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시 가나다군

원서 조회수 : 2,136
작성일 : 2023-01-02 08:16:38
정시는 왜 가나다군으로 나눈건가요?
수시는 그냥 쓰고 싶은 학교 6장 그것도 전형별로 학교 중복해서 쓸수 있는데 정시는 가나다군으로 나눠져서 원하는곳중 하나 골라야 한다고 그래서 선택의 폭이 좁다라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데체로 가군에 있는 학과가 그학교에서 간판이거나 입결 높은곳이라 경쟁률이 좀 낮고 다군은 비인기 학과 입결이 좀 낮은곳이라 경쟁률이 높다고 하던데 맞나요?
나군은 또 별로 선택할수 있는 학교 학과가 없다고 하고요
한쪽으로 몰려서 펑크날곳 예방 차원이 이유라던데 수시에선 안그러잖아요 정시에서만 왜 거나다로 나눠서 지원을 하도록 하는건지요?
IP : 39.122.xxx.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2 8:24 AM (211.245.xxx.245) - 삭제된댓글

    대학도 같은 계열을 서로다른군에서 뽑기도 해요
    최상위 대학 지원자 분산용

  • 2. ㅇㅇ
    '23.1.2 8:30 AM (119.194.xxx.243)

    보통은 가나군에 몰려있고 다군에 쓸 곳이 없죠.
    정시차별도 아니고 쓰고 싶은 곳 3장으로 했으면 좋겠어요.

  • 3. ....
    '23.1.2 8:31 AM (211.36.xxx.105)

    수시, 정시 원서 지원 갯수 동일하게 하고 정시 군별지원도 없앴으면 합니다. 어쩔 수 없이 정시지원해야 하는 아이들에게 정말 불리합니다.
    수능을 9월에 보고 10월에 점수확인하고 11~12월까지 수시든 정시든 선택해서 지원하게 했으면 합니다.
    수능점수 안 나온 상태에서 가채점으로 면접/논술 응시여부 결정하고 변수가 너무 많고 정시지원하면 2월까지 9월 수시접수부터하면 6개월을 마음 졸이며 있어야 합니다.

  • 4. aa
    '23.1.2 8:33 AM (210.217.xxx.103)

    근데 그게 어느정도 가름막이 되긴 하거든요.
    만약 가나다군이 없으면 최상위는 서울대 연대 카대 성대 울대 의대 어디부터 어떻게 쓸까요. 그 심리를 완벽히 파악 못 하면 바로 그 아래 인서울 의대 지사의 지거국의 지방삼룡을 쓰는 순서를 어떻게 할지 누구는 이렇게 누구는 저렇게 엄청난 수로 조합을 할테고 그럼 순위 정하고 원서쓸 대학 정하는데 더 고민될걸요.
    이게 최상위니 이정도지 그 다음 치대조합까지 넣으면? 약대? 한의대? 수의대? 한도 끝도 없어요.
    그나마 가나다군으로 나뉘어 있으니 가군에서 여기 쓴 애는 나군에선 저길 쓸테고 그게 진학사에서 어느정도 추적도 가능하고 다군은 약간 버린 카드 같이 쓰고 다군을 그렇게 스나이핑 하는 것도 가능하지.
    무작위로 쓴다? 근데 3장뿐이다? 오히려 더 헬게이트 열리는 걸걸요.
    예측, 표본분석 이런거 자체가 거의 불가능의 영역이 되어요

  • 5. ㅇㅇ
    '23.1.2 8:40 AM (118.235.xxx.147)

    수시는 군 구분없이 쓰잖아요.
    다군은 대부분 버리는 카드다보니 2장이나 마찬가지에요.
    예측시스템도 교육부에서 진행을 하던가해야지
    진학사 비싼 돈 주고 사서 칸 수보며 지원해야 하는 게 맞는건지 답딥해요.

  • 6. 수시
    '23.1.2 8:40 AM (39.122.xxx.3)

    수시 6장은 ???
    수능날짜 앞당기거나 수시 정시 모두 수능이후로 해서 6장 수시나 정시 아무거나 내고 싶은거 내면 안될까요?
    수능 날짜가 일당 당겨져야 가능하겠네요
    뭔가 너무나도 복잡하고 정시는 왜 군까지 나누고 3장만 카드 주는건니 모르겠어요
    6장 수시도 너무 많아요
    6장주고 수시정시 알아서 쓰고 싶은거 쓰도록 하면 안되는건지

  • 7. 다군
    '23.1.2 8:41 AM (39.122.xxx.3)

    다군은 왜 버리는 카드인가요? 상위권대학은 다군이 없나요?

  • 8. ㅇㅇ
    '23.1.2 8:52 AM (119.194.xxx.243)

    이과기준으로 다군 중대 건대 홍익대 숭실대..정도 있어요.
    그마저도 가나군에 대부분의 과가 몰려있다보니 정말 쓸 곳이 애매해요.

  • 9. 윗님
    '23.1.2 8:56 AM (39.122.xxx.3)

    학교가 저곳만 있나요? 수많은 대학듷이 있는데 다군에 저정도만???

  • 10. ㅇㅇ
    '23.1.2 8:58 AM (39.7.xxx.158)

    수능 초기부터 가나다군으로 나눠 전형한거 그대로 유지한거예요.
    수시 정시 같이 도입하면서 수시는 6장 정시는 3장 차별한거 아니고요
    암튼 정시는 3장인거 수시에 비해 불합리하다 생각은 하지만
    정시 가나다군 잘 모르는 분들 보면 우리나라에서 살던 분들은 아닌가? 의아해요.

  • 11. ㅇㅇ
    '23.1.2 9:02 AM (119.194.xxx.243)

    다군 학교..제가 다는 모르고 제가 아는 선은 저정도요.
    여대도 있겠죠? 인서울외에 수도권 지방..있겠죠

  • 12. mm
    '23.1.2 9:38 AM (117.111.xxx.17)

    다군 제일 좋다 싶은곳이 중앙대
    그래서 실질적인 카드는
    3장이 아니라 2장이라고 봐야하더군요
    저도 이번 아이 정시 접수해보며 이생각 했어요
    수시는 모두 6개 제한이 없는데
    정시는 가나다 제한이 있는데다가 3개뿐
    예전부터 나누어져있어서 여태 그런건 아는데
    왜 그래야하지?란 의문이 들어요

    중복합격등등 수시도 추합돌며 정리가되는데
    정시가 그게 안될리도 없고
    입시담당하는 곳에서 별 개선의지가 없나봐요

  • 13. 정시
    '23.1.2 9:43 AM (39.122.xxx.3)

    접수하고 발표를 너무 늦게 하더라구요
    수능일을 당겨서 잊시일정이 좀 빨라지면 수시처럼 추합을 더 더돌릴수 있지 않나요? 어차피 하나만 선택가능인데요
    그리고 예전주터 수능은 그랬다는분
    왜 그 정시 수능난 안변하냐구요?
    수시에선 학종 최저도 올리고 내리고
    내신포함 비중도 달라지고 수시는 전형도 변하는데 수능정시는 왜 안변하는지 질문에 예전부터 그랬다는 댓글은 ㅠ.ㅠ

  • 14. 불합리
    '23.1.2 9:56 A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가나다라마바 를 하더라도 6개를쓰게 해주든지
    가나다군 각 2개씩 6개를 쓰게 해주든지 해야죠
    불합리하고 불공평해요
    어차피 정시가 뭐 의대교대 몇개 대학 과 예체능 빼고는 대면 시험도 없잖아요
    전산으로 애들 줄세우는건데
    빵꾸가 왜 나겠어요
    처음 설계한 사람이 대가리에 똥만 든 자임
    수시 수시 수시 수시 수시 설계하고 돈 받아먹었나..

  • 15. 불합리
    '23.1.2 9:57 AM (210.223.xxx.17) - 삭제된댓글

    가나다라마바 를 하더라도 6개를쓰게 해주든지
    가나다군 각 2개씩 6개를 쓰게 해주든지 해야죠
    불합리하고 불공평해요
    어차피 정시가 뭐 의대교대 몇개 대학 과 예체능 빼고는 대면 시험도 없잖아요
    전산으로 애들 줄세우는건데
    빵꾸가 왜 나겠어요
    오히려 달랑 3개만 쓰고 군을 나누니까 빵꾸가 나죠
    처음 설계한 사람이 대가리에 똥만 든 자임
    수시 수시 수시 수시 수시 설계하고 돈 받아먹었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0187 금사빠라서 사는 게 힘들어요 9 무술희 2023/01/02 3,343
1420186 더 글로리 문동은역 송혜교랑 그닥 안 어울려요 30 ㅇ ㅇㅇ 2023/01/02 5,400
1420185 겨울등산할때 간식으로 호두과자어떤가요 12 등산 2023/01/02 2,748
1420184 롱패딩 추천해주세요~ 6 춥당 2023/01/02 2,294
1420183 노잼의 반대말 11 2023/01/02 2,637
1420182 정시 원서 마감은 언제인가요? 1 .. 2023/01/02 1,436
1420181 나만의 더 글로리 소심한 복수계획 11 어떨까요 2023/01/02 3,685
1420180 윗집 초등아이 뛰거나 피아노 치기 딱 이 두개 무한반복이네요. 5 방학 2023/01/02 1,296
1420179 통돌이세탁기도 찌꺼기가 세탁조속에끼이나요 1 ㅇㅇ 2023/01/02 929
1420178 대1 남학생들 무슨 운동하나요? 10 남학생 2023/01/02 1,089
1420177 몽 패딩 저만 추운가요 16 춥다 2023/01/02 4,823
1420176 어깨랑 등이 아픈데요...헬스피티랑..필라테스 피티 중... 1 ㅁㄱㅁㅁㄱ 2023/01/02 1,193
1420175 반려동물에 관한생각들 21 나 꼰댄가?.. 2023/01/02 2,845
1420174 공공주택에 달랑 놓여 있는 가스통 7 .. 2023/01/02 1,309
1420173 신기하게 삼재 지나니 아픈데가 없어짐 15 ㅇㅇ 2023/01/02 3,793
1420172 동승하다 사고 난 경우 7 하~ 2023/01/02 2,124
1420171 박성제 MBC사장 “시청자 믿고 간다면 어떤 위협에도 버틸 수 .. 8 zzz 2023/01/02 2,377
1420170 일본 방송은 이제 과거 되씹기로 주구장창이네요 10 소여물 2023/01/02 1,361
1420169 (질문)아이들 영상자료를 복원하고 싶어요 3 민트 2023/01/02 528
1420168 변기 막혀서 업자 부르면 대충 얼마? 하나요 20 변기 2023/01/02 3,378
1420167 요리를 망치는 의식의 흐름 34 그래 2023/01/02 5,431
1420166 더글로리 실제있었던 고데기 학교폭력 1 ㅎㄷㄷㄷㄷ 2023/01/02 4,034
1420165 제가 해본 영어공부법중에 43 ㅇㅇ 2023/01/02 6,565
1420164 유통기한 지난 마스크 사용해도 괜찮를까요 5 .... 2023/01/02 1,686
1420163 원서도와주세요. 정치외교 vs 철학 2 정시 2023/01/02 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