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도 가게들도 밤새 간판돌리는데..

일반용전기 조회수 : 3,817
작성일 : 2022-12-28 08:57:57

가정용 말고 일반용이요
회사 사업자나 가게나 산업에서 쓰는 전기는
엄청 싼가봐요
전기가 얼마나 싼건지
절약은 커녕 낭비하는게 엄청난거 같아요
사람없고 문닫아도 전기가 엄청 돌아가고 있거든요

가정용 전기는 요즘 넘 추워서
집안에서도 잠잘때도 계속 난방 제대로 못하는데 말이죠ㅠ

울동네 부동산들 그리고 일부 가게들은
밤새 전광판이 번쩍 번쩍 엄청 돌아가서
아주 길거리걷는데 눈아파 죽겠어요

밤늦게나 휴일이나 상관이 없어요
문을 닫는 날에도 밤에 가게를 닫아도
가게앞을 장식한 어마무시 요란한 전광판이
24시간 365일 돌아가거든요

전기가 얼마나 싸면 그럴까요ㅠ
올릴라면 이런데를 올리든가 해야지
극강으로 절약하고 힘든데 가정용을 올리다니..
정말 너무 힘드네요
IP : 175.223.xxx.218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여름에
    '22.12.28 9:00 AM (210.117.xxx.5)

    에어컨켜고 문도 열어두죠.

  • 2. ㅇㅇ
    '22.12.28 9:03 AM (125.177.xxx.53)

    맞아요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 말고는 밤중에 조명 끌마음 생기게 산업용 전기 요금 올려야합니다

  • 3. 원글
    '22.12.28 9:05 AM (175.223.xxx.218)

    밤에 나가면 간판들 조명때문에 눈이 아플지경이에요

    밤새켜두는데가 한두군데가 아닙니다
    요즘은 더더 밝아지고 화려해졌어요


    눈도 아프지만 그 전기낭비 너무너무 심해요
    차라리 이런데나 벌금 물리지..

  • 4.
    '22.12.28 9:09 AM (1.234.xxx.109)

    난방이나 냉방이 훨씬 전기를 많이 먹고요 그런 산업용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산업 전체의 반도 넘는 반도체 철강 화학 산업이 원래 전기 많이 먹는 산업이에요 원가의 15% 이상이 전기료인데 문제는 이 산업들이 아시아 다른 나라랑 경쟁산업에 나라 전체가 의존하고 있어서 전기료 많이 올리면 경쟁력이 떨어짐.. 그리고 전기요금이 싸도 너무 싼 수준이에요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통계를 보면 9월 기준 지난해 동월 대비 가스는 190.2%, 석탄은 143.0% 각각 상승했다. 2020년 대비로 보면 가스는 최대 8배, 석탄이 5.8배가 되었고 같은 기간 전력시장가격인 계통한계가격(SMP)은 68.9원에서 올해 1~9월 177.4원으로 2.6배가 되었다. 다만 판매단가는 고작 116.4원이었다. 비싼 원료로 만든 전기를 비싸게 사서 싸게 파니 적자가 발생한 거다. 한전 적자 사태는 전기를 수입 화석연료에 의존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위험과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냈다.

    이러니 한전 적자 많이남 -> 적자나는 돈을 채권찍어서(빌랴서)충당중 -> 한전은 국채급 높은 신용도 채권이라 한전채가 많이 나오면 다른 기업이나 은행 기타 채권은 금리 더 올려서 채권찍어야 시장에서 소화 ->은행채 기업채 등등 금리인상 -> 시중금리 인상 및 기업 가격인상

    이수순입니다.. 기업분석에서 일하는 사람이에요 전기요금은 정치권에서는 어지간하면 안건드리고 싶어하죠 인기 바로 떨어지는데.. 근데 안올리면 한전채 계속찓었다간 시중금리 상승때문에 건설사랑 부채많은 회사 몇개 망하고 큰일나게 생겨 하는수없는거죠 뭐.. 굳이 이유를 찾자면 원전이 많이 줄어있는 것과 신재생 늘어나읶는것( rec라고 해서 신재생 발전하면 나라에서 보조금줘요 그게또 어마어마 분기 3-4천억) 하필 그럴때 러시아가 전쟁일으켜서 유가가 폭등한것 등이죠 ㅠㅠ

  • 5. ㅇㅇㅇ
    '22.12.28 9:09 AM (223.33.xxx.184)

    이런글로 또 깜깜한 군부독재시대 만들겠네요.

  • 6. 거기는
    '22.12.28 9:09 AM (116.125.xxx.12) - 삭제된댓글

    일반용 아니에요
    십자가도 밤새 켜있어요
    시내
    네온싸인 밤인지 낮인지 구분이 안되는데
    거기 부터 올리지

  • 7. ...
    '22.12.28 9:15 AM (218.48.xxx.114)

    다들 한전 걱정들 하시는데 국민의 생존권인 물과 전기를 운영하는것도 정부의 능력입니다.
    자신없으면 넘기던가!!!

  • 8.
    '22.12.28 9:16 AM (121.132.xxx.204)

    환하면 아무래도 범죄가 적죠.
    경기도 살고 밤에 위험한 곳 아닌데 확실히 불 밝은 서울 거리 다니는 것과는 달라요.
    거리와 공원 같은 곳 조명 설치 더 했으면 좋겠는데 그건 세금부담 때문인지 항상 어둑어둑

  • 9. ??
    '22.12.28 9:18 AM (1.234.xxx.109)

    위에 분은 우리나라가 에너지 수입국가인걸 모르시나… 가스 원유를 사다 떼서 전기만드는데 원가가 오르는데 어떻게 정부가 전기를 하늘에서 만드나요..? 저도 윤석열 정부를 지지하지 않지만 이런걸 정부탓하는건 너무 교육수준 낮아보여요 그만~

  • 10.
    '22.12.28 9:18 AM (221.143.xxx.13)

    일부 상가에서 밤새 간판 켜놓는 건
    전기가 싸서 라기보다
    광고효과를 노리는 거죠
    전력단가는 가정용과 별 차이가
    안나더라구요
    다만 9시 이후엔 소등해야한다는
    강제 조항 같은 게 있으면 좋겠어요
    건물마다 하나씩 꼭 들어있는
    붉은 교회 십자가도 그렇고
    빛공해가 아주 심하죠.

    제일 싼 게 산업용이죠
    주택에서 쓰는 단가보다 훨 낮은데다 이러저러한
    혜택도 듬뿍 주고 있죠
    전체전력의 제일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산업용만 올려도 한전이 적자니 뭐니 하는 소리 들어갈 걸요?

  • 11. ..
    '22.12.28 9:22 AM (121.132.xxx.204)

    산업용 가격 올리면 한전 적자 줄어드는 동시에 지금도 영세한 중소기업들이 재정난에 문을 닫겠죠.

  • 12. 맞아요
    '22.12.28 9:32 AM (220.83.xxx.244) - 삭제된댓글

    단지내 상가에 있는 카페가 퇴근후에 밤새도록 조명이 켜 있어요. 간판말고 실내조명이요.
    전기 아까워서 원

  • 13.
    '22.12.28 9:37 AM (223.62.xxx.253)

    편의점 빼고 온동네 불이 다 꺼져 있으면
    밤에 어디 돌아다니지도 못할텐데요.
    CCTV가 인식도 못할테고.
    타인의 눈이 두려워서 사고가 안일어나는 거죠.
    사람이 착해서 범죄를 일어나지 않는게 아니라..
    여학생들, 어린 학생들 밤 늦게 귀가해도 안심인건
    밤새 켜두는 그 간판들 덕 아닌가요 ???
    조도를 낮추자는 의견도 아니고 불을 끄자고 하다니..

  • 14. ㅇㅇ
    '22.12.28 9:44 AM (1.231.xxx.148)

    잘 모르시는 분들 계신 것 같은데 전기는 주택용/일반용/산업용 이렇게 나뉘어요. 대부분은 주택용이실텐데, 작은 사무실을 하나 운영 중인 저는 주택용과 일반용 사이에서 계속 갈등하다 아직은 주택용 쓰고 있어요. 일반용은 기본 요금이 높고 한 번 바꾸면 1년은 그대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1년 평균 내본 후에 바꾸든지 말든지 하려고요. 한전이랑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현재 수준으로는 용도 변경한다 해도 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주택용이 유리해서 그냥 두고 있어요. 일반용은 누진요금 적용이 안 되지만 기본 요금이 높아서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절약하는 느낌 별로 안 들 수 있어요. 산업용이랑은 또 얘기가 달라요. 대부분 상가들은 일반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산업용이 아니라...

    그리고 간판은 전기 공사할 때 보통 타이머 설치해주시는데 그냥 24시간 쭉 켜놓는 경우는 광고 때문이에요. 전기가 싸니 막 쓴다 이런 개념은 아니고요. 가로등이 있다 해도 간판 불이 다 꺼지면 거리가 너무 깜깜해지는 것도 있을 거예요. 문제는 산업용이지 일반용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 15. ㅇㅇ
    '22.12.28 9:52 AM (121.171.xxx.132) - 삭제된댓글

    빛공해 심해요.

    가로등이나 건물 전체에 잔잔한 불빛은 모르겠지만

    저희 집앞에 상가 하나 있는데 새벽두세시에도 그 상가에 입점한 헬스장 간판이 얼마나 번쩍거리는지..
    저런건 12시 넘어선 좀 껐으면 좋겠어요.

  • 16. 저기 위에 님
    '22.12.28 10:08 AM (93.160.xxx.130)

    가스 원유를 사다 떼서 전기만드는데 원가가 오르는데 어떻게 정부가 전기를 하늘에서 만드나요..?

    ---> 한전은 발전사가 아닙니다. 전기를 보급하는 배전만 하는 곳입니다. 원가가 오르는데 어찌 발전사들은 신문에서 "떼돈"을 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아세요? 한전이 비싼 돈으로 사줘서 그런겁니다.

    그 발전사들 다 대기업 자회사인 것은 알고 계신지요?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400/article/6424893_35722.html

    국제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면서, 한국전력이 올해 30조 원이나 적자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도 한전에 전기를 만들어 파는 재벌 발전기업들은 최고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 17. 그냥
    '22.12.28 10:38 AM (220.80.xxx.45) - 삭제된댓글

    이걸로 시비는 걸지 말아 주세요
    길에 다 컴컴하면 좋으시겠어요
    그래도 그런 불빛이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는대요
    다 불을 끄면 가로등 불로만으로는 컴컴할겁니다

  • 18.
    '22.12.28 10:38 AM (116.121.xxx.223)

    거리가 너무 어두워지면
    밤에 집에갈 때 무섭지 않을까요
    치안도 걱정되구요
    너무 단순하게 생각할거는 아닌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1707 사람이 안하던짓을 하면 오래못산다는 말이요 4 ㅈㄱ 2023/01/06 3,807
1421706 운동을 줄여야 하는데.. 25 .. 2023/01/06 5,404
1421705 가루 파우더 어떤거 사용하세요? 7 추천 2023/01/06 2,368
1421704 미스터 프레지던트.유투브 5 5년내내 힘.. 2023/01/06 1,198
1421703 야밤에 야끼만두에 무너졌네요ㅠㅜ 11 어흑 2023/01/06 3,765
1421702 예비 대학생 키가 컸어요 6 2023/01/06 3,366
1421701 설화수 인터넷에서 저렴하게 파는거 백화점 제품과 동일한가요 16 llllㅣㅣ.. 2023/01/06 7,445
1421700 이틀간의 폭식...주말에 복구가능할까요 3 코코 2023/01/06 2,176
1421699 10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ㅡ 겸손은 힘들다 개봉박두 , .. 7 같이봅시다 2023/01/06 1,803
1421698 불법 번식장 폐쇄를 위한 서명 부탁드려요 7 동물권 2023/01/06 670
1421697 길냥이 습식사료 추천부탁드려요 9 .... 2023/01/06 1,267
1421696 담이 심하게 아프네요. 9 문의 2023/01/06 1,766
1421695 거의 하루 종일 귀가 먹먹해요 12 병일까요? 2023/01/06 3,468
1421694 금쪽이 안먹는 이유가 있나요? 9 gkdtkd.. 2023/01/06 9,248
1421693 금쪽이.. 1 2023/01/06 3,520
1421692 ‘50억 클럽’ 머니투데이 홍선근 회장, 두 아들 계좌로 49억.. 6 썩은자들! 2023/01/06 3,427
1421691 티비로 넷플릭스 신청해서보는데요. 5 알려주세요 2023/01/06 2,206
1421690 이 치마에 어울리는 상의 좀 찾아주세요.. 7 제발 2023/01/06 2,576
1421689 미추홀구 구의원의 주차 갑질 1 ... 2023/01/06 1,408
1421688 김만배한테 금품받은 기자들이 쓴 기사들.jpg 10 공창인가 사.. 2023/01/06 3,577
1421687 세라믹은 치아삭제부위가 엄청 넓네요ㅠ 13 .. 2023/01/06 3,056
1421686 요즘 초1여아들 영악한가요 38 고민 2023/01/06 6,361
1421685 엄마 건강보험이 있는데 실손보험을 추가로 드는게 맞을까요? 1 강물 2023/01/06 1,143
1421684 부산대 원룸이요. 6 부산대 2023/01/06 2,290
1421683 김호영이 젤 웃긴듯 ㅋ 22 ㅇㅇ 2023/01/06 6,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