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식 투자는 이렇게

주식 조회수 : 3,779
작성일 : 2022-04-25 18:46:23
요즘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아요.
아주 보수적으로 투자하셔야 해요.
최대한 이익 실현해 놓고 다음 기회를 보는게 좋을 듯 합니다.
미국 기준금리 빅스텝은 당연하고 자이언트 스텝도 가능할 것 같고
미국 주식시장 무너트리는게 차라리 더 낫다는 말을 연준 전현직 고위인사들이 심심치 않게 합니다.

빅스텝 한다는데도 안무너져? 그럼 자이언트 스텝!
자인언트 스텝인데도 안무너져? 그럼 수퍼 자이언트 스텝 100bp!!

뭐 아무튼 저는 최대한 이익실현해서 현금비중 높이고 있어요.

지난 금요일과 오늘 저의 거래종목 내역입니다.

NPC우 3,088원 매수 6,440원 전량 매도 (오늘 8,550원까지 찍고 종가 7,250원이네요. 아깝지만 할수없죠 ㅠ)
투자 아이디어: 1) 견조한 실적 2) 본주 대비 50% 괴리율 3) 스티로폴 대체하는 친환경 플라스틱 해상 부표 수요 4) 폐배터리 이동용 컨테이너 수요 등등.

티씨케이 115,700원 매수 135,700원 전량 매도
투자 아이디어: 1) 낙폭과대 2) 전방산업 반도체업종 SiC 링 정식 공급자
매도사유: SiC링은 특별한 기술적 해자가 있는 제품은 아니며 하나머티어리얼, 케이엔제이 등 경쟁심화로 지금과 같은 시장지배력 훼손 가능성
그러나 11만원대로 다시 추락하면 재투자 의사 있음

샘표식품 45,900원 매수 57,500원 일부 매도
투자 아이디어: 1) 리오프닝 수혜주 (각종 장류등 요식업종 기본 수요 증가, 실제로 미국 리오프닝시 케찹, 마요등 공급하는 하인즈 실적 개선 획인) 2) 음식료업종 저평가 3) 발효식품 국내 시장지배적 기업 4) 티아시아 등 연구개발비 대폭 증가 등 제품 다각화 시도중 5) Food enhancer 연두 해외 미디어 소개됨, 아마존 판매중, 판매실적 증가중. 6) 농산물 가격 상승 수혜주
매도 사유: 오늘 인도네이시아 팜유 수출 제한으로 국제적으로 팜유 식용유 가격 급등 등의 사유로 급격한 상승을 보인 것에 매도 대응함. 제품가격 인상과 마진 스프레드 개선은 미래의 가능성일 뿐 현재 거시경제적 험악한 상황에서 일단 후퇴. 내일 추가 상승시 전량 매도 의사 있음.

NAVER 288,500원 10주 매수 신규진입. 
삼성전자우 59,600원 10주 매수 신규진입
아직 본격적으로 투자 개시할 시점이 아니나 52주 신저가 진입 기념으로 상징적의미로 10주씩 매수 시작함.

그외 한달전 제이알글로벌리츠 5,360원 추가매수 분량, 신한서부티엔디리츠 4,914원 신규 매수 분량은 매도할 생각없고 하락시 추가매수.
리츠는 임대료 수입 기반이기 때문에 인플레 파이팅 가능합니다. 요즘 리츠주 전부 오른 이유.
제 주력 투자 종목은 여전히 전량 보유중이고 현금비중은 아직 20%도 안됩니다.
그런데 저는 원래 현금비중을 거의 가져가지 않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지금의 20% 현금비중은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IP : 121.190.xxx.152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얼리버드
    '22.4.25 7:21 PM (59.8.xxx.216)

    모멘텀을 확실히 알고 투자 하시네요. 전 아직 그 정도는 아닌데 부럽습니다. 그런데 제가 봤을때 티씨케이는 이제 시작 아닐까요? 이건 그냥 제 느낌이에요.

  • 2. 초짜
    '22.4.25 7:30 PM (39.7.xxx.34) - 삭제된댓글

    네이버 저점 맞나요? 카카오도 매수 괜챦을 지요?
    전 고려아연 60이하로 떨어지면 들어가고픈데 어떻게 보시나요?
    배당금 높고 주욱 우상향하고 있고, 아연 금속가격 상승하고 있구요.
    삼전 살 돈으로 이거 사면 어떨까 싶은데요.

  • 3. 주식
    '22.4.25 7:54 PM (121.190.xxx.152)

    티씨케이는 원래 낙폭과대 사유로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적당한 수익내고 나올 생각이었어요.
    이번 1분기 실적 좋을 것으로 예측했기 때문에 예상보다 조금 더 좋게 나와서 15만 이상에서 수익실현하고 싶었지만 말씀드렸다시피 요즘 거시경제 상황이 워낙 안좋아서 욕심 안내고 짧게 끊었어요. 1차벤더에 장착되어 납품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 실적이 나빠질 가능성은 없어보여요. 그래서 만일 다시 한번 낙폭 깊어지면 재진입 의사 있습니다.

    고려아연은 매우 좋은 회사이고 특히 정제기술은 전세계 탑이죠. 더우기 황산니켈 신규 생산으로 실적도 계속 좋아질거에요. 그런데 지금처럼 거시적으로 험악한 상황에서는 절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만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주 좋은 회사인 네이버, 삼성전자도 지금 52주 신저가 찍고 있잖아요. 굳이 비싸게 매수할 필요는 없는거죠.

    그리고 저는 카카오에는 투자 안합니다. 사업부를 온통 분할해서 전부 제각각 상장해 놓았기 때문에 시가총액이 매우 매우 비쌉니다. 네이버는 단하나의 사업부도 분할 상장시키지 않았고 전부다 하나의 법인 네이버에 통합되어 그대로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 쇼핑, 파이낸셜, 웹툰 등 미디어, 전부 하나입니다. 지금 시가총액은 네이버 쇼핑 하나만의 가격으로 봐도 괜찮은 수준입니다. 이렇게 저렴한 대안이 있는데 굳이 위험 감수하고 고평가된 카카오를 기웃거릴 이유는 없는거죠. 오히려 카카오 숏하고 네이버 롱하는 롱숏 플레이를 해야 할 지경.

  • 4.
    '22.4.25 7:58 PM (124.216.xxx.58) - 삭제된댓글

    티씨케이 ㅡ저도 노리고 있는데 11만대 오면 신규진입 시점인가
    봐요
    삼전우는 오후까지 못참고 59900원에 매수했는데
    59500원까지 떨어지더라구요
    주식님 투자내역 공개해주셔서 감사드려요

  • 5. 주식
    '22.4.25 8:14 PM (121.190.xxx.152)

    삼성전자는 실적도 엄청나고 매우 좋은 회사이지만 52주 신저가 찍은 기념으로 상징적으로 진입했을 뿐 안심하고 진입할 상황은 아닌 것 같아요.

    이번에 갤럭시 GOS 이슈가 너무 기분이 나쁩니다.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아주 해결하기 어려운 고질적 문제가 다 합쳐져서 GOS 사태로 나타난 것 같아요. 프리미엄급에서 사용하는 AP의 성능이 애플의 저가폰 SE에서 사용하는 AP 보다 성능이 나쁘다면 이걸 어떻게 단순한 문제라고 할 수 있겠어요. 지금 삼성전자에서 내부적으로 문제가 파악되었는지조차 불확실합니다.

    ARM 기초설계 받아서 AMD가 설계한 것을 삼성 파운드리가 5나노 공정에서 생산했는데 어떻게 발열이 이렇게나 심해서 GOS로 강제로 성능을 낮춰버려야할 지경이 되었나요. 어떻게 삼성의 최신폰 프리미엄급 AP 최신 설계에 5나노 초미세공정에서 생산한 것이 어떻게 애플의 몇년전 설계한 것을 TSMC가 7나노 공정에서 생산한 것보다도 성능이 더 나쁠 수 있다는 말입니까? 이거 설계가 잘못되었다고 해도 문제이고 파운드리 공정의 문제라고 해도 문제이고 어디가 문제인지조차 파악이 안되었다면 더더욱 큰 문제입니다.

    게다가 압도적 초격차 메모리에서조차 마이크론에서 최신공정에서 밀렸어요. 1b 개발 포기하고 그다음 단계인 1c로 곧바로 넘어가서 이번 상반기내에 기술 완성한다고 하는데 결국 마이크론의 공정에 역전당했습니다. 초격차를 외치는 삼성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본진이 털리고 있는거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밀려올 정도네요.

    물론 삼성 경영진이 바보가 아니고 개발자들의 역량은 누가 뭐래도 세계 최고인것은 맞는데 얼마전 4년짜리 초짜 엔지니어가 이런식으로 과도한 개발 계획때문에 공멸한다는 경고의 이메일을 경계현 사장과 이재용 부회장에게 직접 보낸게 신문기사로 나왔는데 이거 무쟈게 기분나쁜 뉴스였어요. 최고 경영진과 말단 엔지니어 전부 총체적 위기가 아닌가 싶네요. 부디 잘 극복하기를 바랍니다.

    네이버와 삼성전자 둘다 52주 신저가 찍었지만 솔직히 삼성전자는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네이버는 확실히 저점은 맞는 것 같구요. 하지만 바닥 아래 지하실 있으니 섣부른 투자는 금물입니다.

  • 6. ...
    '22.4.25 8:25 PM (1.242.xxx.109)

    혹시 원글님이 주시기님 아니신지요...(예전에 동성화학) 추천해주셨던 분요.

  • 7. ...
    '22.4.25 8:28 PM (1.242.xxx.109)

    삼전은 gos이슈를 제대로 사과도 안하고 넘어간 것도 문제예요.

  • 8. ㅠㅠ
    '22.4.25 8:30 PM (223.39.xxx.216) - 삭제된댓글

    네이버도 52주 신저가 찍은 오늘 기준으로도 구글보다 비싸고 성장률, 이익률은 훨씬 떨어집니다
    무엇보다 매출이 정체
    코로나때 많이 올라서 매출이 정체되면 이해하겠으나
    코로나때도 매출성장이 그닥 ㅠ


    삼전도 디램 3사간의 격차가 요새 없다고 들었습니다
    파운더리도 매우 안좋지만
    다행히 gos 원인이 되었던 발열문제는 퀄컴 설계문제라는
    썰이 돌더군요. 거의 같은 퀄컴 ap(중국폰)가 tsmc에서도 발열 못잡았다 들었습니다
    퀄컴. 삼성이 못한다기보다 애플반도체가 그냥 미처버린듯합니다. 세계최고의 반도체기업이 되어버린 애쁠

  • 9. cls
    '22.4.25 9:29 PM (125.176.xxx.131)

    와우!! 이따 자세히 읽어볼게요

  • 10. ..
    '22.4.25 10:23 PM (1.228.xxx.114)

    주식님?
    삼전 gos발열문제는
    설계 잘못으로 이미 결론 났어요

  • 11.
    '22.4.25 10:55 PM (122.36.xxx.203)

    설계 잘못 맞고
    삼성 사과 안했나요?. 한걸로 아는데..

  • 12.
    '22.4.26 4:16 AM (221.150.xxx.53)

    원글님 소중한 정보를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삼성전자는 없고 그대신 243880은 가지고 있는데 팔아서 soxl사면 후회 할까요?

    환율이 높아지고 세금 때문에 망설이기만 하고 있네요.

  • 13.
    '22.4.26 4:24 AM (121.167.xxx.7)

    원글님 글 고맙습니다.
    거시 상황이 좋지 않아 보수적으로 투자하라는 뜻 잘 보았습니다.
    살짝 괜찮았을 때도 하락이 더 있지 않을까 생각만 하고 익절을 망설였다가 어제 늦게라도 현금화했습니다. 익절도 있고 손절도 있고요.
    현금 반 비중 채웠어요. 쉬었다 가을부터 봐도 되겠나 생각도 해봅니다. 확률적으로 생각하면 분할 매수가 맞는데도 자꾸 바닥을 맞추고 싶은 욕구가 생깁니다 ㅠ

  • 14. 주식
    '22.4.26 4:54 AM (121.190.xxx.152)

    1) 발열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지만 퀄컴 잘못으로 밝혀졌다고 해도 삼전의 잘못이 면죄부 받는 것은 아닙니다. 누가 그런 설계 맡기라고 했어요? 애플과 경쟁하는 판국에 하청업체에게 잘못을 덮어씌운다고 문제 해결되나요? 애플은 스스로 설계하는데 삼전은 왜 못했나요? 구조적 문제 심각함.

    2) 이번 인플레가 구조적으로 매우 심각합니다. 이럴때 현금만 갖고 있으면 계좌가 그냥 녹습니다. 더구나 정기예적금 갖고 계신분들은 뙤약볕에 현금이라는 얼음덩어리를 내어놓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을 아셔야해요. 제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수익실현을 통해 현금비중을 늘리지만 지금처럼 변동성이 심대한 시장에서 과대낙폭 종목으로 민첩하게 옮기기 위해서이지 현금 보유가 최종목적지는 아닙니다. 오히려 현실은 정반대죠. 현금 끌어앉고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 됩니다.

    3) 인플레 원인은 수요의 증가, 공급의 감소, 그리고 통화량의 증가입니다. 연준이 긴축을 시작했지만 M2 통화량은 빨라야 5월부터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미국 가계보유 초과저축액은 2.4조불이나 되고 기업과 가계의 총보유현금은 19조불이나 됩니다. 여기에 미정부가 BBB 시작하면 경제주체 3개 모두 수요 증가에 돌입합니다. 그 와중에 공급이 구조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역대급 통화량에 수요과 공급이 모두 기록적입니다. 가격이 오르는데 공급을 늘리기는커녕 줄어들고 있어요.

    4) 주식시장이 버티면 연준은 금리를 더크게 인상할거에요. 시장이 빅스텝 예상하고 반영하면 0.75% 갑니다. 시장이 그래도 안무너지면 100bp 못갈 이유가 뭔가요. 수요는 늘고 공급은 줄어드는데 구인공고가 1천만건이 넘어가서 인건비마저 올라가고 있는데 그동안 주식시장에서 거둔 자본이득으로 인간들이 고용시장에 나오지를 않고 있습니다. 차라리 주식시장을 무너트려서 일을 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과격한 주장이 연준 고위인사들로부터 나오고 있는 상황.

  • 15.
    '22.4.26 5:40 AM (221.150.xxx.53)

    미국 바닥이 s&p4000 언저리에 러시아가 미사일 쏠 경우에 3800이라고 윤제성ceo가 말해서 다음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이 바닥 일거라고 저는 추측 했는데 그거보다 더 심각 한가요?

  • 16. 주식
    '22.4.26 5:58 AM (121.190.xxx.152)

    윤제성이라는 분이 누구인지 왜 그런 저점을 예측하는지 저는 아무것도 모릅니다. 저점을 예측하는 분들의 의견에 별 관심도 없구요. 다만 상황이 매우 심각하며 누구도 답을 모르는 상태에서 미국과 러시아는 경제 외적인 국제정치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아주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직시하면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만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반도체산업을 아주 간단하게 설계와 공정의 이분법적으로 보면 안됩니다.
    TSMC의 경쟁력이 뭔지 아세요? 설계한대로 그대로 만들어주면 그걸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네, 팹이라는게 원래 그런거는 맞습니다. 그러니 미국사람들이 부가가치 높은 팹리스에 집중하고 팹은 대만이나 한국 먹으라고 넘겨준거죠.

    그런데 미세화공정이 심화될수록 이게 단순히 제조기술의 수준을 넘어갑니다. 특히 TSMC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는 아주 유명한 원칙이 있어요. 네, 바로 고객과 아주 심하게 경쟁하는 삼성을 의식하고 만든 슬로건이겠지만요. 즉, 고객의 설계기술을 빼돌려 자기가 꿀꺽할 위험이 있는 삼성 대신 자신에게 일감을 주면 자기는 스맛폰 만들 생각도 없고 칩 만들어서 경쟁할 생각 자체가 아예없고 파운드리 사업에만 집중하겠다는 뜻.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TSMC 만의 경쟁력이 나옵니다. 설계자가 설계 내용의 모든걸 알수가 없어요. 더구나 지금처럼 복잡해진 팹공정에서 설계자가 그런 공정상의 복잡한 문제를 전부다 고려한 완벽한 설계를 도출해 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TSMC는 설계대로 만들어주는 단순한 하청회사가 아니에요. 설계자가 공정의 전문지식이 부족해서 반영하지 못했던 설계에서 2%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뿐만 아니라 더 나은 설계가 되도록 항상 도움을 줍니다. 이런 설계대로 만들어보니 저런 문제가 나오더라는 것을 고객에게 알려주면서 최고의 제품이 나오도록 하는 것. 발열이 되는지를 나중에 최종제품 갤럭시 프리미엄폰 개발과정에서야 발견하고 GOS로 땜빵하는 삼성과 발열이 나오기 전에 발열 가능성을 예측하고 설계변경을 요구하는 TSMC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제는 미국도 다시 파운드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설계만으로 문제해결 안될뿐 아니라 전략적 차원에서라도 파운드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최근에 인텔이 파운드리에 공격적 투자를 결정하고 미정부가 그걸 적극 지원할뿐 아니라 삼성과 TSMC에게 미국에 공장을 지으라고 강요하는 것입니다.

  • 17. 전에
    '22.4.26 11:15 AM (121.167.xxx.7)

    소개해주셨던 제이알글로벌리츠.
    시장이 많이 흔들릴 때 목표 비중 반을 채웠는데 그 이후 그런 가격이 안나오고 계속 상승하고 있어요.
    Isa계좌에 모아보려고 들여다 보는 중인데 오늘은 큰 폭으로 오르네요. 흠..
    덕분에 낮은 가격에 자신있게 진입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플레 관련 글 감사합니다.
    현금화해 둔 건 다시 재진입하기 위해서 입니다.
    충격이 있더라도 대세 하락의 시작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조목조목 근거를 적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18. 주식
    '22.4.26 5:00 PM (121.190.xxx.152)

    샘표식품 60500, 61700원에 매도 완료했는데 오늘 대단했네요.
    끝까지 쫓아가면서 고점 매도했어야 했는데 브레이킹 배드 관련 댓글놀이 하느라... ㅋ

    --

    제이알글로벌리츠는 지난번 6천원 돌파했다가 누군가 크게 정리했나보네요.
    리츠는 매매수익 얻어먹을 생각은 없고 반기당 배당금 최소 190원은 보장되니까 지금 주가 5900원에서도 6.4% 수익률은 안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미국 뉴욕 오피스 빌딩 자산 추가되었으니 대출이자와 추가 임대료 수입 스프레드 계산해보면 하반기에는 주당 190원 이상도 가능할 수 있어요. 그리고 리츠는 원래 인플레 파이팅 가능한 자산입니다. 물가 상승하면 임대료도 당연히 올라가니까요. 최근 인플레 뉴스에 리츠가 상승 반응하는 이유가 바로 이래서이죠. 목표 비중 반이라도 채우셨다니 다행입니다. ^^

  • 19. 50세
    '22.4.26 10:18 PM (116.33.xxx.5)

    예전에도 노후랑 비과세 연금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셨는데 저한테는 넘 어려웠어요. 쓰신 글의 반의 반도 이해하지 못했지만서도 지나가 보니 님이 무지한 재테크 깜깜이들에게 귀한 정보를 정성스럽게 나눠주셨다는 건 알겠어요.
    타인이 쉽게 콕콕 찝어 주는 걸 받아먹으려 했다가 차이나 전기차etf에 크게 체했습니다. 아마 님의 정보는 어느정도 금융 재테크 지식이 있는 분들이 빨리 알아듣겠지 만서도..집도 직장도 없고 이제 몸까지 아프고 나니 30.40대 난 뭘하느라 시간만 허비했나 싶기도 합니다. 제이알글로벌리츠에 대해서 오늘부터 공부해볼께요. 가끔 글 올려주시면 또 공부해 보겠습니다. 참 부지런하고 일목요연 깔끔하게 글을 쓰시네요.감사합니다.

  • 20. ...
    '22.4.28 10:53 AM (121.139.xxx.185)

    주식으로 얼마 잃고 다시 공부합니다. 너무나 소중한 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34363 지금 안주없이 맥주한캔.. 살찌겠죠? 13 davido.. 2022/04/25 2,747
1334362 엄마랑 평생 안맞아 15 ㅇㅇ 2022/04/25 5,526
1334361 오이지 살려주세요... 6 50인데 2022/04/25 1,444
1334360 초2 물총싸움에 무릎꿇은 임창정? 4 ... 2022/04/25 2,139
1334359 가정견 데려올때 비용 5 가정견 2022/04/25 1,570
1334358 한국에서 대학생애들 사귀러면 어떻게해야하나요? 4 ... 2022/04/25 1,939
1334357 인수위에서 굥 관저 발표가 나왔는데 24 ㅇㅇ 2022/04/25 4,283
1334356 코로나지원금 격리기간 6일로계산하는게 맞는건가요? 6 질문 2022/04/25 1,877
1334355 윤정부 들어서면 후쿠시마 농수산물도 개방하겠죠 12 .. 2022/04/25 1,389
1334354 급체한것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21 ㅇㅇ 2022/04/25 2,611
1334353 문통 지지하며 2번 찍었다는 사람들 43 .. 2022/04/25 2,801
1334352 162/47 아님 166/55 16 high 2022/04/25 7,413
1334351 손석희 살아있네요 13 손옹 2022/04/25 7,132
1334350 이혼했는데 싸이월드 들어갔다가.. 7 39ㄷ9ㄷ 2022/04/25 18,421
1334349 스윙소파, 조야원단 질문 포로리2 2022/04/25 575
1334348 기시다 총리가 대통령 취임식에 온다면 모든 성의를 다해서 모실 .. 13 정진석 2022/04/25 2,176
1334347 연유로 할수있는 음식 있나요? 6 리강아지 2022/04/25 1,607
1334346 콜라겐 효과있나요? 4 2022/04/25 3,801
1334345 동상이몽은 이제 10 임창정 2022/04/25 5,149
1334344 조블랙의 사랑 봤어요 11 방금 2022/04/25 3,381
1334343 무서운 옛직장 동료 12 ㅇㅇ 2022/04/25 5,416
1334342 고등 아들, 요리 유학 조언 구해요 7 ... 2022/04/25 1,959
1334341 도대체 저는 어디서 코로나를 걸렷을까요?.// 15 슬2 2022/04/25 3,545
1334340 갱년기에 나타나는 증상이 6 ㅇㅇ 2022/04/25 3,427
1334339 文 "조국 사태 송구" 정경심 사면 보류..&.. 9 2022/04/25 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