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연금 2055년 고갈…이대로면 90년생 수급 불투명(종합)

..... 조회수 : 3,121
작성일 : 2023-01-27 17:26:22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현행 국민연금 제도와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32년 뒤인 2055년에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된다는 정부의 재정추계 결과가 나왔다. 5년 전 추계 당시 2057년보다 2년 앞당겨진 것이다.

국민연금 재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험료율 수준은 시나리오에 따라 17~24%로 나타났다. 현재 보험료율은 소득 대비 9%로, 이보다 1.7~2.7배 높여야 한다는 계산이다.

전병목 국민연금재정추계전문위원장(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7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국민연금 제5차 재정추계 시산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연금은 2003년부터 매 5년마다 재정계산을 실시해 장기적 관점에서 재정추계를 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수립하며 올해는 이 재정추계 결과에 따라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수급개시 연령, 기초연금과의 역할 등 연금개혁안을 마련하게 된다.

현재 국민연금 가입자가 내는 돈(보험료율)은 소득의 9%, 노령연금 수급자가 받는 돈(소득대체율)은 올해 기준 42.5% 수준이다. 이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40년에는 국민연금 기금 규모가 1755조원으로 가장 커졌다가 2041년 수입·지출이 적자로 전환된다. 2055년에는 이 기금이 소진돼 47조원 적자가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18년 4차 재정추계 당시와 비교하면 수지적자 시점은 2042년에서 1년, 기금소진 시점은 2057년에서 2년 당겨진 것이다.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33년부터 만 65세부터 연금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2055년에 국민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는 19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급여지출은 올해 1.7% 수준이지만 점차 증가해 2080년에는 최고 9.4%까지 오를 전망이다. 이는 4차 재정추계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시산 결과 가입자 1명 당 연금 수급자 수를 뜻하는 제도부양비는 올해 24%지만 2060년이면 125.4%로 100%를 넘고 2080년이면 최고 143.1%까지 오른다. 미래 세대의 가입자 1명이 1.43명의 연금을 책임지는 상황이 온다는 얘기다.

전 위원장은 재정추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초기 단계 시점의 상태 ▲인구구조 변화 ▲경제성장률 하락 ▲제도적인 미래 전망의 변화 등 4가지를 꼽았다.

재정추계 전망이 더 악화된 이유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가 가장 직접적인 이유라고 봤다.

통계청의 '2021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0.73명으로 2024년에는 0.7명까지 하락한다. 기대수명은 올해 84.3세로 2070년에는 91.2세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민 등 국제순이동은 올해 4만3000명에서 2030년 4만6000명, 2070년에는 4만명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전병목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장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01.27. dahora83@newsis.com

출산율이 더 악화될 경우 고갈 시점은 더 앞당겨질 수 있다. 재정추계전문위는 현재 이 시나리오에 대해 계산 중이며, 오는 3월 최종 재정추계 결과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국민연금 보험료를 낼 가입자는 줄고 연금을 받을 수급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연금 수입은 감소하고 급여지출은 늘어날 전망이다. 65세 이상 인구 대비 연금 수급자 비율은 올해 44%로, 47년 뒤인 2070년에는 84.2%에 도달한다.

실질경제성장률과 실질임금상승률이 하락하는 등의 거시경제 변수에 따라 보험료 수입은 단기적으로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가입자 비중과 납부예외자 비율이 하락한 점은 재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기금투자수익률은 2093년까지 연평균 4.5% 수준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당해연도 보험료 수입만으로 당해연도 급여지출을 충당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필요한 보험료율을 뜻하는 '부과방식비용률'도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올해는 소득 대비 6% 수준이지만 꾸준히 늘어 2080년 34.9%로 최고치를 찍고 다시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월 소득의 약 35%를 연금으로 내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적립배율과 수지적자를 방지하는 등의 재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보험료율 수준은 시나리오별로 17~24%로 현재(9%)보다 8~15%포인트(p) 올려야 한다는 추산이 나왔다. 지난 4차 재정계산에 비해 1.66~1.84%p 오른 수다. 2025년에 보험료율을 높일 경우 필요보험료율은 17.9~20.8%, 10년 더 늦은 2035년에 보험료율을 인상한다면 부담은 20.7~23.7%로 올라갔다.

재정추계전문위원회는 당초 재정추계 결과를 오는 3월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2개월 앞당겨 이날 시산 결과를 발표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산하 민간자문위원회의 시산결과 요청에 따라 연금개혁 논의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다양한 시나리오별 민감도 분석 내용 등은 오는 3월 확정되는 재정추계 최종결과에 포함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재정추계 결과를 토대로 10월까지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을 담은 '제5차 국민연금종합운영계획'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전 위원장은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는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가입·수급연령 등 제도 세부내용을 조정하지 않고, 현행 제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라며 "기금소진연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현재 진행 중인 국회 연금개혁 논의와 향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IP : 61.78.xxx.21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27 5:29 PM (220.116.xxx.18)

    연금 운용실적이 요즘은 별로냐?
    아님 누가 한입에 털어먹으려고 밑밥 까는 것이냐?

    우리나라 국민연금 운용실적 탑 클래스 아니었나?
    왜 정권만 바뀌면 연금 운용도 무능해져서 고갈소리가 나오는고?

    이것도 파보아야할 미스테리

  • 2. 연금개혁을
    '23.1.27 5:30 PM (59.1.xxx.109)

    해야하는데 누가 할수 있을까

  • 3. ......
    '23.1.27 5:34 PM (61.78.xxx.218)

    연금은 운용만 가지고 하는게 아니라 주 수입이 생산가능인구가 내는 보험료에요..

    연금 운용이란건 투자라서 항상 잘될수도 없는것이구요.

  • 4. 퇴직을 70세까지
    '23.1.27 5:36 PM (175.199.xxx.119)

    하면 몰라도 60세 퇴직하고 연금 늦게 받음 어쩌나요?

  • 5. ..
    '23.1.27 5:38 PM (222.107.xxx.180) - 삭제된댓글

    그 어떤 정책이나 제도도 저출생이라는 큰 파도를 피해갈 길이 없네요.

  • 6. 심각해요
    '23.1.27 5:54 PM (39.7.xxx.106)

    좋은 국립대도 문닫을 위기.

  • 7. 우리나라
    '23.1.27 5:59 PM (211.234.xxx.77)

    국민연금 유럽에서도 실패로 결론 난 걸 왜 자꾸 끌고 가려 그러는지.
    붓는 세대 따로, 타 먹는 세대 따로 이거는 누가 봐도 말이 안 돼는 구조잖아요. 인구가 수십년간 유지돼거나 늘지 않는한요.
    그냥 나라에서 실패를 인정 봉합해야 하는데, 계속 5년마다 거짓말을 늘이는 중

  • 8. ...
    '23.1.27 6:23 PM (125.133.xxx.160) - 삭제된댓글

    보험 회사에서 기레기들 한테 로비가..? 물론 인구가 줄어 드는 영향은 있지만..?
    이뻥박때 이런 똑같은 얘기 했었던 기억이...? 인구를 늘리는 일에 힘써야 하거늘..?..ㅉㅉ
    남,여 이간질들만 씨게들 하니..?..ㅉㅉ

  • 9. 에휴
    '23.1.27 6:32 PM (112.150.xxx.117)

    명 짧은 사람은 몇 번 못받고 죽겠네요.
    아무리 수명이 길어졌다고 해도 평균 수명일뿐
    내가 반드시 오래 산다는 보장도 없고.

  • 10. 해산
    '23.1.27 6:41 PM (61.105.xxx.165) - 삭제된댓글

    이정도면 해체하고 없애야겠어요.
    119같은 꼭 필요한 기능도 아니고
    이쁜기업 주가 방어해준다고 주식 사주고
    이래저래 구설수 잔뜩
    수령자 얼마없을 때 해체하고 끝냅시다.

  • 11. ㅇㅇ
    '23.1.27 7:26 PM (116.45.xxx.245) - 삭제된댓글

    현시점부터 국민연금 낸 금액보다 더 받아가는 사람들 선별해서 국민연금이 아닌 노인수급자로 변경해서 지급해야해요. 기초금액만 받게 다시 셋팅해야죠.
    국민연금 설계할때 수명이 이리 길어질줄 몰랐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67218 4대보험 알바 4 ㅅㅅ 2023/05/22 2,323
1467217 누군가 만나서 너무 느낌 좋았으면 상대방도 그럴까요?? 14 2023/05/22 4,774
1467216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 쓰시는 분~ 14 .. 2023/05/22 4,247
1467215 남아 사춘기 보통 언제 시작하나요? 6 사춘기 2023/05/22 2,039
1467214 브리타 쓰시는 분들~~ 19 정수기 2023/05/22 4,460
1467213 세탁세제가 똑떨어졌는데 8 게으름뱅이 2023/05/22 2,212
1467212 영어 문장 설명 부탁드려요~ 4 뒤늦게영어 2023/05/22 862
1467211 동상이몽 이다해귀걸이 어디거예요? 1 바다 2023/05/22 1,616
1467210 미국이나 캐나다 노인들요 12 .... 2023/05/22 4,810
1467209 개인전 가는데요. 14 Istp 2023/05/22 1,786
1467208 다 일본줘 미국줘 다 줘 4 매국노 2023/05/22 1,170
1467207 사주보고 손이 떨리네요 65 .. 2023/05/22 29,939
1467206 20년 이상 사용하시는 가전제품 있나요? 25 2023/05/22 3,417
1467205 알뜰폰 진짜 대박 36 ㅇㅇ 2023/05/22 14,563
1467204 남편 앞에서 표정관리가 안되네요 25 ... 2023/05/22 14,932
1467203 아이가 고등학생이 되고 나니 점점 더 어려워지네요 4 정말 2023/05/22 4,094
1467202 집에서 뿌염하는 거 실패할까요? 10 집에서. 2023/05/22 3,238
1467201 깔깔 웃고 싶어요 4 히히 2023/05/22 1,208
1467200 실기교사 자격증이 뭔가요?? 3 .. 2023/05/22 1,392
1467199 노무현 대통령님 서거 14주기를 기립니다/펌 6 그립습니다 2023/05/22 943
1467198 전 개인적으로 한남거리는 것 보기 싫어요 38 Sksksj.. 2023/05/22 3,535
1467197 정신과의사들은 상담매뉴얼이 있나요? 8 궁금 2023/05/22 2,612
1467196 방금 방자전을 반 정도 봤는데. 14 캐스팅 대단.. 2023/05/22 6,527
1467195 믹스커피 안마신지 3주... 5 믹스커피 2023/05/22 6,040
1467194 일본이 장기불황 탈출하나봐요 21 ㅠㅠ 2023/05/22 6,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