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동산도 가게들도 밤새 간판돌리는데..

일반용전기 조회수 : 3,817
작성일 : 2022-12-28 08:57:57

가정용 말고 일반용이요
회사 사업자나 가게나 산업에서 쓰는 전기는
엄청 싼가봐요
전기가 얼마나 싼건지
절약은 커녕 낭비하는게 엄청난거 같아요
사람없고 문닫아도 전기가 엄청 돌아가고 있거든요

가정용 전기는 요즘 넘 추워서
집안에서도 잠잘때도 계속 난방 제대로 못하는데 말이죠ㅠ

울동네 부동산들 그리고 일부 가게들은
밤새 전광판이 번쩍 번쩍 엄청 돌아가서
아주 길거리걷는데 눈아파 죽겠어요

밤늦게나 휴일이나 상관이 없어요
문을 닫는 날에도 밤에 가게를 닫아도
가게앞을 장식한 어마무시 요란한 전광판이
24시간 365일 돌아가거든요

전기가 얼마나 싸면 그럴까요ㅠ
올릴라면 이런데를 올리든가 해야지
극강으로 절약하고 힘든데 가정용을 올리다니..
정말 너무 힘드네요
IP : 175.223.xxx.218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여름에
    '22.12.28 9:00 AM (210.117.xxx.5)

    에어컨켜고 문도 열어두죠.

  • 2. ㅇㅇ
    '22.12.28 9:03 AM (125.177.xxx.53)

    맞아요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 말고는 밤중에 조명 끌마음 생기게 산업용 전기 요금 올려야합니다

  • 3. 원글
    '22.12.28 9:05 AM (175.223.xxx.218)

    밤에 나가면 간판들 조명때문에 눈이 아플지경이에요

    밤새켜두는데가 한두군데가 아닙니다
    요즘은 더더 밝아지고 화려해졌어요


    눈도 아프지만 그 전기낭비 너무너무 심해요
    차라리 이런데나 벌금 물리지..

  • 4.
    '22.12.28 9:09 AM (1.234.xxx.109)

    난방이나 냉방이 훨씬 전기를 많이 먹고요 그런 산업용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산업 전체의 반도 넘는 반도체 철강 화학 산업이 원래 전기 많이 먹는 산업이에요 원가의 15% 이상이 전기료인데 문제는 이 산업들이 아시아 다른 나라랑 경쟁산업에 나라 전체가 의존하고 있어서 전기료 많이 올리면 경쟁력이 떨어짐.. 그리고 전기요금이 싸도 너무 싼 수준이에요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통계를 보면 9월 기준 지난해 동월 대비 가스는 190.2%, 석탄은 143.0% 각각 상승했다. 2020년 대비로 보면 가스는 최대 8배, 석탄이 5.8배가 되었고 같은 기간 전력시장가격인 계통한계가격(SMP)은 68.9원에서 올해 1~9월 177.4원으로 2.6배가 되었다. 다만 판매단가는 고작 116.4원이었다. 비싼 원료로 만든 전기를 비싸게 사서 싸게 파니 적자가 발생한 거다. 한전 적자 사태는 전기를 수입 화석연료에 의존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위험과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냈다.

    이러니 한전 적자 많이남 -> 적자나는 돈을 채권찍어서(빌랴서)충당중 -> 한전은 국채급 높은 신용도 채권이라 한전채가 많이 나오면 다른 기업이나 은행 기타 채권은 금리 더 올려서 채권찍어야 시장에서 소화 ->은행채 기업채 등등 금리인상 -> 시중금리 인상 및 기업 가격인상

    이수순입니다.. 기업분석에서 일하는 사람이에요 전기요금은 정치권에서는 어지간하면 안건드리고 싶어하죠 인기 바로 떨어지는데.. 근데 안올리면 한전채 계속찓었다간 시중금리 상승때문에 건설사랑 부채많은 회사 몇개 망하고 큰일나게 생겨 하는수없는거죠 뭐.. 굳이 이유를 찾자면 원전이 많이 줄어있는 것과 신재생 늘어나읶는것( rec라고 해서 신재생 발전하면 나라에서 보조금줘요 그게또 어마어마 분기 3-4천억) 하필 그럴때 러시아가 전쟁일으켜서 유가가 폭등한것 등이죠 ㅠㅠ

  • 5. ㅇㅇㅇ
    '22.12.28 9:09 AM (223.33.xxx.184)

    이런글로 또 깜깜한 군부독재시대 만들겠네요.

  • 6. 거기는
    '22.12.28 9:09 A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일반용 아니에요
    십자가도 밤새 켜있어요
    시내
    네온싸인 밤인지 낮인지 구분이 안되는데
    거기 부터 올리지

  • 7. ...
    '22.12.28 9:15 AM (218.48.xxx.114)

    다들 한전 걱정들 하시는데 국민의 생존권인 물과 전기를 운영하는것도 정부의 능력입니다.
    자신없으면 넘기던가!!!

  • 8.
    '22.12.28 9:16 AM (121.132.xxx.204)

    환하면 아무래도 범죄가 적죠.
    경기도 살고 밤에 위험한 곳 아닌데 확실히 불 밝은 서울 거리 다니는 것과는 달라요.
    거리와 공원 같은 곳 조명 설치 더 했으면 좋겠는데 그건 세금부담 때문인지 항상 어둑어둑

  • 9. ??
    '22.12.28 9:18 AM (1.234.xxx.109)

    위에 분은 우리나라가 에너지 수입국가인걸 모르시나… 가스 원유를 사다 떼서 전기만드는데 원가가 오르는데 어떻게 정부가 전기를 하늘에서 만드나요..? 저도 윤석열 정부를 지지하지 않지만 이런걸 정부탓하는건 너무 교육수준 낮아보여요 그만~

  • 10.
    '22.12.28 9:18 AM (221.143.xxx.13)

    일부 상가에서 밤새 간판 켜놓는 건
    전기가 싸서 라기보다
    광고효과를 노리는 거죠
    전력단가는 가정용과 별 차이가
    안나더라구요
    다만 9시 이후엔 소등해야한다는
    강제 조항 같은 게 있으면 좋겠어요
    건물마다 하나씩 꼭 들어있는
    붉은 교회 십자가도 그렇고
    빛공해가 아주 심하죠.

    제일 싼 게 산업용이죠
    주택에서 쓰는 단가보다 훨 낮은데다 이러저러한
    혜택도 듬뿍 주고 있죠
    전체전력의 제일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산업용만 올려도 한전이 적자니 뭐니 하는 소리 들어갈 걸요?

  • 11. ..
    '22.12.28 9:22 AM (121.132.xxx.204)

    산업용 가격 올리면 한전 적자 줄어드는 동시에 지금도 영세한 중소기업들이 재정난에 문을 닫겠죠.

  • 12. 맞아요
    '22.12.28 9:32 AM (220.83.xxx.244) - 삭제된댓글

    단지내 상가에 있는 카페가 퇴근후에 밤새도록 조명이 켜 있어요. 간판말고 실내조명이요.
    전기 아까워서 원

  • 13.
    '22.12.28 9:37 AM (223.62.xxx.253)

    편의점 빼고 온동네 불이 다 꺼져 있으면
    밤에 어디 돌아다니지도 못할텐데요.
    CCTV가 인식도 못할테고.
    타인의 눈이 두려워서 사고가 안일어나는 거죠.
    사람이 착해서 범죄를 일어나지 않는게 아니라..
    여학생들, 어린 학생들 밤 늦게 귀가해도 안심인건
    밤새 켜두는 그 간판들 덕 아닌가요 ???
    조도를 낮추자는 의견도 아니고 불을 끄자고 하다니..

  • 14. ㅇㅇ
    '22.12.28 9:44 AM (1.231.xxx.148)

    잘 모르시는 분들 계신 것 같은데 전기는 주택용/일반용/산업용 이렇게 나뉘어요. 대부분은 주택용이실텐데, 작은 사무실을 하나 운영 중인 저는 주택용과 일반용 사이에서 계속 갈등하다 아직은 주택용 쓰고 있어요. 일반용은 기본 요금이 높고 한 번 바꾸면 1년은 그대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1년 평균 내본 후에 바꾸든지 말든지 하려고요. 한전이랑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현재 수준으로는 용도 변경한다 해도 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주택용이 유리해서 그냥 두고 있어요. 일반용은 누진요금 적용이 안 되지만 기본 요금이 높아서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절약하는 느낌 별로 안 들 수 있어요. 산업용이랑은 또 얘기가 달라요. 대부분 상가들은 일반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산업용이 아니라...

    그리고 간판은 전기 공사할 때 보통 타이머 설치해주시는데 그냥 24시간 쭉 켜놓는 경우는 광고 때문이에요. 전기가 싸니 막 쓴다 이런 개념은 아니고요. 가로등이 있다 해도 간판 불이 다 꺼지면 거리가 너무 깜깜해지는 것도 있을 거예요. 문제는 산업용이지 일반용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 15. ㅇㅇ
    '22.12.28 9:52 AM (121.171.xxx.132) - 삭제된댓글

    빛공해 심해요.

    가로등이나 건물 전체에 잔잔한 불빛은 모르겠지만

    저희 집앞에 상가 하나 있는데 새벽두세시에도 그 상가에 입점한 헬스장 간판이 얼마나 번쩍거리는지..
    저런건 12시 넘어선 좀 껐으면 좋겠어요.

  • 16. 저기 위에 님
    '22.12.28 10:08 AM (93.160.xxx.130)

    가스 원유를 사다 떼서 전기만드는데 원가가 오르는데 어떻게 정부가 전기를 하늘에서 만드나요..?

    ---> 한전은 발전사가 아닙니다. 전기를 보급하는 배전만 하는 곳입니다. 원가가 오르는데 어찌 발전사들은 신문에서 "떼돈"을 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아세요? 한전이 비싼 돈으로 사줘서 그런겁니다.

    그 발전사들 다 대기업 자회사인 것은 알고 계신지요?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400/article/6424893_35722.html

    국제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면서, 한국전력이 올해 30조 원이나 적자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한전에 전기를 만들어 파는 재벌 발전기업들은 최고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 17. 그냥
    '22.12.28 10:38 AM (220.80.xxx.45) - 삭제된댓글

    이걸로 시비는 걸지 말아 주세요
    길에 다 컴컴하면 좋으시겠어요
    그래도 그런 불빛이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는대요
    다 불을 끄면 가로등 불로만으로는 컴컴할겁니다

  • 18.
    '22.12.28 10:38 AM (116.121.xxx.223)

    거리가 너무 어두워지면
    밤에 집에갈 때 무섭지 않을까요
    치안도 걱정되구요
    너무 단순하게 생각할거는 아닌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9136 닥터지 어느제품이 좋아요? 6 pp 2022/12/30 1,895
1419135 배달료 0원 파격 실험 통했다…음식 주문 건수 26배 폭등 ㅇㅇ 2022/12/30 1,936
1419134 한동훈쪽에서 더탐사 댓글지원도 하네요 5 ㅇ ㅇㅇ 2022/12/30 1,135
1419133 저렇게 버럭하는 사람들은 실생활에서도 그럴까요? 4 음.... 2022/12/30 1,293
1419132 봉은사에 신도등록(?) 하는법 아세요 ? 삼재소멸부 2 000 2022/12/30 2,636
1419131 택시 심야 할증 요금 참고하세요. 2 @@ 2022/12/30 1,390
1419130 얇은홍조피부엔 갈바닉vs고주파vs led? .. 2022/12/30 1,023
1419129 내신등급 말이예요.. 7,8등급은 어느대학 갈수있나요??? 32 저밑에 2022/12/30 14,259
1419128 식초로 머리헹구니 머리카락이 덜빠지는데 21 2022/12/30 4,080
1419127 실패했어요 마음어찌다스려야하나요? 11 4수 2022/12/30 3,689
1419126 9시30분 정준희의 해시태그 라이브 ㅡ 기준없는 불공정 사면?.. 1 같이봅시다 .. 2022/12/30 340
1419125 은퇴후 직장구할때 자격증있으면... 요즘 2022/12/30 1,162
1419124 분당서울대병원 가기 좋은 지하철역 13 교통 2022/12/30 1,873
1419123 이런 말하기방법 좋네요^^ 12 ㅣㅣ 2022/12/30 3,003
1419122 오늘, 내일 중으로 꼭 해보세요! 47 새해복~~ 2022/12/30 7,831
1419121 네이버페이 받으세요 7 ... 2022/12/30 2,534
1419120 짝눈이 심한데 운전할 때 안경이나 렌즈? 6 짝눈 2022/12/30 963
1419119 혹시대통령실에 김건희집무실도 있나요? 8 ㄱㄴ 2022/12/30 1,686
1419118 속터져요 렌즈잃어버리는 아들 7 2022/12/30 2,009
1419117 악세서리 소재 좀 봐주세요-실버, 동... 1 sksms 2022/12/30 573
1419116 남편이 밥상을 엎었어요 82논리면 28 잔소리. 2022/12/30 6,632
1419115 요즘 퇴직 후 한달살기 실천하는 부부들 많나요? 7 한달살기 2022/12/30 3,743
1419114 닭발사러 경동시장 갑니다~~ 13 구경 2022/12/30 2,785
1419113 이마 미간주름에 보톡스 ᆢ정보좀 나눠주세요 9 이마 2022/12/30 1,869
1419112 청와대 개방 경제효과 ‘연 2000억’이라더니??? 9 zzz 2022/12/30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