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핫한 난방비 얘기에 묻어가는 시댁 난방기

ㅎㅎㅎ 조회수 : 2,434
작성일 : 2023-01-27 18:15:06
지금은 돌아가신 시아버님 얘기예요. 전에 82에 한번 썼다가 지운 적 있어요. 

막 제가 시집갔을 때 시댁은 기름보일러를 때는 아주 오래된 주택이었어요. 
재개발 예정지라 시청에서 아예 도시가스 설비를 안해주고 버티던 곳이었죠. 

아주 아주 옛날에 지은집이라, 마당이 있고, 유리문 달린 툇마루가 있고, 툇마루를 따라 나란히 미닫이 문이 달린 방이 두개, 한쪽 끝에 부엌이 있는 그런 구조였어요. 그리고 그 부엌 뒤로 나중에 달아낸 곁방이 있었고요. 옛날집이라 그랬는지 안방도 그렇고 건넛방도 그렇고 창문이 없었어요. 미닫이 문 출입구가 창문의 역할까지 대신하는 구조. 방도 엄청 작았고요. 그런데도 옛날 집이다보니 툇마루에 달린 유리문도 홑겹 알루미늄 샤시. 미닫이 문도 홑겹 나무 문짝에 절반은 홑겹 고방유리 달아놓은. 우풍이 우풍이 말도 못하는 집이었죠. 

시댁의 난방 결정권자 ㅎㅎㅎ는 시아버님이셨는데, 난방을 굉장히 특이하게 하셨어요. 
그야말로 그 옛날 군불때는 온돌방 난방하듯.
저녁 8-9시 정도 잠자기 전이 되면 난방을 있는대로 돌려요. 보일러 온도를 최강으로 높여서, 진짜 온 방바닥이 뜨거워서 발을 디디지 못하게. 그렇게 한시간 쯤 돌린다음 난방을 딱 꺼버려요. 난방을 돌리는 동안은 문을 열어놓지 않으면 숨을 쉴 수도 없을 정도가 되었다가, 난방을 끄고 나면 얼마 안되어 싸늘하게 추워지는 집. 

이게, 아무리 그러지 말라 말을 해도 소용이 없고, 

단순히 기름값을 아낀다... 그런 의도라고 보기에는 좀 어폐가 있는게, 그래도 온수가 나오는 집이라 설거지나 부엌일을 누가하든(주로 명절에는 며느리가 하죠마는) 온수가 나오게 해 주셨어요. 보일러를 난방에서 급탕모드로 바꾸어 꼭 틀어주셨죠. 욕실은 집 밖에 가건물처럼 따로 달아낸 구조라 온수 설비가 안되어 있어서, 부엌에서 뜨거운물을 끓여다가 욕실에 갖다 놓거나, 요즘 세상에 보기드문 그 곤로, 아시나요? 그 곤로위에 들통을 올려 물을 끓여주셨죠. 나름 자상하신 분이셨어요. 

그런데 난방은 그렇게 악착같이 이상하고 희한하게...;;; 하시더란. 저희 친정도 주택이지만 친정은 그렇게 난방을 하지는 않는데... 그때야 뭐, 새색시이기도 했고, 추운 시기에 시댁에 가는 게 설날 딱 그때 한번인데 뭐라 말을 하기도 참 난감하고. 주택이라 구들장이 워낙 두꺼운가? 아니면 구들장에 군불 때고 살던 시기의 추억이 너무 강하게 남으셨나 하고 말았죠. 

그렇게 한 10년 뒤 24평형 아파트로 이사를 가셨어요. 

네... 거기서도 똑~~~~ 같이 난방을 하셨어요. 시어머니가 난방 조절기에 손을 대면 미칭개이;;;(시어머니 표현입니다!!! 미친놈이라는 뜻의 경상도 사투리) 처럼 화를 내고 소리를 질러서 난방 조절기에 손을 못대게 하고;;;;(시아버님 본인에게는 나름 뭔가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었나봐요 그게.) 
저녁 7-8시에 한시간동안, 방바닥이 뜨거워 맨발로는 디디지도 못하고 두꺼운 이불을 펼쳐놓고 그 위에서 발을 동동 구르게 하는 수준의 난방을 통해 영창대군이 당했다는 팽형을 경험하게 하고는, 식구들이 모두 땀을 뻘뻘 흘리고 어린 아이들은 머리카락이 땀으로 젖을 정도가 되어서도 본인이 설정한 한시간의 난방을 채운 다음 보일러를 딱 꺼버림. 그리고 추워지든 말든 바닥이 차갑든 말든 그냥 뒀다가 새벽 5-6시에 또 한시간동안 온 가족을 다 팽형에 처하는 놀라운....;;;

뭐, ㅎㅎㅎㅎㅎㅎㅎ 그 때는 이미 새색시도 아닌데다
난방 조절기가 있는 안방에서 저희 가족이 잤으므로, 밤에 잠 잘 때는 제 맘대로 걍 난방 23도에 맞춰놓고 편안하게 잤습니다만. 

지금 다시 되돌아 생각을 해 봐도 신기하고 웃겨요. 

구들장에 군불 때 난방하던 시절의 기억을 평생가지고 사셨던 걸까 싶기도 하네요. 지금 생각하면. 

저야 명절 하루였지만, 같이 사는 시어머니는 겨울만 되면 그 난방 때문에 시아버님과 매일 싸우셨죠. 
시어머님은 급격한 온도차이 때문에 감기를 달고사셨거든요. 시아버님은 매우 건강하셨기에 술병 말고는 병이 나 본 일이 없다는. 
명절에 보다 못한 아들들이 큰 소리를 내고 해도 아~~~무 소용이 없으셨다는. 
나중엔 그냥 다들 집을 나가버렸어요 ㅎㅎㅎㅎ 그 팽형 당하기 싫어서. 

아, 그래서 그 시절에, 24평에 살면서 파카를 껴입고 살아야하는 아버님 댁의 가스비와 34평에 살면서 가벼운 실내복 차림으로 네식구 모두 매일 따뜻한 물 샤워를 하며 살던 저희 집의 가스비는 동일했습니다. ^^;;;;
IP : 58.231.xxx.15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27 6:19 PM (211.109.xxx.92)

    원글님 글 넘 잘 쓰세요^^
    예전에 글 올리신 이 글,딸과 남편에게 해 주었더니 다 빵 터졌어요^^

  • 2. ..
    '23.1.27 6:24 PM (110.9.xxx.119)

    어? 전에 저 그런 아버님얘기 읽은적 있어요.
    그 분이신가? 아님 그런 분이 또 있으신건가?
    특이하고 재미있네요;

  • 3. ker
    '23.1.27 6:25 PM (180.69.xxx.74)

    군불 추억때문인가
    근데 아파트는 아무리 돌려도 뜨겁지 않던대요 ㅎㅎ

  • 4. ㅎㅎㅎ
    '23.1.27 6:28 PM (58.231.xxx.155)

    ker님, 아마도, 뜨거울만큼 돌려보지 않으셔서 일 겁니다.
    아파트 가스보일러가 효율이 더 좋아서 그랬는지 어쨌는지, 저는 아파트 가서가 더 힘들었어요. 진짜 두꺼운 요를 깔지 않으면 바닥에 발을 디딜수가 없는 수준이었고, 두꺼운 요 위에서도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어서 다들 발을 들었다 놨다 했어요. 특히 발바닥 굳은살 거의 없는 아이들은 더 힘들어했고요.
    한시간만 돌린다, 이게 아니고, 한시간동안 최고 온도로 돌린다... 이거예요.

    저도... 알고 싶지 않았어요. 이거. ㅋㅋㅋ

    110.9 점 둘님, 저 첫줄에 썼어요. 전에 올린적 있다고. ㅋㅋㅋ

  • 5. 제제하루
    '23.1.27 6:56 PM (125.178.xxx.218)

    아버님이 진정 난방에 일관된 철학이 있으신대요~ㅋㅋ
    보일러 조절기의 절대권을 가진 시어머님 치매기
    있으시면서 조절기 신경 못써
    제맘대로 보일러틀고
    온수 팡팡 쓰고~
    저도 결혼25년만에 일탈을 범했었어요.
    호호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던 방과 부엌~
    시모 돌아가신 빈집 지금 깡깡 얼어 있겠네요.ㅠ

  • 6. 팽형
    '23.1.27 6:57 PM (210.96.xxx.10)

    팽형 ㅋㅋㅋㅋㅋㅋㅋㅠㅠㅜㅜㅜㅜ
    아버님은 난방에 관한 나름의 세계관이 있으신가봅니다

  • 7.
    '23.1.27 7:20 PM (222.236.xxx.112)

    우리어머님은 전기장판이나 옥매트 이런거에 엄청 두꺼운 이불깔고 덮고 제일쎄게 틀어놓은후 끄고 들어가서 주무세요. 전기세도 아끼고 전자파도 방지된다며.

  • 8. ditto
    '23.1.27 10:09 PM (125.143.xxx.239) - 삭제된댓글

    팽형 넘 웃겨여 ㅎㅎㅎ
    아버님처럼 그렇게 보일러 돌리면 난방비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긴 하네요 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2446 전주역에서 3~4시간. 뭐할까요? 7 굿 2023/06/09 1,166
1472445 송혜교 차은우 예술이네요 26 .. 2023/06/09 6,909
1472444 인중 레이저 제모 횟수 2 코스모스 2023/06/09 1,611
1472443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다시보기 하세요 12 ㅇㅇ 2023/06/09 2,956
1472442 감옥에서 우울증이와서 고소한 사형수 12 .... 2023/06/09 2,840
1472441 최재천과 궤도의 북토크 - 다윈.. 2 ../.. 2023/06/09 510
1472440 민주당, 간절하고 절박한가 1 ㅇㅇ 2023/06/09 437
1472439 기차에서 통화 8 통화예절 2023/06/09 1,436
1472438 언니들...갱년기 증상이 이럴수 있는지 봐주세요. 14 uuu 2023/06/09 4,888
1472437 항공권 싸게사는 법이라네요.. 121 ··· 2023/06/09 22,192
1472436 전 아직도 사회성이 미발달했나봐요 3 초딩이 2023/06/09 1,761
1472435 처방전없이 살수 있는 신경안정제 있을까요? 9 2023/06/09 2,371
1472434 식품 쌀에 생산국 기재 요청 어디다 해야해요?(외국산) ..... 2023/06/09 285
1472433 현금이나 계좌이체만 받는 가게들 14 세금 2023/06/09 5,033
1472432 아침잠 많은 여자예요... 3 ... 2023/06/09 2,028
1472431 나이가 든다는 건... 7 happy 2023/06/09 2,624
1472430 동네 카페에서 본 알바생이..... 7 -- 2023/06/09 4,670
1472429 오늘 예약없이 가볼만한 전시회 있을까요? 7 ㅇㅇ 2023/06/09 1,180
1472428 짖는것처럼 왈왈거리는데 소리는 안내는 개는 왜 그런거에요? 2 .. 2023/06/09 656
1472427 밀양 여여정사 블루커피 2023/06/09 793
1472426 층간소음 의외의 긍정적인 부분~~?? 5 이런 2023/06/09 1,970
1472425 가사도우미 추천 1 가사도우미 2023/06/09 1,194
1472424 서울 토박이분들 콱 마 무슨 뜻인지 아세요? 24 ㅋㅋ 2023/06/09 3,674
1472423 동네 떡집 떡에서 머리카락이 .. 7 ㅇㅇ 2023/06/09 2,155
1472422 외치고 나아가야지~~~ 1 노래기원 2023/06/09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