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공부 좀 열심히 할걸

ㅇㅇ 조회수 : 6,452
작성일 : 2022-12-17 18:58:21
학벌 컴플렉스까지는 아니지만
똑똑한 사람들을 보면 참 부러워요.

어쩌면 그렇게 진작 공부들을 다 해서
영어도 잘하고 수학도 잘하고 상식도 많고
다들 그렇게 똑똑한지
무슨 대화를 해도 막힘이 없고
그냥 한마디 툭 내뱉는 말에도 교양이 묻어나고
참 부럽습니다.

이제와서 열심히 하려고해도
아침에 외운거 돌아서면 잊어버리고
지금 내 나이에 똑똑함이 갖춰져 있는 상태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릴때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서
허구헌날 부모님 부부싸움에 시끌벅적하고
맨날 혼나고 맞고, 공부 보다는 뭐 먹고 살아야 되나
오늘또 부모님 싸우면 어떡하지 이런 생각에 살고
참고서도 사고 싶고 행복한 부모님 아래에서
걱정없이 공부하고 싶고 부잣집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으로
보낸 어린시절이 생각나네요.

이제라도 해도 되는거 알고 지금부터 해도 되는거
알지만 그냥 현재 나란 사람이 좀 많이 배우고
똑똑해서 돈이 없어도 뭔가 내세울만한게 하나라도
있으면 좋겠네요.
IP : 121.139.xxx.72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17 7:04 PM (61.78.xxx.139)

    어쩌겠어요.
    세월은 흘렀고 지금의 내가 난데..
    지금부터라도 작은거 하나씩이라도 개선해가며 나은 인간 되려 노력해서 좋은 어른이 되도록 노력해야죠

  • 2. ㅇㅇ
    '22.12.17 7:04 PM (221.150.xxx.98)

    오늘부터 문학책을 부지런히 보시면
    1년도 안지나
    님이 지금 말씀하신 그 내세울만한 것이
    별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아시게 될겁니다

  • 3.
    '22.12.17 7:17 PM (221.140.xxx.34) - 삭제된댓글

    여기는 왜 이렇게 문학책, 인문학 타령하는 비현실적인 허세꾼들이 많아요?
    매일 일간신문 1년 이상 보세요. 인터넷으로 보지 말고 종이신문으로 펼쳐서 한눈에 전체 기사가 눈에 들어오도록. 주간 경제지(해외 번역판) 하나 선택해서 1년만 기사 선별해서 읽어보세요. 누구랑 대화해도 못 알아듣거나 뒤처져 보이는 상황 없어질 거예요.

  • 4. 문학이든
    '22.12.17 7:21 PM (118.235.xxx.96)

    뭐든 관심가는 분야를 공부하세요 책을 읽던 유투브를 보던.. 어느분야건 전문가가 되면 멋진것 같아요 여기서 얼마전에 차(tea)에 대해 얘기할때도 그렇고 증여나 상속에 대해 얘기할때나 임대차법에 대해 얘기할때 전문적인 지식 가진 사람들의 댓글 읽다보면 참으로 멋지다..하는 말이 절로 나오잖아요.
    지금 님이 바라는건 그냥 저절로 그렇게 되어 있었으면..하는 수준이에요.지금도 늦지않은걸 잘 아시니 차근차근 공부하시자구요

  • 5. 인문학으로
    '22.12.17 7:31 PM (175.193.xxx.206)

    인문학 책을 위주로 한달에 한권씩만 봐도 사람이 달라져요. 내가 달라지는건 그렇다 쳐도 그렇게 책을 읽는 사람을 대하다보면 느껴져요. 대학은 나왔지만 책 가까이 안하는 사람보다 대학 안나와도 꾸준히 책을 보는 사람이 더 똑똑해 보이긴 해요.

  • 6. ㅁㅁ
    '22.12.17 7:35 PM (211.244.xxx.70)

    원글님과 댓글님 모두 지나가는 제게도 깨달음을 주시네요.
    사는게 바쁘다는 핑계, 피곤하다는 이유
    반성하게 됩니다.

  • 7. ㅇㅇ
    '22.12.17 7:35 PM (221.150.xxx.98)

    문학은 다른 분야와 좀 많이 다릅니다

    왜냐면 문학은 인생을 거의 다 포함하고 있고
    다른 분야는 대부분 그 한가지 뿐입니다

    그래서 문학또 문학을 사람들이 말하죠

    세상이 눈 아래 보이는 순간이 오면
    화목한 가정을 빼면 이세상에 부러운 것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
    그 내세울만한것은 별게 아니게 되는겁니다

  • 8. 원글님
    '22.12.17 7:41 PM (1.227.xxx.55)

    어차피 그때도 핑계, 지금도 핑계예요.
    저도 원글님과 비슷한 환경에 살았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명문대 갔고
    제 동생은 못했어요.
    그런데 꼭 제가 제 동생보다 행복한 건 아니예요.
    지나간 건 잊으시고 지금이라도 책 읽고 공부하면 돼요.

  • 9. 원글
    '22.12.17 7:42 PM (121.139.xxx.72)

    그냥 지나치지 않고 댓글로 도움 주셔서
    감사해요.
    내친김에 인문학 책 주문 하려고 하는데
    쉽게 읽을 수 있을만한 책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나이가 들어도 사람이 아는게 없으면
    초라해지는것 같아서 매일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공부를 시작해볼까합니다.

  • 10. 핑계라고 하신 분
    '22.12.17 7:45 PM (121.139.xxx.72)

    핑계일 수도 있겠죠.
    어느 상황에서든 할 사람은 했을테구요.
    하지만 비슷한 상황이어도 그 상황이 같을 수는
    없어요.
    짧은 글 안에 모든 상황을 다 설명할 수도 없는
    거구요.
    그래서 내 경험을 비춰 판단하고 조언하는 일은
    참 위험한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에겐 상처가 될 수도 있거든요.

  • 11. 결국
    '22.12.17 7:53 PM (1.227.xxx.55)

    님도 님 경험에 비춰 글 쓴 거 아닌가요?
    어떤 답을 원하시나요 그럼?
    여러 각도에서 보는 다양한 답을 원하는 거 아니셨어요?
    아이구 힘드셨구나...지금도 힘들고 그러니 공부하지 마세요...
    라는 답을 원하시는 건가요 혹시?
    끊임없이 핑계를 찾는 사람이 발전하기 원하면 반칙이죠.
    짧은 답글 안에 모든 걸 다 설명할 수 없겠죠?

  • 12. ㅇㅇ
    '22.12.17 7:59 PM (221.150.xxx.98)

    토지로 시작해보세요
    누가 뭐라고해도 끝까지 갈 수 있습니다

    일단 끝까지 가보세요
    님은 쉽게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입하셔도 되고
    형편이 별로면
    도서관이나
    광역시도 전자도서관에 가시면 무료입니다

  • 13. 원글
    '22.12.17 8:01 PM (121.139.xxx.72)

    님 말씀대로 다양한 각도의 조언을 듣기 위한 글이지
    내 과거의 일을 본인의 잣대로 평가해달란
    글이 아님을 모르시네요.

  • 14. 원글
    '22.12.17 8:01 PM (121.139.xxx.72)

    아...네 토지 한번 읽어볼게요.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5. ㅇㅇ
    '22.12.17 8:02 PM (221.150.xxx.98)

    원글님 핑계글은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시면 됩니다

  • 16. 원글
    '22.12.17 8:08 PM (121.139.xxx.72)

    221님, 네 감사합니다

  • 17. 네네
    '22.12.17 8:15 PM (1.227.xxx.55)

    그래서 저는 제 관점에서의 조언을 했어요.
    지금이라도 책 읽고 공부하면 된다구요.
    과거는 잊으라구요.
    이 정도 조언에도 심사가 뒤틀릴 정도면
    이런 글을 올리면 안 되겠죠?

  • 18. 지금
    '22.12.17 8:22 PM (1.246.xxx.87) - 삭제된댓글

    지금부터라도 공부하심 좋겠네요.
    제가 올해부터 방송대 다니는 50대인데요
    대학도 나왔고
    남들에게 무식하다 소리는 안듣고 살았고
    책도 좀 읽은듯 보여졌는데
    방송대가 온라인이라도 중간과제하고 시험보고 학점 나오고 하니까
    훨씬 뭘 배운다ㅡ알아간다는 느낌 들어요.
    실제 많은 재학생들이 본인의 환경에 맞게 1과목도 하고 2과목도 하고 해요.
    방송대 추천합니다.

  • 19. ..
    '22.12.17 8:28 PM (223.62.xxx.159) - 삭제된댓글

    일단 서점에 가셔서. 둘러보시고 손에 잡히는 쉬운 책부터 시작하세요
    아니면 도서관 가셔서요. 수필도 좋고. 뭐라도 쉽고 얇고 글자 큰 걸로요. 공부 잘한것과 상식 등 많이 아는 것은 관계가 별로 없어요

  • 20. 원글
    '22.12.17 8:39 PM (121.139.xxx.72)

    방통대 추천해주신 분 감사해요.
    지금 제가 하는 일이 많아서 당장 방통대는
    어렵지만 님 말씀 들으니 우선 공부할 수 있는
    강좌를 찾아봐야겠어요.
    한참 유튭으로 이런저런 영상 보면서 공부 했었는데
    다시 도전해봐야겠어요.

    223님 그러고보니 제가 서점 나간지 한참
    됐었네요.
    오늘은 토지 주문 해놓고 인문학도 유튭으로
    검색하고 내일은 오래간만에 서점도 다녀와야겠어요.
    감사해요.

  • 21. ㅇㅇ
    '22.12.17 9:01 PM (221.150.xxx.98)

    나이 들어서 전공 살려 취직할 것도 아니면서 대학공부하는 것 거의 의미 없습니다
    단지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아쉬움이죠

    대학은 크게 지식을 얻어 취직하는것
    둘째 교양적인 공부를 할 기회가 많아지는 것
    셋째 다양한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
    네째 다양한 취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대충 이정도인데
    나이 들어 대학 공부해서 뭘 할 수 있을까요?

    인생이 길지않으니
    그 나이에는 문사철 인문 공부하는 것이 가성비 최고죠
    투자한 시간에 대해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인문공부 라는 거죠

    서점 자주 가는 것 좋습니다
    그런데 님은 토지 끝내고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다음에 또 이야기할 기회가 있겠죠

  • 22. ....
    '22.12.17 9:10 PM (122.35.xxx.179)

    핑계라고 해도 누구나 그 상황에 처하면 원글님과 똑같이 행동했을 수 있죠.
    그러므로 함부로 판단하면 안 되는 거겠죠

  • 23. 아니요
    '22.12.17 9:17 PM (1.126.xxx.129)

    문학은 됬.. 오디오북으로 기술 서적 들으면서 운동 합니다

  • 24. 지나가다
    '22.12.17 10:47 PM (115.139.xxx.169)

    기술 서적이라하면 어떤 책들을 말씀하시는걸까요?
    지나가다 저도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25.
    '22.12.17 11:19 PM (121.159.xxx.222)

    몽테크리스토 백작 한번 읽어보세요
    무지하고 순박해서 모든것을 빼앗긴 에드몽 당테스란 남자가 지혜를 얻고 운명과 싸워 이기는 과정.
    문학 연애소설 백날읽는것보다 재밌고 각성효과가 큽니다
    첨부터 민음사 엄청 두꺼운완역본 힘드시면 중고학년 세계명작편으로 장황한 주절주절 독백 그런거 걷어내고 봐도 좋아요. 옛날 프랑스에선 글자수대로 원고료 책정이라 작가들 부피늘리기 너무많았던것도 사실이거든요.

    갈매기의 꿈도 추천드리고
    가벼우면서 삶에 대한 통찰을 기르는걸로는
    오헨리 단편선도 좋고요

  • 26.
    '22.12.17 11:25 PM (121.159.xxx.222)

    토지는 개인적으로 개인차가 있다 생각돼요.
    전 오헨리 단편선, 갈매기의 꿈, 몽테크리스토백작
    만화 고우영 십팔사략, 펄벅의 대지 추천드리구요 이외에 호불호는 갈리는데 강신주의 다상담, 법륜스님 정토회 법문 들어보심 좋을것같아요.

  • 27. ㅇㅇ
    '22.12.18 6:57 AM (221.150.xxx.98)

    개인차가 없어 이세상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책이 이세상에 있을까요?
    토지
    제가 책을 많이 보았는데 아주 좋은 책입니다
    전 두번 본 책이 많이 안되는데 토지는 세번 보았습니다
    그 다음에 몽테크리스토백작도 보시면 되겠군요

  • 28.
    '22.12.18 12:23 PM (121.159.xxx.222) - 삭제된댓글

    안좋단건 아닌데 너무길어서요ㅜㅜ그래서 청소년토지도 나왔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4985 자식 없고 마땅한 형제자매 없는 분들 노후에 인지저하로 스스로 .. 15 임의후견인 2022/12/18 6,349
1414984 이런게 공황장애인가요 불면증인가요 도와주세요 13 ㅁㅁ 2022/12/18 4,200
1414983 아바타 2 보세요 9 ..... 2022/12/18 5,326
1414982 저는 저녁에 커피마시면 다음날 피곤해요 1 ..... 2022/12/18 1,888
1414981 교회를 가게 된 동기가 있는데요. 23 ..... 2022/12/18 6,023
1414980 우리나라 사람 장점도 많지만 단점이 18 .... 2022/12/18 6,119
1414979 후리스는 또 뭔가요? 12 2022/12/18 5,052
1414978 백화점 문화센터 어떤가요? 1 문화센터 2022/12/18 1,893
1414977 쉬운책 추천해주세요 30 책추천 2022/12/18 2,435
1414976 창문에 자꾸 물이 생겨서 환기 시킬땐 난방을 다 끄고 하는건가요.. 14 ... 2022/12/18 4,641
1414975 이 시간에 삶은 달걀 냄새 맞고 뛰쳐나와 의기양양한 강아지 12 강아지야 2022/12/18 5,866
1414974 크로아티아가 이겼네 3 ㅇㅇ 2022/12/18 5,403
1414973 49제 하는데 떡돌리고 신나는 명신이 14 패륜 2022/12/18 4,879
1414972 초등아이 키우는데요.부부동반모임.. 14 .. 2022/12/18 4,612
1414971 우리나라 사람들 예민하고 빡빡하지 않나요?? 22 ㅇㄴ 2022/12/18 5,118
1414970 유재석을 또주네요 15 ㅇㅇ 2022/12/18 8,767
1414969 금혼령 배우들 매력있네요 13 ㅇㅇ 2022/12/18 3,560
1414968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갔다가 14만원 긁고왔네요 ㅠ 15 검진 2022/12/18 7,312
1414967 고양이 혼자 잘수있나요 9 지나다 2022/12/18 2,872
1414966 대학 추합 전화 궁금해요 4 궁금 2022/12/18 2,356
1414965 저한테 정말 나쁜짓을 한 놈인데 나중에 벌받겠죠 10 ㅇㅇ 2022/12/18 4,548
1414964 여러분 오이 가지런히 써는 신박한 법 봤어요. 29 ... 2022/12/18 9,632
1414963 이 밤에 식혜를 했어요. 9 ㅜㅜ 2022/12/18 1,844
1414962 사람이 물에뜨고 가라앉는 원리가 궁금해요. 7 d 2022/12/18 2,896
1414961 할머니 지분을 도준이한테 그냥 휙 넘겨준 게 좀 이상해요 26 000 2022/12/18 1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