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산병원 교수 15세미만 백신접종 시기상조..뉴스나왔어요
https://news.v.daum.net/v/20211216201747003
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유튜브에 소신입장 공개 했네요.
전 유튜브 영상으로도 봤는데
조곤조곤 설득력있게 설명해주네요.
맞든 안맞든 개인 선택이지만
신뢰가는 의사의 의견도 들어볼 필요는 있는것 같습니다.
1. ..
'21.12.16 9:40 PM (223.62.xxx.68)2. ....
'21.12.16 9:47 PM (222.119.xxx.115)다른 의사들 의견은요?
의사 한명 의견으로 판단할 문제는 아니지요.3. ...
'21.12.16 9:47 PM (118.37.xxx.38)당연히 소수의견도 있겠죠.
그러나 접종하는게 미국등에서 대세.4. ..
'21.12.16 9:50 PM (223.62.xxx.68)5. ...
'21.12.16 9:51 PM (223.38.xxx.224) - 삭제된댓글당연한거아닌가 섣불리맞출게 아니라봅니다
이쯤되면 안맞은사람이 위너같음6. 첫번째 이유
'21.12.16 9:52 PM (61.105.xxx.165)소아청소년의 코로나감염 증상은 경미하고 미미해서
7. ...
'21.12.16 9:55 PM (211.205.xxx.216) - 삭제된댓글ㄴ그것도 그렇지만 더큰이유는
아직 성장중이기때문에 향후 어떤문제가 생길지몰라서입니다 이게크죠8. ...
'21.12.16 9:56 PM (223.38.xxx.36) - 삭제된댓글애들은 진짜신중해야하는게
당장 부작용이눈앞에 안나타난다고 문제없는게아니거든요
몇년후 갑자기 발현될수도있는게 mrna 기전이에요9. ....
'21.12.16 9:56 PM (39.7.xxx.74)캐나다에 있는 지인 딸.
13살인데 다음 주에 백신 맞는다네요.
같은 반 아이들도 다 맞는다고 합니다.10. ㅇㅇ
'21.12.16 9:58 PM (121.152.xxx.100) - 삭제된댓글단 한명의 의견은 글쎄?
다른 일이기는 한데
직함으로 신뢰했던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너무 비과학적으로 시민단체 의견을 복사그리고 붙이기 한 것 보고
이제 단 한명의 무슨 교수 의사 안믿어져요11. ....
'21.12.16 10:02 PM (121.177.xxx.127)저 의사도 맨처음에 자기 입으로 그러네요.
개인의견이라고...12. 기사에
'21.12.16 10:04 PM (61.105.xxx.165)세가지 근거를 제시했는데
첫번째가 증상이 미미하고 무증상이라고 ...
큰이유 작은이유는 기사에 없어서 모르겠슴13. 지금
'21.12.16 10:06 PM (121.139.xxx.15)어린애들 확진자 수나 보고 말하세요. 많이생겨요.
14. ..
'21.12.16 10:06 PM (223.38.xxx.51) - 삭제된댓글당장 학원보내자는 편의를위해 애들건강담보로 하는건 진짜 무모하고 무식해보여요ㅠ
15. ㅇㅇㅇ
'21.12.16 10:07 PM (222.238.xxx.18)프랑스에서도 강제 안하고 있고
이스라엘도 청소년 접종률 10퍼예요
우리나라 말 나오자 마자 볼써 50퍼인거 아세요?
그래도 적게 맞았다고
난리치며 말하던데
이게 강제지 자율이예요16. . .
'21.12.16 10:08 PM (223.38.xxx.107) - 삭제된댓글확진자숫자가 무슨의미?다들 아무증상없는게 포인튼데
위중증이 지금은중요하구요 다 60대이상17. ....
'21.12.16 10:11 PM (222.119.xxx.115)어느 원자력인가 전공하는 교수는 일본 원전사고에 대해 큰 문제 없다는 말을 했죠.
전문가라고 해서 한두사람의 말을 신뢰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안아키 그 한의사도 한의사이니 한의학 전문가고...
한두 사람이 아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을 따라야죠.18. 백신을
'21.12.16 11:05 PM (219.249.xxx.181)맞는것과 안맞는 것의 차이가 미비한 청소년들인데 부작용을 감수하면서까지 맞아야 할까요?
전 어리석은 짓이라 봅니다.
참고로, 전 애들이 다 성인이에요.19. ㅎㅎ
'21.12.16 11:10 PM (112.214.xxx.10)그분이 의학계의 절대존재도 아니고..
찬성하는 시람의 말씀은 흘려듣고
듣고싶은 위험발언만 올리는 이유는??20. 저나이
'21.12.16 11:32 PM (124.54.xxx.37) - 삭제된댓글만나이겠죠? 곧 만15세 되긴하지만 울 막내 이번에 접종했어요..15세나 14세는 그게 그거인거라고 믿고싶어요..ㅠ
21. ...
'21.12.17 12:09 AM (223.38.xxx.141) - 삭제된댓글ㄴ머 듣고싶은대로 듣고
들을귀있는 사람만 들으니까요22. 아니
'21.12.17 3:53 AM (1.237.xxx.201)전문가 마다 의견이 다르고 개인들이 알아서 선택 하는 것이지..미국이 맞고있다고 같이따라가는 건 문제 아닌가요? 알아서 하게 냅둬요 제발
23. 심근염
'21.12.17 9:16 AM (219.249.xxx.181)24. 어디까지나
'21.12.17 9:24 AM (218.157.xxx.139)개인의 의견. 입니다.
25. 아산병원교수말씀
'21.12.17 10:41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잘 모르겠을 때에는 다수가 무조건 옳다고 섣불리 결론 내리지 말고 그 전문인이 말하는 내용을 보고, 반대편과 비교하여 이치를 따지고, 현실의 결과와도 비교하면 됩니다.
안중호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말씀은, 다음 이유에서 15세 미만 소아 청소년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것은 시기상조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소아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은 경미하거나 무증상이 대부분이라는 점
-백신의 부작용과 안전성이 정확히 검증되지 않은 점
-장기적 관점에서 백신이 소아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는 점
또, “여러 연구에서 소아 청소년은 어른보다 바이러스를 훨씬 적게 전파하는 것으로 보고된다"는 점,
현재 일선 진료시 많은 부작용 사례를 보고 있음을 언급하고,
"소아 청소년은 면역체계가 완성되어 있지 않고 성숙해 가는 과정이고 절대 어른과 같지 않다. 성인에서도 백신 접종 후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백신과 후유증과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아 청소년으로 백신 접종 확대는 시기상조" 의견을 언급했어요.
뭐 하나라도 의학적인 견지에서 반대할 만한 부분이 있습니까?
의학계 여러분이 말씀해주시면 좋겠네요.26. 아산병원교수말씀
'21.12.17 10:43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잘 모르겠을 때에는 다수가 말한다고 무조건 옳다고 섣불리 결론 내리지 말고 그 말하는 내용을 확인해보고, 반대편과 비교하여 이치를 따지고, 현실의 결과와도 비교하면 됩니다.
안중호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말씀은, 다음 이유에서 15세 미만 소아 청소년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것은 시기상조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소아 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은 경미하거나 무증상이 대부분이라는 점
-백신의 부작용과 안전성이 정확히 검증되지 않은 점
-장기적 관점에서 백신이 소아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는 점
또, “여러 연구에서 소아 청소년은 어른보다 바이러스를 훨씬 적게 전파하는 것으로 보고된다"는 점,
현재 일선 진료시 많은 부작용 사례를 실제 보고 있음을 언급하고,
"소아 청소년은 면역체계가 완성되어 있지 않고 성숙해 가는 과정이고 절대 어른과 같지 않다. 성인에서도 백신 접종 후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백신과 후유증과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아 청소년으로 백신 접종 확대는 시기상조" 의견을 언급했어요.
뭐 하나라도 의학적인 견지에서 반대할 만한 부분이 있습니까?
의학계 여러분이 말씀해주시면 좋겠네요.27. 아산병원교수말씀
'21.12.17 10:44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https://www.youtube.com/watch?v=6CcesZM4oSU
하버드 교수 마틴 컬도르프 박사 “어린이는 COVID 백신 맞아선 안 돼” 영상에서의 언급과 다르지 않은 내용입니다.28. 일선의사들
'21.12.17 11:46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질병청과 미디어에 앞장 선 의사들이 백신 접종에 앞장서고 있다고 해서 일선의 모든 의사들이 같은 입장은 아닐 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백신 접종 초기 때를 보면, 백신의 부작용이 얼마나 심각해질지에 대해서는 의사들이 예상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고 반대할 이유가 뭐가 있겠습니까? (병원 입장에서는 백신 주사를 놓아주면서 어떻게든 영리에 도움이 되지 않나요?)
화이자는 미국에서 긴급 승인을 받으면서 승인 내용 정보 공개도 안했는데 감염병 전문가도 아닌 의사들이 어떤 의견을 내놓겠냐고요. 화이자는 부작용에 대한 면책 특권도 받고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뭐가 구린지 승인 내용 정보 공개를 75년으로 연장 요청까지 해서 백신 내용 물질이 뭔지에 대해서도 이렇다 저렇다 말만 많습니다.
거대 제약업체의 파워는 상상 외로 대단합니다.29. 일선의사들
'21.12.17 11:51 PM (220.117.xxx.102)질병청과 미디어에 의사들이 백신 접종에 앞장 서고 눈에 띈다고 해서 일선의 모든 의사들이 같은 입장은 아닐 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백신 접종 초기 때를 보면, 백신의 부작용이 얼마나 심각해질지에 대해서는 의사들이 예상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고 반대할 이유가 뭐가 있겠습니까? (병원 입장에서는 백신 주사를 놓아주면서 어떻게든 영리에 도움이 되지 않나요? 아니면 수정 의견 바랍니다)
화이자는 미국에서 긴급 승인을 받으면서 승인 내용 정보 공개도 안했는데 감염병 전문가도 아닌 의사들이 어떤 의견을 내놓겠냐고요. 화이자는 부작용에 대한 면책 특권도 받고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뭐가 구린지 승인 내용 정보 공개를 75년으로 연장 요청까지 해서 백신 내용 물질이 뭔지에 대해서도 이렇다 저렇다 말만 많습니다.
거대 제약업체의 파워는 상상 이상입니다. 백신 공급업체가 멕시코 정부와 백신 계약할 때 갑질한 것도 다 뉴스에 나왔습니다. 어떤 불공정 계약을 했는지 우리 정부와의 계약도 궁금해들 하고 있지만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냥 모든 것을 다 믿고 따르고 우리 아이들에게까지 접종을 해야만 할까요? 부작용이 이렇게 많아도 인과관계는 전혀 인정되고 있지 않은데요? 누가 부작용이 날 지 아무도 모르는데요?30. 교수님말씀
'21.12.18 1:03 PM (220.117.xxx.102)잘 모르겠을 때에는 다수가 말한다고 무조건 옳다고 섣불리 결론 내리지 말고 그 말하는 내용을 확인해보고, 반대편과 비교하여 이치를 따지고, 현실의 결과와도 비교하면 됩니다.
저는 교수님 말씀에서 중요한 지식들을 많이 얻었어요.
우리 익히 알고 있듯이 소아 청소년층에서의 코로나 증상이 경미하고 백신 안전성 입증 안되었고 미래의 영향 또한 입증 안되었고요,
무엇보다 소아 청소년은 면역체계가 완성되어 있지 않고 성인과 같지 않다고 합니다.
나이는 어려도 코로나를 전파시키지 않느냐 걱정들을 하시지만요, 감염 후 전파력에 있어서도 아이들은 성인보다 훨씬 적게 전파한다고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고 해요.
소아 청소년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것은 시기상조이고 신중해야 한다는 말씀에 저는 단연코 수긍이 갑니다.
의학계 여러분 말씀해 주세요.
뭐 하나라도 의학적인 견지에서 반대할 만한 부분이 있습니까?31. 교수님말씀
'21.12.18 1:06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http://www.youtube.com/watch?v=6CcesZM4oSU
하버드 교수 마틴 컬도르프 영상에서 어린이에게 코비드 백신 반대하는 언급과 다르지 않습니다.32. 교수님말씀
'21.12.18 1:07 PM (220.117.xxx.102) - 삭제된댓글http://www.youtube.com/watch?v=6CcesZM4oSU
어린이에게 코비드 백신 반대하는 내용이 하버드 교수 마틴 컬도르프 영상 언급과 다르지 않습니다.33. 교수님말씀
'21.12.18 1:09 PM (220.117.xxx.102)http://www.youtube.com/watch?v=6CcesZM4oSU
어린이에게 코비드 백신 반대는 하버드 교수 마틴 컬도르프 영상에서도 다르지 않습니다34. …
'21.12.18 2:48 PM (211.217.xxx.144)아이들에겐 특히 안전이 우선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안맞아도 괜찮은 아이들을 굳이 현재 의혹이 많은 mrna 백신을 맞춰야할까요?
다 맞아요. ? 미국 캐나다는 대세에요? .. 글쎄요
전 의사분들이 청소년 접종 불필요함에 대하 용기 있게 의견 말해 주시는게 너무 고맙네요. 무슨 이익이 있다고 그분들이 그러시겠어요? 정부편들어주고 접종 더하면 훨씬 이득이실텐데;;
소수라 치부하지 말고, 그 힘든 목소리를 내시게된 배경을 잘 생각해서 들어봐야할거라 고마운 분들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