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송전탑 앞의 아파트 위험할까요?

고민중 조회수 : 4,686
작성일 : 2023-01-10 13:04:18
아파트 전세 얻으려고 하는데요
맘에 드는집이 100미터 거리에 야산이있는데
거기 송전탑이 딱 있어요
주방 창문에서 송전탑이 딱 보이네요
직선거리고 한 100미터 정도 될까 그래요

한전 직원으로 계시는 분깨 여쭤보니 괜찮다고 하는데
그래도 찜찜하네요
혹시 송전탑이 건강에 약영향을 끼치거나 하는건 아닐까 싶어서요
사실 우리 핸드폰 이랑 온갖 전자파 속에서 생활 하기는 하는데
그리고 주변이 다 전봇대고 그러긴 한데

아  고민되네요.
 조언좀 부탁드려요

IP : 112.169.xxx.45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ker
    '23.1.10 1:05 PM (180.69.xxx.74)

    피해야죠 한전은 당연히 아니다 하지만 .
    영향 있을거에요

  • 2. ..
    '23.1.10 1:08 PM (124.54.xxx.139) - 삭제된댓글

    송전탑 주변 거주민들 암발병률 높다고 본 것 깉은데 저라면 안 갈 것 같아요.

  • 3. 말만 들어도
    '23.1.10 1:08 PM (125.142.xxx.27)

    무서워요...

  • 4. ....
    '23.1.10 1:24 PM (210.219.xxx.34)

    누가 그냥 살라고 해도 안살거에요.나쁜 일 경험자.

  • 5. ...
    '23.1.10 1:28 PM (112.161.xxx.234)

    안돼요... 적어도 2킬로는 떨어져야죠.

  • 6. ㅇㅇ
    '23.1.10 1:29 PM (175.223.xxx.100)

    http://www.hamgil.or.kr/국토생명/송전탑-전자파가-안전하다고

  • 7. ...........
    '23.1.10 1:35 PM (211.109.xxx.231)

    저라면 피하겠어요..

  • 8. lllll
    '23.1.10 1:40 PM (121.174.xxx.114)

    집 잎베란다에서 보면 송전탑이 있는데
    100m거리 되겠네요.
    그냥 병없이 잘 살고 있어요.

  • 9. ..
    '23.1.10 1:44 PM (1.242.xxx.39)

    위험하고 안하고 떠나서 집이 잘 안나갈거에요. 나중에 집 뺄 때 힘들어요

  • 10. ...
    '23.1.10 1:45 PM (1.102.xxx.43)

    얼마나 고압선인가 그게 문제 아닌가요?

  • 11. 그거
    '23.1.10 1:59 PM (211.36.xxx.95)

    위험해요
    초록창에 찾아보세요
    고압선이 암을 유발시킨다는 말을 들었어요

  • 12. 그거
    '23.1.10 2:01 PM (211.36.xxx.95)

    송전탑의 전자파가 암 유발시킨다고 나오네요

  • 13. ...
    '23.1.10 2:13 PM (39.7.xxx.85)

    건강은 모르겠고 보기에 안좋아요 날씨 언좋은 날보면 더 그렇구요 굳이...싶네요

  • 14. ㅇㅇ
    '23.1.10 2:14 PM (42.75.xxx.148)

    피하죠 분양받은 것도 아닌데 왜 거길 굳이 가나요

  • 15.
    '23.1.10 2:23 PM (125.176.xxx.8)

    왜 구지 그걸 고민하세요
    다른데로 알아보심이 ᆢ

  • 16. 지나가다가
    '23.1.10 2:24 PM (180.70.xxx.227)

    고압 송전탑이면 좀 그렇네요.
    고압 송전서 작업자들 일하는것 전에 메스컴에서 봤는데
    활선이라고 해서 전기가 흐로고 있는 고압선 부근에 절연이
    되어있는 공구를 가가이 대기만 해도 30-40 쎈티 이상 스
    파크가 튀더군요,전선끼리 안닫게 하는 도자기류의 애자도
    먼지가 쌓이거나 금이가서 절연이 깨지면 그 큰 애자도
    엄청 스파크가 튑니다.

    아주 약한 전자기파가 흐르는 휴대폰도 오래 자주 사용
    하는 사람들은 뇌암에 걸릴 확율이 높다고 통계로 나와
    있습니다....고압선 인근의 거주자들도 암등 여러가지
    질병에 더 잘걸린다는 조사도 나왔구요.몸속의 세포
    유전자 변이가 장기간에 걸쳐 오는겁니다.

    전기 드라이기도 사용시 강한 전자기파가 흐릅니다.
    전자렌지 사용시에는 마이크로파가 발생하는 마그
    네 트론 부근에는 가까이 가지 말라고 합니다.
    미신 같지만 지하 수백,수키로미터 지하에 흐르는
    큰 물줄기나 지하강이 있으면 수맥파가 흘러 그
    영향이 사람에게 간다는 연구도 외국에도 많이
    있습니다,

    방사능이 눈에 안보인다고 위험하지 않지요.
    강한 방사선은 수분 이내로 사람들을 죽일수도
    있고 덜한것들은 유전자를 망가트려 수일에서
    몇년에 걸쳐 사람을 죽입니다.

    한국은 화강암 지대라 자연 방사능이 높습니다.
    땅속에 경제적이지 않은 저농도 우라늄도 많습니다.
    화강암에서 라돈등의 방사성 물질도 많이 나옵니다.
    아파트등의 콘크리트에서도 많이 나오구 반지하 집
    이나 1층등 단층 집 땅에서도 라돈이 많이 나옵니다.
    반지하 살거나 단층 사시는 분들은 필히 환기를 자주
    해줘야 합니다.

    오래전 시골 모 초등학교 마루 바닥과 땅 사이에서
    방사능 측정을 했는데 라돈이 어마하게 나온 기사도
    있습니다,...

    방사능이 많이 나오는 지역은 충북과 전북등이 있습니다.
    우라늄 광맥이 많은 지역입니다,초정리 물맛 아주 좋지요.
    그쪽 지역이 우라늄 광맥이 많다고 합니다. 오래전 다녔던
    회사 공장이 청주 사천동이었는데(초정리와 가까움)서울
    본사에서 공장에 출장을 가면 구내 식당서 밥을 먹는데...
    엄청 밥이 맛있더군요,.,공장서 구매하는 정미소에서 쌀을
    사다가 밥을 하는데도 밥맛이 다르더군요...갑자기 밥이야기를
    해서 뻘글이 되었네요...

    고압 송전선 부근에 집을 구매한다면 별로구요,단기간 전세라면
    좀 거시기 하지만 살기가 편하다면 세를 얻어도 될겁니다.

  • 17. //
    '23.1.10 2:41 PM (183.97.xxx.120)

    송전탑 500m 내 암 환자 집중 ...주민들 '전자파 공포'
    Jtbc뉴스
    https://mnews.jtbc.co.kr/News/Article.aspx?news_id=NB10946487

  • 18. ,,,
    '23.1.10 3:31 PM (124.51.xxx.190) - 삭제된댓글

    산에 갈때 몸이 전율을 느꼈어요. 그땐 몰랐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송전탑 밑으로 가던 길이더라구요. 송파구 ???아파트 보러 다닐때 먼 굴뚝에서 계속 연기나는것만 봐도 싫더라구요.

  • 19.
    '23.1.10 3:32 PM (116.37.xxx.176)

    100m는 볼 것도 없어요
    1km도 피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 20. ..
    '23.1.10 3:32 PM (218.236.xxx.239)

    실제로도 안좋겠지만 풍수에도 안좋대요. 내눈에 보이는곳에 뾰족한탑이나 조형물,건물다 아주 안좋대요.

  • 21. ,,,
    '23.1.10 3:33 PM (124.51.xxx.190) - 삭제된댓글

    산에 송전탑이 있는 많이 세워진 모습만 봐도 산이 안쓰러워보여요.. 인간의 삶을 위해 할 수 없는 일이긴 하지만요.

  • 22. @@
    '23.1.10 8:05 PM (58.79.xxx.167)

    송전탑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건물,주거지는 전기요금 할인해준대요.
    한전에서 정한 거리 기준이 있겠죠.
    아무 이상 없으면 한전에서 할인해줄까요?

    제 남동생이 송전탑과 가까워 전기 요금 할인 받는 아파트에 산 적 있어요.

  • 23. 그거
    '23.1.10 10:03 PM (1.243.xxx.162)

    송전탑 가까운 동은 분양하면 계약 포기하는 사람들 많아요
    기사 찾아봐도 암 관련해서 많이 나올텐데요
    시흥에도 송전탑 가까운데는 LH아파트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3011 오늘 안 추운 날 같은데 저는 왜 이렇게 추울까요? 6 ㅇㅇ 2023/01/10 1,773
1423010 남편이랑은 한계가.. 6 제게 기운을.. 2023/01/10 3,365
1423009 가정에서 인터넷 몇메가 짜리 쓰시나요 5 ... 2023/01/10 1,302
1423008 부부동반 골프치면서 남편 손 물수건으로 정성스레 닦아주던데 20 .. 2023/01/10 7,387
1423007 아바타1 안보고 2 봐도 무방한가요? 6 하늘구름 2023/01/10 1,147
1423006 달라진 개포 입주장..집값 6억 회복,급전세 소진 16 ㅇㅇ 2023/01/10 5,091
1423005 '소담미'고구마 알려주신분 절받으세요~~ 25 헤헤 2023/01/10 5,338
1423004 차에 달린 네이게이션이나 카카*맵이 최선의 길을 알려주던가요? 10 2023/01/10 1,057
1423003 노브랜드 피자 맛있네요 2 2023/01/10 1,826
1423002 지식인들은 윤석렬을 얼마마큼 무시할까요? 13 2023/01/10 2,362
1423001 남이 왕따같은 학폭을 당해도 자기가 당한거 아니면 8 그런데 2023/01/10 1,238
1423000 저녁 뭐 해드세요? 8 2023/01/10 1,954
1422999 나는솔로 이번 기수는 왠지 못보겠네요 22 ㅓㅏ 2023/01/10 4,883
1422998 동태탕먹고싶은데 코다리밖에 없어요 6 먹고싶 2023/01/10 1,312
1422997 인덕션용 후라이팬 어떤게 좋아요? 1 인덕션 2023/01/10 1,115
1422996 후크 떠난 윤여정, 브래드 피트-톰 행크스와 한솥밥 13 ... 2023/01/10 6,670
1422995 컴포즈도 많이 올랐네요 4 나마야 2023/01/10 2,773
1422994 너는 "쓰레기"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41 11월3일 .. 2023/01/10 6,926
1422993 미간 보톡스 맞고 효과 보신 분들~ 4 미간 주름 .. 2023/01/10 2,321
1422992 나경원 “설 연휴 전 당대표 출마 선언” 12 ㅎㅎ 2023/01/10 1,913
1422991 대학기숙사 입소준비하시는 엄마들 28 새내기엄마 2023/01/10 4,285
1422990 포항에 살기좋은 동네 추천 해주세요. 6 .. 2023/01/10 1,971
1422989 GS편의점 사과 진짜 맛있어요 13 ... 2023/01/10 3,881
1422988 브라질 검찰이 룰라 대통령을 잡아 넣은 방법ㅋㅋㅋㅋㅋ 펌 2 증거 없는게.. 2023/01/10 1,874
1422987 이재명만 잡음 한이 되는줄 아는걸까요? 9 2023/01/10 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