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제기억이 잘못됐나요? 금리 집값말이예요

... 조회수 : 2,439
작성일 : 2022-12-07 16:14:15
코로나 전후로 저금리때문에 집값 폭등한거고

지금 고금리 시대에 돌입해서 집값이 내린다고 하잖아요?



근데 혹시 2010~2017년에도 저금리 아니었나요?

리먼사태 이후에 집값 내리고

저 시기에도 분명히 은행금리가 거의 제로금리다 그런얘기 있었던 기억이 나거든요.



저희가 그때 현금이 있었는데

금리가 너무 낮아서 은행에 넣어둔거 돈 썩히고 있는거라고 했었구요.



심지어는 금리가 제로를 넘어서 마이너스 금리

즉, 은행에서 현금 보관료를 받을지도 모른다는 얘기까지 나왔었어요.



금리가 높았던 적은 최근 10년에 거의 없었던거 같은데

금리가 낮아서 코로나 시기에 집값이 폭등했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IP : 106.101.xxx.6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2.12.7 4:16 PM (118.235.xxx.132) - 삭제된댓글

    우리 동네는 하나도 안 올랐다! 외치던 사람들의 논리라고 생각해요
    노통 때는 금리 높았어도 올랐잖아요

  • 2. 그래서
    '22.12.7 4:16 PM (118.221.xxx.29)

    부동산은 심리예요.
    2천년 중반때 얼마나 고금리였는데요. 그래도 부동산 폭등했었음.

  • 3. ....
    '22.12.7 4:25 PM (182.209.xxx.171)

    2000년대 중반에 집 1~2억 빚내고 산다고 하면
    엄청 빚 많이 냈다고 했어요.
    지금은 초저금리 상황에
    전세대출 집담보대출이 어마어마하게
    늘었어요.
    지금 4~5억 빚 평범하죠.
    대출규모가 커서 금리 영향을 더 받는거예요.
    무슨 부동산이 심리로만 웅직여요?

  • 4. 윗분들
    '22.12.7 4:36 PM (118.34.xxx.250)

    말씀 다 맞고.. 번외로 제 생각엔 내년까지는 무주택자 줍줍기회이니 사는게 맞고 살까어쩔까 하다가 집값 오르기 시작할땐 어버버하다 또 5천만원만 올라도 또 못사요. 쌩돈 뺏기는거 같아서. 껄무새되는거져.
    지금 이렇게 널린게 싼집일때 줍줍기회라고 생각함미당

  • 5. 줍줍노노~
    '22.12.7 4:43 PM (118.235.xxx.95)

    아직 시작도 안했고요
    내년부터 시작, 7~10년 갑니다.
    그때까지 팔고사고 못한다싶은 사람은 들고 가는거고요.

  • 6.
    '22.12.7 5:10 PM (91.74.xxx.3)

    금리는 이번 하락기를 더 깊고 빠르게 하는 촉매제 정도의 이슈에요.
    노무현 때 금리 상승기라도 집값이 막 올랐었잖아요.

  • 7. 아름다운댓글
    '22.12.7 5:40 PM (223.38.xxx.222)

    2006년부터 2012년정도까지 예금 금리가 보통 5%는 나왔어요. 2억 예치하면 1년에 1천만원씩 이자를 받았거든요.
    2008년 초에 아파트 입주때 단체 담보 대출을 저렴하다고3.4~3.8%정도에 받았구요.
    제가 2010~2012년경에 신한은행 특판으로 7.2% 적금을 들었어요. 이때가 부동산 하락기였네요.

  • 8. 그때
    '22.12.7 5:41 PM (211.250.xxx.112)

    금융위기 터졌고 미국에서 양적완화 시작했으나 집값이 한동안 안올랐어요. 그 이유는 2008년에 고점을 찍었기 때문인것 같아요. 금리가 하나의 요소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고요.. 싸이클이 더 큰 요소예요. 폭등 후에는 상당기간 하락기를 갖거든요. 2008년에 고점을 찍었다면 몇년간은 가격이 쭉 빠지게 되죠.

    그때 어쨌냐면 집을 안사니 전세수요가 폭등해서 전세가 귀해졌고 1억 정도만 얹으면 매수가 가능한데도 사람들이 집을 안사고 월세를 추가해서 반전세를 살았었어요.

    그런 하락기를 거친 후에 슬금슬금 오르기 시작했고 상승기를 탔는데 코로나가 터진거죠.

    금리는 2차적 요인이기는 해요

  • 9. 아름다운댓글
    '22.12.8 12:03 AM (39.118.xxx.77)

    13년도 상반기까지 그렇게 하락했고
    하반기부터 반등했어요.
    그리고 12년도까진 주변에 전세대출 받은 케이스가 전혀 없었어요..자기돈으로 전세 얻는 시기였는데.. 집값이 저렴한데도 집을 안사니 전세값이 오르고.. 전세대출을 받더라고요. 처음엔 전세대출이 너무 복잡하고 신기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11758 안물안궁이시겠지만 다정한부부 혼인신고했네요 6 .... 2022/12/08 3,626
1411757 더탐사 사무실 동네에 사는데요 21 ooo 2022/12/08 4,268
1411756 수능 만점자 3명이래요 29 수능 2022/12/08 7,608
1411755 초등 보습학원 홍보물 뭐가 좋을까요? 6 궁금 2022/12/08 750
1411754 구직할때 뭐가 더 괴로울까요 8 ... 2022/12/08 1,830
1411753 나이드니까 이가 안좋아요. 3 치주염 2022/12/08 2,598
1411752 혼자 4 인생은 혼자.. 2022/12/08 1,261
1411751 이런 기사는 이상하지 않아요? .... 2022/12/08 525
1411750 노안이 점점 심해지는데 다촛점써야할까요 6 눈의 건강 2022/12/08 2,747
1411749 아무리 보일러를 돌려도 바닥이 따뜻하지 않아요 9 .... 2022/12/08 2,136
1411748 수능 영어 잘하는 팁 있을까요? 책읽기 싫어 하는 남아 8 영어 2022/12/08 1,746
1411747 동대문에서 일하는 딸이 본 화물노동자 아빠의 파업 5 ../.. 2022/12/08 2,364
1411746 이번 베트남과의 외교는 쥴리가 다했네요 5 2022/12/08 2,237
1411745 친구가 박사논문 통과되었는데, 선물할만한거 있나요? 5 이럴땐 2022/12/08 1,836
1411744 술맛을 대체할것이 있을까요 10 ㅂㅂ 2022/12/08 2,029
1411743 여고를 간다면 어디를 가는게 좋을까요? 2 대전에서 2022/12/08 819
1411742 아이 크면 그릇 더 들이나요? 9 2022/12/08 1,618
1411741 서울 고등배정 최종 발표가 언제일까요 3 무지랭이 2022/12/08 826
1411740 팔뚝이 두꺼워요 목폴라 니트 사야 하는데 4 .. 2022/12/08 1,081
1411739 교육은 곧 돈이네요 4 ㅇㅇ 2022/12/08 2,497
1411738 스팸문자도 참 다양해요 5 1111 2022/12/08 728
1411737 이마트 와인 구입시 포장 질문이요 4 82 2022/12/08 1,718
1411736 남편과 1박 2일 여행 어디로?? 충청권 추천해주세요. 단양은 .. 11 ... 2022/12/08 2,600
1411735 아들 암보험을 들어주려고 하는데요 3 보험 2022/12/08 1,431
1411734 목포 유튜브 박일만과 음식 6 ... 2022/12/08 1,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