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태종,태조,세종,세조..조 와 종은 다른가요?
사극보다보니 궁금해서요…
Merry Christmas!
1. 여기
'21.12.18 10:57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2. ....
'21.12.18 10:57 PM (118.235.xxx.232) - 삭제된댓글조.는
건국이든, 쿠데타든
기존 왕의 후계자가 아닌데 왕이 된 왕.
종.은
선대 왕의 후계자 자격으로 왕이 된 왕.3. 조종
'21.12.18 10:58 PM (61.98.xxx.135) - 삭제된댓글업적이 어느분야에 기여했나에 따라 구분된다 들은기억.
4. 아이고야
'21.12.18 10:58 PM (115.136.xxx.13) - 삭제된댓글윗님 그런거 아닙니다.
5. ..
'21.12.18 10:59 PM (118.32.xxx.104) - 삭제된댓글종은 자식승계
조늠 반정,개국등 정권교체6. 맞아요
'21.12.18 10:59 PM (61.83.xxx.150)윗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그래서 첨은 태조였죠7. ...
'21.12.18 11:02 PM (118.235.xxx.232) - 삭제된댓글그래서
조.는 조상 조(할아버지조)
종.은 마루 종.을 써요.8. 조에서
'21.12.18 11:03 PM (14.32.xxx.215)새로운 시조(?)가 생긴다고 봐야하나...
태정태세문단
세....
이렇게요9. 겨울
'21.12.18 11:04 PM (175.192.xxx.113)아…
감사합니다.
그럼 태종,세종은 사후에 후세에 붙여지는 건가요?
태조는 다음왕인 정종이 태조라고 하는건가요?10. 네
'21.12.18 11:05 PM (14.32.xxx.215)죽고 난 다음에 붙여요
11. ...
'21.12.18 11:06 PM (106.101.xxx.124)사후에 정해지는 명칭 맞아요
12. 겨울
'21.12.18 11:08 PM (175.192.xxx.113)연산군,광해군은 강제폐위되어서 왕이름이 없는거죠?
13. ..
'21.12.18 11:10 PM (211.110.xxx.60)죽은 다음 종묘에 위패를 모시는데...치적과 덕성을 감안하여 왕의 이름을 지었대요. 그게 태조 정종 이렇게...
신하들과 상의해 후세왕이 지었을겁니다.14. 네
'21.12.18 11:11 PM (14.32.xxx.215)폐위돼서 군이에요
실록에서도 빼버립니다
연산군일기...이렇게요15. 겨울
'21.12.18 11:13 PM (175.192.xxx.113)감사합니다^^
9대 성종이 1대 태조를 말할때
태조전하라고 할까요?
아들이 계속 물어봐서..요…16. ....
'21.12.18 11:15 PM (39.7.xxx.171) - 삭제된댓글꼭 그렇지는 않아요.
선조는 명종이 자기 후계자로 지목해서 왕위에 울랐어요
정조도 원래는 정종이었고요17. 광해군이
'21.12.18 11:55 PM (121.179.xxx.224) - 삭제된댓글제일 불쌍하죠.
인조반역이 성공해서 후손들이 전부 왕이 되서 찬밥되고 지금도 군자 달고 있어요,18. ...
'21.12.19 12:03 AM (118.235.xxx.232) - 삭제된댓글선조는 입양이든 뭐든 후손이 아니고
밖에서 끌어왔으니까요.
정조도
아버지 사도세자 건너뛰고 왕위받아서
그런거에요.19. 00
'21.12.19 12:14 AM (1.245.xxx.243)조선에서는 조와 종이 구분이 꼭 자식승계,정권교체 의미가 아닙니다.
종보다는 조가 더 높이는 의미가 있습니다.
아래 글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묘호'란 왕이 죽은 후에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며 창업한 왕은 조(祖),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宗)이 기본 관례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태조'입니다.
고려 왕 계보 중 '조'를 쓰는 건 건국왕 태조가 유일합니다. 고려 왕 계보를 보면 충렬왕 전까지 이 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 왕 계보는 조금 어렵습니다. 처음 관례를 어긴 묘호는 세조입니다. 훗날 세조의 묘호를 논할 때 아들인 예종이 '조'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선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뒤에 등극한 새로운 왕이니 새로운 왕조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거기에 세종의 정신을 이었다는 의미로 세종의 세(世)가 더해져 '세조'라고 결정됩니다.
선조는 원래 선종이었지만, 임진왜란을 잘 극복한 공을 인정해 광해군이 나중에 '선조'로 높입니다. 인조는 선왕이 광해군으로 강등되고 새로운 왕이 되었으니 새로운 왕조를 시작했다는 논리입니다.
이렇듯 조선 시대에는 왕권을 강화하거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 왕이 선대 왕의 묘호를 종에서 조로 높이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영조, 정조, 순조도 원래는 영종, 정종, 순종이었지만 철종이 순종을 순조로 높이고 고종이 직계 혈통인 영종과 정종을 영조와 정조로 높입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50953220. 9대가
'21.12.19 12:33 AM (14.32.xxx.215)1대를 뭐라 부를지는 안살아봐서 모릅니다
태상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뭐 그랬는데...부를일이 있을까요21. 꼭
'21.12.19 1:19 AM (211.212.xxx.141)저런 법칙아니래요.
순조는 정조의 아들인데 조 쓰잖아요.
그리고 헌종은 순조의 아들아니고 손자인데 종 쓰고요.22. 그
'21.12.19 1:51 AM (122.37.xxx.12)태상왕 은 보통 현재 임금의 아버지를 부를때 그리 말하구요
예를들어 예종때 태상왕 어쩌구 하면 세조를 말하는겁니다
그리고 정조가 중종때 일을 신하들과 논의하고 중종을 부를때는 중종께서 어쩌구...이리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