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탐 1등급 받으려면 언제부터 공부하는게 좋은가요? 로드맵 조언부탁드려요
초등때부터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였고 잘 해서
특별히 선행이라던가 사교육은 안시켰어요
고등땐 물리학원 하나만 다니고도 물화생 내신은 잘 나왔는데
생각보다 모고가 안나오더라고요ㅠ
그래도 조금 더 신경쓰면 잘 볼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ㅠ
다행히 과탐 둘중 하나는 잘 봤고 하나는 망했어요
아이가 수능공부는 인강으로만 했는데
국영수도 챙겨야해서 시간할애를 많이 못한것같아요
둘째가 예비중3인데 의대가 목표라 지금부터 과탐을 시작할까해요
일반고 진학예정인데
로드맵을 어떻게 짜면 좋을까요?
참고로 수학은 미적분개념까진 끝냈어요(심화는 수2까지함)
1. ilililililil
'22.12.6 3:18 PM (116.121.xxx.251)국영수 올인하고 고등가서 모의고사나 수능문제 보고 맞는 과탐 선택후 하면되요
2. 물1화1
'22.12.6 3:20 PM (14.47.xxx.163)과탐 현역 1등급은 진짜대단한거에요.
저희애말로는 너무고여있어서 수학만큼 문풀해도 수학보다 1등급맞기가 어렵데요.
수학잘하는친구면 고1여름 부터 시키세요.3. 물1화1
'22.12.6 3:24 PM (14.47.xxx.163)아.그리고 생지 시키세요.
네과목다 만만치않지만 인원수많은거로ㄱㄱ4. ...
'22.12.6 3:24 PM (220.75.xxx.108)현역이 정시에서 망하는 건 과탐이라고 했었는데 올해부터는 사탐 과탐 다 뭉뚱그려서 탐구라고 해야 할 듯요.
진짜 졸지에 변별력 담당이 된 탐구라니..5. 대부분
'22.12.6 3:37 PM (112.154.xxx.145) - 삭제된댓글과탐 선행을 중딩때 시작해요 2과목까지요
그래도 3년 내내 1등급 받다가 수능때 2등급 받기도 합니다
그게 수능이예요6. ㅠ
'22.12.6 3:46 PM (220.94.xxx.134)의대갈정도의 아이면 굳이 미리안해도 과학잘하던데요
7. 교
'22.12.6 3:51 PM (106.101.xxx.160)아이가 현재까지 과학은 얼만큼 해놨는데요?
8. ..
'22.12.6 4:03 PM (122.32.xxx.167)큰애 보내보셨으니 좀 감이 오지 않으신가요? 빨리 한다고 1등급 받는거 보장되는거 아니란거도 아시죠?
저도 이번에 작은애 입시 치렀는데 물화 둘다 고2 올라가는 방학에 시작했는데 물리를 워낙 좋아했어서 인강만으로도 안정적 1등급 받았어요. 수능도 잘 나왔구요.
화학은 항상 1-3 왔다갔다해서 막판 두달 사설 모의고사 보는 학원 보냈더니 수능에 1하고 2 사이 등급컷 받았구요. 아이가 막판 학원 안다녔으면 3-5까지 떨어질수도 있었을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이번이 워낙 유형이 특이하게 많이 나와서 멘붕 온 친구들 많았다해요.
결론은 언제 시작하냐가 아니라 얼마나 깊이있게 다양한 문제까지 준비하냐 같아요.9. ㅇㅇ
'22.12.6 4:08 PM (211.207.xxx.223)과탐..실모 계속 풀어봐야해요
더러운 문제도 풀고 깔끔한 문제도 풀고
미친듯이 풀어야 합니다..
시간이 촉박해서 빨리 푸는 연습까지..
물화는 둘다 계산이기 때문에 시간이 정말 촉박해요
지구과학을 선택하는 이유가..시간이 좀 남아서..
물화 선택하실 분들은...둘 중 하나는 피하시길10. ㅇㅇ
'22.12.6 4:09 PM (125.178.xxx.39)결국은 재능 아니 머리가 좋아야 하는 거네요.
머리가 돼야 깊이있고 다양한 문제를 소화할수 있을테니
평범한 아이가 미리 준비하면 3등급 정도는 어떻게 할수도 있을거 같고요.
국어도 그렇고11. ,,,
'22.12.6 4:25 PM (118.235.xxx.10)과탐이 사탐에 비해 양이 훨씬 많은 건 사실이어도 이과 수학 보다는 훨씬 양이 적어요 이건 언제 시작하냐의 문제가 아니란 겁니다. 첫째애 입시도 겪어 보셨으면 아실 것 같은데 선행을 언제 했냐가 의외로 그렇게 중요한 요소가 아니란 걸요. 첫째아이 경험으로도 단순히 과탐 1등급 못 받은 이유를 그렇게 판단 하신거면 둘째아이 입시도 산으로 갈 수 있어요.
12. 저도 한숨만
'22.12.6 4:47 PM (113.199.xxx.130)나오는 요즘이네요
중등때 이미 고등과정 다 두세번씩 돌리고?(돌린다 표현 하드만요) 고등 갑니다
학원없이는 도저히 뭘 어찌 할수가 없어요
학교를 다 학원화 해야할거 같아요
나중에 시간도 없고...
지금부터 달리세요 ㅠ13. 물리1지구과학2
'22.12.7 4:47 AM (49.169.xxx.181)저희애는 수능 과탐 만점이었는데 물리 중학교때 부터 계속 학원 다녔습니다.
그래도 수능에서는 물리1에서 계산 문제 시간이 없어서,
마지막 3문제는 어찌어찌 외워서 풀었다고 합니다.
과탐(물1, 화1)이 계산 많으면 정해진 시간안에 못풀어서 문제 외워서 풀어야 할 수 도 있다고 하더군요.
지구과학2는 시간이 모자라지 않았다고 합니다.14. 물리1지구과학2
'22.12.7 4:53 AM (49.169.xxx.181)아 그리고 고3 9월 평가원 모의 이후에는 물리 학원 2개 다니고 수학은 안다녔습니다.
15. 과탐
'22.12.7 9:18 AM (119.71.xxx.98)윤도영쌤과 한석원쌤이 하셨던 엄근진상에서 수학 1등급과 3등급 천지차 실력차지만 과탐 1등급과 3등급은 수능날 컨디션에 따라 얼마든지 나올수 있는 같은 실력대라고 본다. 라고 하셨어요.
그만큼 과탐은 시험날 엉뚱한 문제에서 말리면 폭망 가능성이 많은 과목입니다.
물화 하고 의대 다니는 아이인데 현역때 물리 만점. 화학 2개 틀렸었는데 아쉬워서 반수했는데 일년 더 열심히 공부했는데 화학 한개 틀려서 만점 안 나왔어요.
과탐이 오래. 많이 공부한다고 꼭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도 아니더군요. 물론 n수생처럼 고인물이 되면 폭망하진 않긴 하는듯요.
표점 생각하면 생지 지만 서울대 정시는 과마다 봐야하는 과탐 수능 과목이 있어서 본인 희망학과에서 필수로 지정된 과탐과목 확인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