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등학교 입학전까지 보통 수학 선행을 최소 어디까지 하나요?

궁금 조회수 : 3,712
작성일 : 2022-12-20 00:05:48
아래 선행 글 보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주변에 보면 중1인데 고등수학 들어간 아이들도 있고
아직 한학기나 일년정도 선행하는 아이들도 있고 다양해요.
너무 빠른 선행은 무의미하다는 글도 많이 봤는데..
저는 1년정도 선행하고 고등학교 입학전에 수 상하정도 해놓고 들어가면 안될까 했거든요.

그런데 아랫글 보고 나니 고등학교 입학전에 고등수학 다 해놓고 들어가야된다는건가 싶어서요.
수 상하 뿐 아니라 수 1,2까지 다 해놓고 고등학교 입학해야되나요?
보통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IP : 118.235.xxx.19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2.12.20 12:09 AM (124.5.xxx.96)

    다 해놓고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근데 초5부터 선행시작해도 중1에 고등 들어가는데요?

  • 2. ㅇㅇ
    '22.12.20 12:10 AM (1.229.xxx.243)

    보편적으로 수 상하는 한번하고
    조금 공부하는아이면 응용 심화
    조금더 하는아이면 수1.2
    조금더 하는 아이면 미적

  • 3.
    '22.12.20 12:13 AM (1.236.xxx.165)

    저희집은 미적 심화까지 다해놓고 입학하려 합니다

  • 4. ..
    '22.12.20 12:16 AM (223.39.xxx.177) - 삭제된댓글

    대치동은 초6 초반이나 중반엔 고등들어가고
    중등때 고등선행 끝내고 가는 분위기인듯하더라고요.
    영재고 과학고는 1년은 더 빠르고요..
    조카들 보면 강남 다른지역만 해도 이정도는 아닌거같던데..

  • 5. 짜짜로닝
    '22.12.20 12:21 AM (175.114.xxx.26) - 삭제된댓글

    초5부터 학원 다녔는데 이번겨울에 공통수학 들어간대서 저도 깜짝 놀랐어요. 3개월마다 한학기씩 뽑으니 2년간 4년 선행한 건가.. 그렇게 되는 거 같아요.
    첫째는 선행도 잘 따라가는디 둘째가 걱정이네요.. 현행 겨우함..

  • 6. ....
    '22.12.20 12:24 AM (220.84.xxx.174)

    아이 수준에 맞게 사키셔야지
    꼭 어디까지 다 해야한다 정하지 마시구요
    선행한다고 다 이해하는 게 아니면
    애 고생만 사키고 현행도 망쳐서
    기초부족되거든요

  • 7. ...
    '22.12.20 12:24 AM (175.223.xxx.66)

    학군지 아닌데 미적까지는 하더라구요

  • 8. --
    '22.12.20 12:32 AM (222.108.xxx.111)

    아이 역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상하를 아주 잘 해놓으면 나머지도 잘 따라갈 수 있다고 해요
    하지만 예비고1 학원 분반 수준을 보면
    수2까지는 해놔야 높은 반으로 배정이 되더군요
    물론 수학을 잘하는 아이는 선행이 부족해서 중간반으로 시작해도
    쭉쭉 올라간다고 하고요

  • 9. .....
    '22.12.20 12:39 AM (175.193.xxx.138) - 삭제된댓글

    예비고등까지 수2까지는 해야 1,2등급 가능해요.
    안정적 1등급은 미적분까지 끝내고 옵니다.
    우리애 초6 11월부터 대형수학학원 다니기 시작.
    중등 방학마다 특강 듣고 하다보니,
    지금 예비 고등인데, 딱 수2까지 나가더라구요.
    고1 모고는 100 이거나 하나 틀리고,
    고2 모고는 간당간당 1등급 나옵니다.
    초등 고학년부터 열심히 해도 가능해요~

  • 10. ㅇㅇ
    '22.12.20 1:23 A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시킨다고 다 해내지 않는게 문제죠.
    못따라가는데 선행 너무 빼면 현행도 제대로 안되는상태에다 선행하니 죽도밥도 안되더라구요.

  • 11.
    '22.12.20 1:31 AM (220.94.xxx.134)

    선행은 아무나하는게 아니라 받아들일만큼 하는거예요.

  • 12. ㅇㅇ
    '22.12.20 1:44 AM (115.86.xxx.36)

    선행 학원 믿고 진도만 뺐는데 시험 쳐보니 드러나서 다시 밑으로 내려가는 경우도 많아요 학원만 믿고 빼면 안됩니다 애가 어느정도 다지고 있는지 확인해야돼요

  • 13. ...
    '22.12.20 7:52 AM (61.73.xxx.121)

    고2까지 딱 1학기-1년만 선행하고
    복습 꼼꼼 탄탄히
    수학 표점 높아 정시로 연대 갔고
    경제수학, 통계학 다 최상입니다.

    초등 중학때까지 문제풀이보다 개념중심에 시간 들이니 고등 수능과 대학에선 날라다녀요.

  • 14. 케바케
    '22.12.20 7:55 AM (210.105.xxx.72)

    우리 아들은 수학 상.하 가 젤 중요하다고 하더라구요.
    고등 입학전 수상수하를 깊이 있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특히 수상이요.
    어떤 학교 내신 문제라도 1등급 받을 수준까지 공부해놔야
    고등의 기반이 완성된다고 합디다.
    그러고 나면 수1,2는 쉽다고 해요.
    실제로 수상수하 심도있게 하고 수1,2는 한 번 보고 입학했는데
    수학은 모고.내신에서 1등급을 계속 받아왔어요.현 고2까지요

  • 15. 목동
    '22.12.20 8:09 AM (125.176.xxx.133) - 삭제된댓글

    보통 수1 심화 수2유형서 정도까지 하고 가는것 같아요
    미적은 선행하다 보면 아이 역량에 따라서....

  • 16. ..
    '22.12.20 9:29 AM (59.9.xxx.98)

    정해진게 어디 있을까요. 아이 역량 되는대로 할수 있는만큼 최대로 하는거죠. 아이들 역량도 안되는데 꾸역꾸역 진도만 나가는건 의미가 없어요.

  • 17. 지금 중1
    '22.12.20 10:26 AM (112.157.xxx.65)

    지금 중1부터 고교학점제라 이전과 입시방형이 엄청 달라진다는데 골격만 있고 세부사항은 아직 발표전이에요. 그렇지만 일단 고1 성적은 상대평가 그 이후는 절대평가, 따라서 지금 알 수 있는 건 고1 내신성적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는 거 정도

    자, 그럼 학군지인지 아닌지에 따라 한번 생각해볼까요?
    아무래도 학군지이면 학구열도 높고 잘하는 애들도 많고 경쟁도 치열합니다. 물론 현행 내지 1학기 선행해서 내신 잘 받는 아이들이 있는 곳도 있지만 학군지라면 이게 힘들어지겠지요? 선행한다고 모두 다 잘하는 거 아니지만 말도 안되는 선행속도에도 잘 하는 아이들이 많은 곳이 학군지더리구요 (주위에 널림 ㅜㅡㅜ )
    중1 말에는 늦어도 고등수학을 들어가야 대형학원을 갈 수 있어요. 이게 안되면 돈이 더 들죠 개별진도나 과외 해야하니까요.
    물론 고등입학하면 모두 다시 수상에서 만난다지만, 이미 잘하는데 미리 잘 배우기까지 한 아이들과의 경쟁 쉽지 않지요. (미리 배웠다고 다 장한다는 뜻 아닙니다 ) 그러니 학군자 내신 3,4등급도 모의 1등급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는 거라 더군요 ㅜㅡㅜ


    선행을 모든 아이가 해야한다 (x)
    아이가 잘 받아들이면 선행을 할 수 있다 (0)
    선행은 1학기 정도가 적당하다 (x o)
    선행을 아이가 잘 받아들이면 중등이 미적을 할 수도 있다 (0)
    선행을 해야 높은 성적을 받는다 (x)
    선행을 했다고 성적이 꼭 높은 것은 아니다 (0)

    이렇게 생각하는 게 맞을 듯 합니다.

  • 18. ..
    '22.12.21 10:21 AM (110.13.xxx.55)

    잘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6082 친구가 남욕을 너무 많이 해서 피곤해요 15 .. 2022/12/21 4,542
1416081 강아지 증상좀 봐주세요 8 강아지 2022/12/21 943
1416080 진학사 칸수 6 아리송 2022/12/21 1,502
1416079 여성 프로골퍼, ‘이루’ 범인도피 혐의 검찰 송치 14 ..... 2022/12/21 8,241
1416078 건강검진시 이것만은 꼭 해야한다는 거 있을까요? 2 궁금 2022/12/21 1,733
1416077 여태껏 돈을 잘못 송금할 경우 전액 다 못돌려 받았나요? 6 Mosukr.. 2022/12/21 2,066
1416076 90년대 키보드 워리어 주작충의 최후 3 ㅇㅇ 2022/12/21 722
1416075 초저 사교육비 밑빠진 독에 물붓기 15 사교육 2022/12/21 4,970
1416074 오늘 생일이에요. 8 아... 2022/12/21 830
1416073 아들 뒷바라지 힘드네요 8 소소 2022/12/21 4,136
1416072 눈온날 마을버스 기사님들 대화 10 일상 2022/12/21 5,037
1416071 키높이 운동화 예쁜 것 뭐 신으시나요 11 ,, 2022/12/21 2,376
1416070 오븐트레이 망 찌든때 뭐로 닦일까요? 3 궁금 2022/12/21 847
1416069 가로수길 딥티크매장 핫초코 공짜(22일-24일) ... 2022/12/21 673
1416068 1종 면허 적성검사 시력 기준 정확하게 아시는 분 계신가요? 1 어렵다 2022/12/21 382
1416067 침대프레임 좀 봐주세요 13 독립 2022/12/21 1,591
1416066 불타는 트롯맨 첫 방송 보셨나요 11 ㅇㅇ 2022/12/21 2,812
1416065 팥죽 끓일때요.. 체반에 걸르기 vs 믹서기 갈기 15 맛의차이 2022/12/21 2,605
1416064 명동돈가스 유명한곳이 어디인가요? 맛집추천부탁! 22 .. 2022/12/21 2,206
1416063 명품 패딩중 제일 따뜻한 건 뭐예요?( 헤비구스있나요?) 8 추워 2022/12/21 3,335
1416062 마흔 넘었는데 화술을 배우고 싶어요. 2 모지리 2022/12/21 1,789
1416061 다이어트 중 입맛이 없어요 2 니니 2022/12/21 1,618
1416060 요새는 완소라는 말 안쓴다네요.. 23 happy1.. 2022/12/21 4,995
1416059 당근거래 예약 잡아놓고 고민입니다 10 당근거래 2022/12/21 2,309
1416058 초등영어학원에서 보상데이에 뭘 해야할까요? 7 .. 2022/12/21 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