리일텐데 그 하중 대단하겠죠)

  • 9. ㅁㅁ
    '23.2.8 10:39 AM (49.167.xxx.50) - 삭제된댓글

    별 의미없지 않나요? 전조증상도ㅠ별로 없는 모양인데요 ㅠ
    전에 재일교포가 티비에 출연해사 지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일본은 지진이 많은 나라라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는데
    그 내진살계도 옆으로 흔들리는 지진은 아니 정도 견디는데
    아래위로 흔들리는 지진에선 그것도 잘 못 견딘다고 그러다군요
    아래 위로 흔들리는 지진 있고 옆으로 흔들리는 지진이 있다는 건 또 처음 알았네요

  • 10. 무너지면
    '23.2.8 10:40 AM (175.199.xxx.119)

    살 확률은 고층이라더라고요

  • 11. ...
    '23.2.8 10:41 AM (211.104.xxx.198) - 삭제된댓글

    한국은 아파트가 워낙 많고 일본만큼 꼼꼼하게 내진대비 설계된것도 아니라서요
    저층이 그나마 나을거 같아요

  • 12. ㅇㅇ
    '23.2.8 10:43 AM (118.235.xxx.227)

    건물 무너질정도면 고층이 낫지않나요 저층은 깔리는데

  • 13. ........
    '23.2.8 10:45 AM (59.15.xxx.53)

    요즘 신축은 내진설계가 되어있는데
    예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정말 다 무너질거같아요....ㅠ.ㅠ

  • 14. ahwl
    '23.2.8 10:47 AM (211.197.xxx.68)

    저층이죠
    뛰쳐나가기도 싶고

  • 15. ..
    '23.2.8 10:51 AM (39.7.xxx.235)

    당연 저층이 안전하죠
    대피가 빠르잖아요
    고층은 꼼짝없이..

  • 16. 그럼
    '23.2.8 10:54 AM (112.153.xxx.249)

    내진설계 적용된 아파트는 언제 이후 지어진 아파트일까요?

  • 17. ㅎㅎ
    '23.2.8 10:56 AM (112.172.xxx.15) - 삭제된댓글

    낮은거물 저층이 제일 안전하고
    대피가능함 저층 .불같은 태풍에도 저층이

  • 18. ......
    '23.2.8 11:04 AM (211.250.xxx.45)

    제가 포항살아서.......
    또 건축일을해서.....

    당연히 지진이 어느정도냐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위험한 건물은 벽돌건물
    그다음은 1층이 주차장인 피로티건물순인데요
    내진설계가 반영이 되었다해도 그당시 기준이 다 다르기때문에 아무래도 오래된아파트는 어느정도 금은 갈거에요
    90년대 초반이후정도는 어느정도 반영은 되어있어요

    지금 새로짓는건물은 2층이상이거나 주택은 1층이라도 무조건반영 (시공을 어찌하냐가 관건)

    지진나고 40층에 살던 지인
    정말 트라우마 너무심해서 (위로 갈수록 흔들리는폭이 크니까)
    1층으로 이사갔어요

    아파트가 무너질정도의 지진이면 저층고층 의미없어요

    자연앞에 인간은 나약하기만합니다

  • 19. 내진설계
    '23.2.8 11:05 AM (14.32.xxx.215)

    우리나란 믿을수도 없어요
    저층은 그냥 다 죽고
    고층도 최고층일때 정도
    그것도 바닥 벽체가 안전해야 살아남겠죠

  • 20. 전에
    '23.2.8 11:07 AM (112.153.xxx.249) - 삭제된댓글

    가끔씩 지진증상 느꼈다는 글들 올라올 때 있었잖아요.
    근데 그 글들 올라올 때마다 저는 한 번도 느낀 적이 없었거든요.
    당시 저희 지역 커뮤니티에도 글들이 올라오고 그랬는데요.
    윗글 읽고 보니 저희집이 3층이라 아무래도 흔들리는 폭이 적어서 덜 느꼈나 싶네요.

  • 21. ...
    '23.2.8 11:41 AM (59.15.xxx.61)

    저층이 그래도 안전하죠

  • 22. 통계
    '23.2.8 11:51 AM (211.197.xxx.68)

    지진이 잦을수록 저층거래가 활발하대요

  • 23. 똑같다니ㅋㅋ
    '23.2.8 12:01 PM (39.7.xxx.208)

    저번 포항지진크게 났을때
    저 1층이라
    바로 튀어나갔는데
    고층사람들 울고불고 난리치며
    계단 걸어내려왔어요.
    어르신들 있는집
    애들 있는집
    대피 엄청느렸고요.

    계단 내려오면서
    극심한 공포에 떨었대요.

    바로 튀어나갈수 있는 1층이
    그나마 낫죠.

  • 24. ,,
    '23.2.8 12:02 PM (223.63.xxx.100)

    전에 보니까 일군 브랜드 아파트들도 벽돌 쌓아놓고 시멘트도 안바른 상태 그게 문제라고 나오던데요
    우리도 욕실 수리할때 보니까 타일 뜯어내고 안에는 벽체에 벽돌쌓아만 놓은 상태
    정말 눈가리고 아웅이던데요

  • 25. ..
    '23.2.8 12:11 PM (49.173.xxx.146)

    몇년전 21층 살때 지진났는데 건물이 흔들흔들..
    강진이면 꼼짝못하고 죽을듯한 공포에 지금 일층사네요~

  • 26. 아파트는
    '23.2.8 12:58 PM (112.153.xxx.249)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구조잖아요
    위에 벽돌 이야기는 내부 가벽 이야기겠죠.
    고층아파트를 벽돌구조로 쌓는 건설사가 어디 있어요?

  • 27. . .
    '23.2.8 1:22 PM (1.225.xxx.203)

    밖으로 대피하는걸 제외하고
    무너졌을 때를 가정하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튼튼하다고 들었어요.
    아무래도 건물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었을테니까
    지하주차장 기둥 옆이 안전하다고 들었어요.

  • 28. 불이야
    '23.2.9 10:20 AM (58.123.xxx.140)

    불나고. 23층에서 비상계단으로 내려오는데 공포감 말도 못했어요
    골절로 엄마가 다리에 기부스까지해서 다들 뛰쳐나가는데 우리는 거북이 걸음 ㅜㅜ 다행히 큰불로 안번지고 그집 환풍기에불이나서
    그집만 조금 불타고 ㅜ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54536 요즘 제일 후회하는거 어릴때 미용 배울걸 18 ... 2023/04/09 6,622
1454535 인상 쓰지 말아야지.. 1 2023/04/09 1,377
1454534 100분토론 ㅡ 홍준표 & 유시민 토론하면 좋은.. 1 백분토론 2023/04/09 1,151
1454533 100분 토론 시작합니다 1 ㅇㅇ 2023/04/09 582
1454532 대전서 대낮 음주 '스쿨존 돌진'…9살 여아 결국 숨져 6 ㅇㅇ 2023/04/09 1,740
1454531 예전에 그 떡볶이 비법 할머니요. 6 ..... 2023/04/09 4,349
1454530 염통 손질하다가 적성 발견했어요. 37 ... 2023/04/09 5,647
1454529 태양계 행성들의 실제 모습 (풀버전: 1시 30분)|우주다큐 6 ../.. 2023/04/09 1,750
1454528 대저토마토 파란거 먹어도 되나요? 2 바닐라 2023/04/09 2,277
1454527 수능 올 4등급 나오는거 얼마나 어려울까요 아ㅠ 2023/04/09 1,309
1454526 중1 수행 글쓰기에는 어떤 학원이 도움되나요? 4 ... 2023/04/09 750
1454525 에어로빅과 헬스 전후에 식사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3 근육 2023/04/09 802
1454524 82가 나이든 사이트면 안 돼요?? 50 12354 2023/04/09 3,509
1454523 30대 후반 로에베 가방 3 bb 2023/04/09 2,221
1454522 진짜가 나타났다... 저 비서네 엄마 무슨 저런 오버연기를 ㅎㅎ.. 3 드라마 2023/04/09 2,733
1454521 프리미어리그에서 선정한 손흥민 탑10 골 보세요 6 ㅎㅎ 2023/04/09 966
1454520 넷 상에선 잘하는 아이 엄청 많아서 기죽는데요.. 현실은 2 그렇더라고요.. 2023/04/09 1,599
1454519 요즘에도 미용기술은 일본 유학이 좋나요? 7 ㅇㅇ 2023/04/09 2,131
1454518 김건희 며칠사이에 얼굴 달라졌네요?? 31 ... 2023/04/09 10,781
1454517 제가 조류공포증이 있는데요 8 ㅇㅇ 2023/04/09 1,806
1454516 외식하고 집에 오는데 1 결혼18년차.. 2023/04/09 2,352
1454515 영화 리바운드 봤어요. 14 ******.. 2023/04/09 6,063
1454514 여수 갓김치찌개 1 ㅇㅇ 2023/04/09 2,216
1454513 국힘당정 사업으로 대학 천원 아침밥 확대 12 2023/04/09 1,278
1454512 금통장에 있는 금 매도할까요 1 82가좋아 2023/04/09 2,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