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스트글..가래떡 구워 먹으면 당독소가 생겨요 ㅠㅠ

.. 조회수 : 7,834
작성일 : 2023-01-27 17:23:53
베스트글엔 차마 진지 댓글로 못 달아서 여기에다 써봐요
당독소는 고온에서 당과 단백질이 결합해서 생긴대요
주로 노릇노릇하고 먹음직스럽게 구워지는 음식(마이야르 반응)에서 당독소가 높아지죠.
당독소가 많으면 내 피부도 노릇노릇 쭈글쭈글하게 노화된다네요.. 

가능하면 튀기거나 구워 먹지 말고 삶거나 쪄 먹으란 말은 많이 들어보셨죠
설탕 많이 먹으면 노화가 빨리 온다는 얘기도요
다 당독소 때문입니다 ㅠㅠ

높은 온도에서 튀기거나 구워먹으면 삶거나 찌는 것보다 10배 가량 당독소가 증가한대요
그리고 당분은 피부의 콜라겐과 결합해서 당독소가 되어 노화를 촉진시키구요.

당독소가 쌓이면 만성염증, 혈관문제, 당뇨병 치매 등과 관련이 있고
제게 가장 와닿는 건 피부염증과 노화 문제더라구요
빵 종류 좋아해서 두 가지 현상을 다 느끼고 있거든요
자세한 건 여기 한번 읽어보세요

https://blog.naver.com/snswg/222931023633?isInf=true

그래서 우리 82님들
가래떡 매일 구워드시지 말고
가아끔.. 조꼼씩만 드시라고
소심하게 외쳐 봅니다 ㅎㅎ
IP : 112.151.xxx.53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1.27 5:27 PM (218.158.xxx.101)

    좋은 정보 감사해요~
    상식에 눈치까지 장착하셔서
    화기애애 재미난 가래떡 글에
    찬물 끼얹을까봐 조심스레
    따로 글 쓰시는 센스~!!
    칭찬합니다.

    가래떡구이 당독소 노화..
    기억하겠습니다

  • 2. ㅇㅇ
    '23.1.27 5:29 PM (222.236.xxx.144)

    감사합니다. 조심해야겠네요.

  • 3.
    '23.1.27 5:31 PM (220.117.xxx.61)

    가래떡이 좀 들어와서
    설탕찍어 먹었는데 어쩌다가는 괜찮죠?
    너무 배부르고 맛있어요.

  • 4. 그래서
    '23.1.27 5:32 PM (59.1.xxx.109)

    제가 냉동실 가래떡 먹고 싶으면 손가락 크기만큼 구워 먹으면서도 걱정되요
    너무 맛있어서 가끔 먹는데

  • 5. 궁금해서
    '23.1.27 5:38 PM (110.70.xxx.126)

    가래떡은 탄수화물이 대부분 아닌가요?
    단백질이 없어보여서...
    (3일째 가래떡 구워먹었는디...)

  • 6. ...
    '23.1.27 5:39 PM (118.37.xxx.80)

    기름약간 넣고 가래떡 구워
    곱창김 싸서 간장에 찍어먹는 맛 아시면
    이러면 안됩니다ㅠ

  • 7. 하...
    '23.1.27 5:39 PM (1.227.xxx.55)

    그러면 닭가슴살 에어프라이어에 돌려 먹어도 안 좋은 거죠???
    그나마 그게 먹을만한데...
    어째 맛있는 건 왜 죄다 이렇게 해로운가요 ㅠㅠ

  • 8. 모모
    '23.1.27 5:45 PM (222.239.xxx.56)

    감자전은 어떤가요?
    당뇨있는데
    감자를 너무 좋아하는데
    기름과 결합하면
    혈당스파이크는 생기지 않는다해서
    즐기는데ᆢ

  • 9. 그니까요.
    '23.1.27 5:48 PM (203.142.xxx.48)

    넘 맛있는데 고지혈증땜에 당독소 생기는 음식은 안먹을려고 노력중입니다.압력밥솥에 밥 할때도 누룽지도 안생기게 해서 먹고ㅜㅜ 맛있는건 왜 몸에 나쁜걸까요ㅜㅜ

  • 10. 어차피
    '23.1.27 5:51 PM (222.116.xxx.12) - 삭제된댓글

    겨울 한철 몇번 먹을겁니다.
    3월 되면 안들 드실거라고 봅니다

  • 11. .....
    '23.1.27 5:53 PM (125.240.xxx.160)

    슬프네요.....그만먹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12. 지나다가
    '23.1.27 5:53 PM (67.170.xxx.153)

    감자도 탄수화물인데 감자전은 감자튀김과 같은급인데요.
    저도 감자튀김좋아하고 감자전은 사랑하는데...하나 먹으면 다른 하나는 포기해야하는 음식이예요
    쫀득한 감자전 먹고싶네요 ㅜㅜ

  • 13. 감사합니다
    '23.1.27 6:02 PM (222.98.xxx.31)

    좋은 정보네요.
    전 물에 팔팔 끓여서
    말랑말랑해지면 먹어요.
    맛있어요.
    조청 찍으면 더 맛있는데
    조심해야죠 ㅎ

  • 14. ..
    '23.1.27 6:03 PM (223.38.xxx.194) - 삭제된댓글

    마이야르 반응이 맛을 내는건데
    160도 170도에서 아주고온으로 기름에 튀기는 것도 아니고
    적당히 구워서 한꺼번에 많이 먹는거 아니면 괜찮지 않나요?
    그렇게 따지면 누룽지도 먹지 말아야죠

  • 15. 심각
    '23.1.27 6:20 PM (39.7.xxx.74)

    저는 튀김을 못끊겠어요. 그래서 튀김을 먹고 대신 다른 방법으로 당독소 줄이고 싶네요. ㅠ

  • 16. 오잉
    '23.1.27 6:50 PM (118.235.xxx.112) - 삭제된댓글

    찬 밥 데울 때 냄비에 물 살짝 넣어 스팀으로 데우면 바닥에 누룽지 생기면서 너무 맛있어지는데 흑흑
    그렇게 먹은지 꽤 됐어요
    당독소 때문인가 피부노화가 ㅠ

  • 17. ㅇㅇ
    '23.1.27 6:54 PM (211.203.xxx.74)

    그래서 내 피부가 요딴식인가 싶어 자세히 읽었는데
    단백질과 당의 결합인데 떡가래는 탄수화물인데도 생기는 거예요?

  • 18. .....
    '23.1.27 7:24 PM (118.235.xxx.201)

    그럼 군고구마도 그런가요? ㅠㅜ

  • 19. 젓갈도
    '23.1.27 7:38 PM (104.28.xxx.90) - 삭제된댓글

    WHO산하 국제 암연구소발표 1군 발암물질에
    젓갈이 포함된거 아셨나요.
    어제 낙지젓갈에 밥 비벼먹으니 너무 맛있었다는 글에도
    제가 댓글을 못달겠더리구요
    가끔 드시더라도 자주 드시는건 조심하시길 -

  • 20.
    '23.1.27 8:10 PM (121.152.xxx.181) - 삭제된댓글

    젓갈이 문제면 김장할때 사용하는 새우젓도 문제일까요?

  • 21. ㅇㅇ
    '23.1.27 8:12 PM (106.102.xxx.69)

    토스트가 갈색이 되는건 밀의 단백질과 반응해서..라고 써있네요
    쌀도 단백질이 어느정도 있다고 해요
    몇퍼인지 까먹음
    너무 자주 먹지 말고 ..
    특히 고기는 찜.수육 으로 먹어야겠어요!

  • 22. ...
    '23.1.27 8:29 PM (119.202.xxx.59)

    젓갈이
    소금과 단백질이만나그렇다네요

  • 23. 참나
    '23.1.27 8:38 PM (118.42.xxx.171)

    당독소가 당화혈색소랑 다른거구나

  • 24. ..
    '23.1.27 9:33 PM (112.151.xxx.53)

    밀에는 단백질이 100g당 10g 정도, 쌀에도 7g 정도 있다고 하네요.
    당화혈색소=혈색소(헤모글로빈 단백질)가 당화된 것. 당독소(최종당화산물)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이렇게 무시무시한 당독소를 어떻게 줄여야 할까요? 당독소는 음식을 통해 밖에서 들어오는 경우 50%, 몸에서 만들어지는 경우 50%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음식은 채소보다 육류에 더 많이 들어 있습니다. 닭고기는 날고기로 100그램당 692ku(ku는 당독소 단위)이지만 당근은 10일뿐입니다. 하지만 조리방식에 따라 당독소가 많이 올라갑니다. 튀김, 구이, 볶음 같이 물이 없이 조리하는 경우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삶은 달걀은 당독소 수치가 90이라면 달걀 프라이는 2,749로 30배 이상 치솟습니다. 1시간 끓인 닭고기는 1,011이지만 8분 튀긴 닭고기는 무려 6,651이 됩니다. 25분 삶은 감자는 17이라면 감차칩은 865입니다. 이렇게 가공방식에 따라 당독소 수치가 올라갑니다. 요리는 되도록 삶거나 찌거나 하는 방식이 좋고, 가공한 것보다 자연 그대로인 것이 바람직합니다. 삼겹살을 구워 먹으면 맛있죠? 굽거나 튀기면 고소한 맛과 향이 생겨 식욕이 항진되고 많이 먹게 됩니다. 좋은 약이 입에 쓰다는 말처럼 입에 맛있는 것이 몸에 꼭 좋은 것은 아닙니다. 되도록 담백하게 또한 단순한 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요리과정에서 단 것을 넣으면 당독소가 더 상승합니다. 설탕에 잰 갈비를 철판에 구워 먹는 요리가 ‘나쁜’ 음식 가운데 하나입니다. 어쩔 수 없이 튀김이나 구이를 먹을 때는 채소를 듬뿍 먹어야 합니다. 지난번 글에서 말한 식초 같은 산은 당독소를 줄여줍니다.



    탄수화물은 그 자체로는 당독소가 높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밥은 9, 식빵은 7 정도입니다. 하지만 몸에 들어오면 혈당이 올라가고 혈당이 높으면 몸에서 당독소가 많이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백미, 백밀가루, 설탕은 ‘위험’합니다. 또한 몸에 염증이 많아도 당독소 수치가 올라갑니다. 마지막으로 지방이 많아도 당독소가 몸에서 많이 만들어집니다. 비만이 위험한 이유입니다. "

    출처
    https://www.mediagunpo.co.kr/11702

  • 25. ㅇㅇ
    '23.1.27 10:55 PM (73.86.xxx.42)

    당독소 저장 ㅡ
    당독소는 고온에서 당과 단백질이 결합해서 생긴대요
    주로 노릇노릇하고 먹음직스럽게 구워지는 음식(마이야르 반응)에서 당독소가 높아지죠.

  • 26. ㅇㅇ
    '23.1.27 10:57 PM (73.86.xxx.42)

    군고구마도 안좋을까요? 찐거보다 오븐에 구운게 더 맛나는데,,

  • 27. ....
    '23.1.27 11:22 PM (220.120.xxx.189)

    갈색으로 구워진 빵은 전혀 먹지 말아야겠네요?
    빵이 주식인 분들은 당독소 문제는 어떻게 하는지.
    고기도 구워 먹고 그러잖아요

  • 28. ..
    '23.1.28 11:46 AM (211.112.xxx.78)

    당독소 다시보기

  • 29. 삶거나찌기
    '23.1.29 7:23 AM (182.221.xxx.14)

    당독소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67208 정신과의사들은 상담매뉴얼이 있나요? 8 궁금 2023/05/22 2,612
1467207 방금 방자전을 반 정도 봤는데. 14 캐스팅 대단.. 2023/05/22 6,527
1467206 믹스커피 안마신지 3주... 5 믹스커피 2023/05/22 6,040
1467205 일본이 장기불황 탈출하나봐요 21 ㅠㅠ 2023/05/22 6,882
1467204 촛불시위는 불가능하다 7 이제 2023/05/22 2,128
1467203 비즈니스 잘 아시는 분... 돈 안 주려고 하는 상대업체한테 돈.. 3 dㅇㅇ 2023/05/22 939
1467202 레인부츠 이렇게 무거운거였어요? 7 미즈박 2023/05/22 3,300
1467201 47세 6 ㅇㅇ 2023/05/22 5,105
1467200 네이버페이 결제하면 최소 1프로 적립해주나요? 1 흠흠 2023/05/22 770
1467199 달리기… 지금 할까요 내일 새벽에 할까요 6 ㅇㄴ 2023/05/22 1,707
1467198 로봇청소기 제일 기능심플 & 짱짱한 넘은 뭐에요? 4 .. 2023/05/22 1,556
1467197 저 정말 궁금해서 그러는데,, 황신혜 딸 그림 5 .. 2023/05/22 5,355
1467196 LG 코드제로와 다이슨 무선 청소기 모두 써보신 분계신가요? 6 2023/05/22 2,455
1467195 사일런트 피아노(커즈와일) 쓰시는 분 계실까요? asd 2023/05/22 524
1467194 폐경이 오면 난포자체가 2 ㅇㅇ 2023/05/22 3,597
1467193 동대문, 남대문시장에 명품st 악세서리 어디서 파나요? 오늘 2023/05/22 3,761
1467192 가끔씩. 치밀어올라오는 빡침 15 .... 2023/05/22 7,612
1467191 멍들고 발이 부었는데 어디가 안 좋은걸까요? 4 ... 2023/05/22 1,578
1467190 정훈희 님 노래 좋아하세요?? 14 wjd 2023/05/22 2,588
1467189 임성한 작가 예전 드라마 6 드라마 2023/05/22 2,610
1467188 휴대폰에 유튜브와 카톡만 못하게 가능한가요? 6 ..... 2023/05/22 1,453
1467187 은평구 구파발역 부근 어떤가요? 21 은평구 2023/05/22 4,051
1467186 바이든, "한국의 Loon(얼간이) 대통령" 7 날리면 답례.. 2023/05/22 4,799
1467185 전두화 큰아들 군대갈 때 생겨서 노태우 아들 제대하고 없어진 군.. 13 bee 2023/05/22 5,269
1467184 갱년기 약? 5 dd 2023/05/22 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