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수학과 전망은 어떤가요

똑똑한82분들 조회수 : 3,815
작성일 : 2022-12-20 21:42:32
지난글,82에선 수학과 전망 나쁘지않던데
요샌 어떻고 어디로 취업하나요
미리 감사합니다
IP : 121.141.xxx.5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학과는
    '22.12.20 9:46 PM (58.228.xxx.108)

    본인 스스로 수학 연구하는거 아니면 거의 학원강사 아닌가요

  • 2. TOP
    '22.12.20 9:49 PM (210.2.xxx.98)

    탑 수학과 레블이면

    금융사나 수학연구원쪽으로 갈 수도 있구요.

    그냥 그저 그러면 임용고시 보거나 학원강사.

  • 3. 삭제
    '22.12.20 9:49 PM (121.141.xxx.57)

    오래전 검색해보고 지금 다시해보니 글이 더 많아졌네요
    좀둬보고 새로운글이 올라오면 원글 그대로 두고
    아님 지우겠습니다

  • 4. ..
    '22.12.20 9:51 PM (58.121.xxx.201)

    수학 베이스로 복수전공하면 취업 무궁무진합니다

  • 5. zzz
    '22.12.20 9:51 PM (119.70.xxx.175)

    수학 쪽이면 변리사 공부 한 번 시켜보세요.
    회계사 못지 않은 좋은 자격증인데 수학과 나온 친구들에게 유리하답니다.

  • 6. 수학과
    '22.12.20 9:54 PM (115.164.xxx.122)

    스카이카포 정도 수학과면 굉장히 고급인력으로 가는걸로 알고 있어요.
    석박으로 다른과(공학, 응용통계)공부해도 역시 고급인력이죠.
    경쟁에서 밀리면 수학강사 하는거죠.
    근데 강사도 수학 잘가르치면 인기 엄청 좋지 않나요?

  • 7. 수학과 진로
    '22.12.20 9:56 PM (59.8.xxx.220)

    무궁무진하죠
    하다하다 안되면 수학 과외라도 할수 있고요
    아는 사람은 자식이 미국 FDA에 취직했어요
    물리, 통계,공학..두루두루 필요한게 수학이니까

  • 8. dlf
    '22.12.20 9:58 PM (180.69.xxx.74) - 삭제된댓글

    미국은 수학과는 어디나 환영해요

  • 9. 58.228
    '22.12.20 10:19 PM (106.102.xxx.161) - 삭제된댓글

    무식한 말씀을 당당히도 하시네

  • 10. 학교레벨
    '22.12.20 10:26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

    학교레벨로 답이 너무 갈려요.

    상위권이면
    증권사, 금융권, 물리학, 통계, 뭐뭐뭐
    갈길이 진짜 많아요.
    수학이 필요 없는 곳이 없잖아요

    근데 중하위권부터는 진짜 의미없어요
    그정도 수학실력은 어디서도 안 필요하거든요

  • 11. 대학마다
    '22.12.20 10:55 PM (118.235.xxx.151)

    스카이는 CPA도 많이 봐요.

  • 12. 츄비
    '22.12.20 11:09 PM (221.139.xxx.166)

    복수전공으로IT쪽 왔어요

  • 13. 상위권
    '22.12.21 7:23 AM (223.38.xxx.233)

    아니고 인서울 중위권 수학과 나온 같은 학번 동기들
    은행, 중,고등선생님, 대기업 전산직, 의사,약사(이 친구들은 졸업 후 수능 다시봐서 의대, 약대 입학했어요. 대학때 수학과외 많이 했던 친구들), 교수. 진로가 이러네요.
    이 중 아이티, 컴퓨터쪽이 20퍼센트 정도고 학교 선생님이 15프로 정도로 제일 많아요.

    나머지는 학원 강사, 전문과외(이 친구는 과외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대형주상복합도 샀어요) 학습지회사 문제만드는 직종 등등으로 폼은 안나도 놀고 먹지는 않았는데 자기 능력껏 풀려요.

    수학과가 수학 자체만으로 취업하기는 힘든데 워낙에 기초과목이고 모든 곳에 필요한 논리를 훈련시키는 과라 다른 쪽 접목시키면 경쟁력은 있어요. 전산쪽 간 친구들 스카이 출신보다 일 잘한다고 인정받아서 대기업있으면서 남자들만큼 직위 올라가고 프리로 일하는 친구들도 꾸준히 일의뢰 들어와서 대기업 부장이상의 연봉 꾸준하더라고요. 저희 학번이 유난히 잘 풀렸는지는 모르겠는데 동기들은 그래요.

    단..공부가 어려워서(고등학교때 수학과 완전 많이 다름),
    학교 다닐때 스트레스 엄청 많이 받고 자괴감도 엄청 들고..
    친구들이 수학과 가겠다는 자식들은 다들 말리긴 해요.
    네가 생각하는 그 수학이 아니야~~하며.

    저도 아이가 수학과 공부 따라갈 가능성만 보이면
    학부는 수학과 주전공으로 기초 닦은 후에 진로는 대학원까지 넓혀서 다른 쪽으로 가라고 하고 싶은데,
    전공과정 공부가 따라갈 수준인지가 자신 없어서 못권해요.

  • 14. 상위권
    '22.12.21 7:47 AM (223.38.xxx.192)

    글 남긴데서요,
    프로그램 만드는 일하는 친구들 말에 따르면
    코딩언어야 배우면 되는데
    프로그램 구현할때 어떤 논리를 구현하냐에 따라
    몇 페이지짜리
    복잡한(일처리시 시간 많이 걸리거나 자꾸 에러나는) 프로그램을 루프 이용해서 서너줄 짜리로 만드는게 가능한데
    타과 출신 엔지니어들이 생각보다 이 과정 못보는 사람들 많다고 하더라고요.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약간의 조건과 변수만 조정해주면 간단한 툴 사용해서 해결 가능한것을 굳이 조건을 너무 세분화 시켜서 프로그램을 복잡하고 용도 좁고 시간 걸리게 만드는 사람들 많다고요. 이 경우는 그런 사람들이 만든 프로그램 사용도, 이후 업데이트 시키는 것도 힘들어서 시간 지나면 같이 일 안하려고 하나보더군요.
    수학이란 학문 자체가 컴퓨터 프로그래밍과는 상관없지만
    조건과 변수의 변화에 따른 로직의 흐름 가르치고 훈련하는 과라 수학 기초로 배우고 이런 쪽 진출하면 좋겠구나(단 소프트웨어 컴공쪽은 진짜 적성타요. 그래서 저포함 수학과라고 모두 전산쪽으로 가지는 않아요) 하는 생각은 들더라고요.

  • 15. 상위권님
    '22.12.21 8:32 AM (125.177.xxx.96) - 삭제된댓글

    글 모두 동감입니다.
    특히....
    저도 아이가 수학과 공부 따라갈 가능성만 보이면
    학부는 수학과 주전공으로 기초 닦은 후에 진로는 대학원까지 넓혀서 다른 쪽으로 가라고 하고 싶은데,
    전공과정 공부가 따라갈 수준인지가 자신 없어서 못권해요.
    ......
    요즘 빅데이터분석 등 데이터사이언스 쪽...정말 핫하죠.
    수학전공자가 그런 공부하면 너무 큰 강점을 가지게 되죠.

  • 16. 수학과
    '22.12.21 11:44 AM (39.117.xxx.106) - 삭제된댓글

    나온아이 it쪽에서 일해요
    데이터분서쪽이요
    상위권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 17. 수학과
    '22.12.21 11:44 AM (39.117.xxx.106) - 삭제된댓글

    나온 아이 it쪽에서 일해요
    데이터분석이요
    상위권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7138 청국장은 된장찌개와 똑같이 끓이나요? 15 청국장 2022/12/24 2,926
1417137 이재명, 가짜엄마가 아이 팔 잡아당기면 진짜엄마는 놓아줄 수밖에.. 42 2022/12/24 4,101
1417136 단톡방에 인사하기 5 나도 이젠 2022/12/24 1,052
1417135 새로산핸펀 문자가 한참 있다가요. 2 문자 2022/12/24 415
1417134 작은고구마. 오븐 시간 좀 알려주세요~ 6 2022/12/24 991
1417133 사랑의 이해 보세요? 요즘 남자들이 저리 계산적인가요? 49 ... 2022/12/24 10,622
1417132 원희룡 “노조 비리가 분양가 상승 원인”...건설업계 “처음 듣.. 14 수작부리다 2022/12/24 1,896
1417131 화장실 냄새 해결했어요. 19 ... 2022/12/24 9,829
1417130 사랑의 이해 재밌어요 3 ㅇ ㅇ 2022/12/24 1,861
1417129 광장시장 육회 18 궁금 2022/12/24 4,154
1417128 박경림 김수용이 혼주석에도 앉았나봐요 .. 36 .... 2022/12/24 17,229
1417127 지능 모계 유전이 정설인가요? 지능은 다인자 유전이 정설입니다... 12 2022/12/24 4,813
1417126 알쓸인잡 김상욱 심채경 교수님 19 ... 2022/12/24 6,192
1417125 얼리버드 주식 .... 테슬라와 메타 24 얼리버드 2022/12/24 2,730
1417124 외국친구 서울나들이 코스 26 어디가지? 2022/12/24 1,938
1417123 항생제 먹어야할까요? 3 약사님 2022/12/24 1,481
1417122 저는 오븐예열 10분이 너무 힘들어요 22 조바심 2022/12/24 4,829
1417121 어제 간만에 집에서 떡볶기를 했는데요 20 겨울 시러 2022/12/24 4,044
1417120 층간소음때문에 결국 이사 갑니다 12 .. 2022/12/24 5,984
1417119 윤도리와 쥴리는 퇴임후 어떤것을 꿈꿀까요??? 14 2022/12/24 1,916
1417118 4세대 전환으로 고민하는 분들 꼭 보세요. 17 실비보험 2022/12/24 6,608
1417117 요즘 보는 드라마 재벌집, 경찰서밖에 없는데 또 재미있는거 추천.. 10 llllㅣㅣ.. 2022/12/24 2,278
1417116 어제 조수미 공연보고 왔어요 4 ㅇㅇ 2022/12/24 2,743
1417115 캐딜락 기구에서 이 정도 하려면 얼마나 해야 할까요.. 5 필라테스 2022/12/24 939
1417114 주말에만 즐기는 나만의 자그만한 호사 8 주말 2022/12/24 5,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