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과 축소, 이과 확대하라고 하는 분들 의견 어떠신가요?

인문학경시심각 조회수 : 2,275
작성일 : 2022-12-19 01:15:56
문과 공부가 대학에서 전공으로 할만한 가치가 있느냐며
문과 전공들을 다 교양과목으로 빼면 될것을
이과 공부와 공부량도 비교불가인데 문과 정원 유지하는게 불합리하다고 하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이과 수험생이 일단 대학에는 들어가고 보자는 식으로
문과 학과로 교차지원하여 합격해도 학교 다니기 싫다고요.
문과 정원 축소하고 이과 정원 늘려야 맞다고 성토하던데요
인문학 경시가 도를 넘는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IP : 115.138.xxx.58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19 1:26 AM (221.157.xxx.127)

    가고싶은애들가게 교차지원안하면되지 참내.... 누가 문과가랬나요 그리고 이과도 정원줄여야되요 . 이과인데 원하는학교못가니 별헛소리다하네요.

  • 2. ...
    '22.12.19 1:26 AM (219.255.xxx.153) - 삭제된댓글

    대학을 축소하는 게 더 맞을 듯.
    우리나라 교육은 현재 엉망진창이예요.
    배움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무조건 대입 입시만을 위한 중고교 과정이예요.
    게다가 학교교육은 대충이고 사교육 일색.
    공교육은 왜 있는지 이해불가.

    중고교 4~5년으로 하고 2년제 대학을 기본
    진짜 공부할 학생이 4년제 대학 진학해서
    25세 이전에 사회진출하도록 해야지, 나이 서른이 넘도록 뭘 해야 될지 모르는 청년들이 대부분이예요.

  • 3. ..
    '22.12.19 1:26 AM (125.191.xxx.50) - 삭제된댓글

    문과 축소 이과 선호는 세계적 추세
    취업자체가 문과보다 이과에 유리한 세상인데 어떻게 하겠어요.
    원래 문학과 예술과 철학은 돈있고 여유있는 계층들의 향유물었죠 뭐.

  • 4. ..
    '22.12.19 1:27 AM (125.191.xxx.50) - 삭제된댓글

    문과 축소 이과 선호는 세계적 추세
    취업자체가 문과보다 이과에 유리한 세상인데 어떻게 하겠어요.
    원래 문학과 예술과 철학은 돈있고 여유있는 계층들의 향유물이죠 뭐.

  • 5. ...
    '22.12.19 1:27 AM (219.255.xxx.153)

    대학을 축소하는 게 더 맞을 듯.
    우리나라 교육은 현재 엉망진창이예요.
    배움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무조건 대입 입시만을 위한 중고교 과정이예요.
    게다가 학교교육은 대충이고 사교육 일색.
    공교육은 왜 있는지 이해불가.

    중고교 4~5년으로 하고 2년제 대학이 기본.
    진짜 공부할 학생이 4년제 대학 진학해서
    25세 이전에 사회진출하도록 해야지, 나이 서른이 넘도록 뭘 해야 될지 모르는 청년들이 대부분이예요.

  • 6. 우리나라
    '22.12.19 1:29 AM (121.139.xxx.20)

    문과들 커리큘럼 심각해요...명문대 불문과 전공수업이 고전읽고 감상문 레포트쓰기 경영학과 수업은 학생들 ppt발표....솔직히 전혀발전이 없죠...

  • 7. ..
    '22.12.19 1:37 AM (125.191.xxx.50) - 삭제된댓글

    이공계는 교수들도 계속 공부하고 논문쓰고 고여있으면 끝
    문과는 우려먹고 묵혀먹고 변화가 없는 과가 대부분
    교수들도 문과 취업 안된다고 걱정하는 세상

  • 8. ..
    '22.12.19 1:38 AM (223.62.xxx.46)

    문과 교수들도 자기 자녀는 이과 보내고 싶을 거예요

  • 9. ㅇㅇ
    '22.12.19 1:48 AM (121.139.xxx.20)

    이공계교수들 소위 명문대 자리 유지하고 연구비 따려면 sci급 논문 몇편씩 써야되고 세계기준에 따라가려고 치열히 노력하죠
    문과는....일단 몇백만원씩 받고 왜 학생들이 조별발표하는걸로
    점수를 내죠?

  • 10. 구글이
    '22.12.19 2:00 AM (211.250.xxx.112)

    인공지능이 그림 그리고 작곡하는 세상이니까요

  • 11. 미국은
    '22.12.19 3:14 AM (61.254.xxx.115)

    지금 이과계열 어마어마하게 늘렸어요 우리나라는 공급인력이 부족하구요 하루빨리 손봐야된다고 생각해요~폐지하자는것도 아니고 글로벌시장에서 세계경쟁력도 갖추고 먹고살려면 세상을 읽어야죠 문과공부야 인문책 읽고 솔직히 맘만 있음 혼자서 어느 경지까지는 이뤄낼수 있는게 많음.

  • 12. 사실
    '22.12.19 4:07 AM (124.5.xxx.96)

    인문학 경시라는 단어조차 시대착오적이죠.
    역사와 전통을 따지면 수백년 유교의 나라인데 유교관련학과가 많았어야죠.
    쓸모없다고 안 만든 거 아니고요?

  • 13. 문과대학
    '22.12.19 7:19 AM (124.57.xxx.214) - 삭제된댓글

    나왔는데 솔직히 졸업장만 땄지
    배운게 없네요.
    꼭 공부할 소수의 학생만 뽑는게 나을 듯.

  • 14. 문과대학
    '22.12.19 7:19 AM (211.36.xxx.120)

    나왔는데 솔직히 졸업장만 땄지
    배운게 없네요.
    꼭 공부할 소수의 학생만 뽑는게 나을 듯.

  • 15. 진짜
    '22.12.19 7:50 AM (58.120.xxx.107)

    인문학 경시풍조 줄이려면 졸업해서 취직도 못하고 프리터 신세될 졸업자 기계적으로 양산하는게 아니라
    이과던 문과던 어릴때 부터 다양한 노출과 지식을 쌓게ㅜ해 주는게 중요하지요.
    근데 현실은 역사공부부터 엉망

  • 16. 그럼
    '22.12.19 8:15 AM (61.84.xxx.145)

    이과에서는 뭘 배우나요?
    우리나라 대학 학부과정에서 쓸 만한 거 가르치나요?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저는 일단 1학년 교양과정은 없애야한다고 봅니다.
    교양과목을 왜 대학에서 가르치나요? 개인이 필요하고,원하면 얼마든지 문화센터 같은데서도 배울수 있는데 말이죠.
    1년을 그 비싼 학비 내고 허송세월 하는 거 보면 속 터져요.
    35년전이나 지금이나 같다는게 놀랍고요.

  • 17. 61님
    '22.12.19 9:09 AM (58.120.xxx.107)

    공대 1학년때 부터 박터져요.
    교양 과목이 대학수학, 대학 물리나 화학 심화 과정이에요.
    전공과목 엄청나게 어렵고요.

  • 18. .........
    '22.12.19 9:27 AM (183.97.xxx.26)

    그렇게 따지면 이과는 뭘 그리 많이 배우는데요 ? 솔직히 의사도 AI 가 대체하는 마당에.. 대학이란게 어떤 장소에 모여 공부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 우리나라의 문과 무시 풍토가 도를 넘었다고 저도 생각해요. 그저 뭐든 취업, 돈돈... 저는 이과생이고 아직 일하고 있지만 문과생들의 역할이 이 사회에서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에요.

  • 19. 아오
    '22.12.19 11:15 AM (118.235.xxx.43)

    이과생이 뭘 배우냐는데
    집에 문과 대학생 이과 대학생있는데 이과가 몇 배 공부 많이 하고
    심지어 문과 대학생 나랑 같은 과인데 교육과정 보니
    30년전 나 배운거랑 5%정도 다르고 거의 같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8059 윤석열지지율은 왜자꾸 올라요 38 ㄱㄴㄷ 2022/12/27 3,986
1418058 밤을 사랑한 강아지. 16 강아지 2022/12/27 2,518
1418057 지금 SK는 눈에도 안 들어올 급인 9조 부자 이혼 8 Mn 2022/12/27 4,543
1418056 수시 ..고생하셨어요 9 위로 2022/12/27 1,885
1418055 주말에 스무집 정도 봤어요. 25 .. 2022/12/27 7,612
1418054 서울 하늘에 북한 무인기…공군 비행기는 대응하려다 추락 13 ... 2022/12/27 1,711
1418053 유럽(영국,프랑스,스페인) 다녀보신 분들 고민 좀 봐주세요 15 여행 2022/12/27 2,125
1418052 난방템 6 .. 2022/12/27 1,617
1418051 여기서 바르는 트리트먼트 추천받아 샀는데요 12 ... 2022/12/27 4,832
1418050 아침에 일어나면 기분이 늘 안좋아요 도와주세요 6 ... 2022/12/27 2,803
1418049 사주에서 내년부턴 좋다는데 지금 상황이 너무 힘들어요 7 00 2022/12/27 2,103
1418048 9시 변상욱쇼 ㅡ tbs 진행자 특집 2탄 이제는 말할 수 .. 2 알고살자 2022/12/27 978
1418047 내가 제일 잘하는 일로 돈벌고 계신 분 11 2022/12/27 2,912
1418046 추합 받고 다른데 가면 제발 바로 포기 전화 좀! 27 ㅇㅇ 2022/12/27 4,340
1418045 82엔 진짜 똑똑하신 분들이 많네요 47 신기방기 2022/12/27 6,977
1418044 아이돌보미 페이 6 .... 2022/12/27 1,736
1418043 집에 있을까 나갈까 고민중이예요.. 8 2022/12/27 1,651
1418042 발가락양말이 유행이에요? 5 2022/12/27 1,459
1418041 최순실도 형집행정지 한달 4 ㄱㄴ 2022/12/27 1,087
1418040 역시 잠을 잘 자야 되네요 1 잠자기 2022/12/27 1,601
1418039 다이어트 가장 잘빠지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4 dd 2022/12/27 1,561
1418038 운동안해도 외복사근 있는거 4 넌뭐니 2022/12/27 1,177
1418037 절친의 시모상 가도 될까요? 27 고민고민 2022/12/27 4,896
1418036 열이 37.1에 목이 아프다고 하면 초등학교 안보내도 되나요? 6 초딩 2022/12/27 1,408
1418035 재벌집 감상평 1 .... 2022/12/27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