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국적 교포가 1억4061만㎡(55.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합작법인 7120만㎡(28.3%), 순수 외국법인 1884만㎡(7.5%), 순수 외국인 2041만㎡(8.1%), 정부·단체 55만㎡(0.2%) 순으로 보유했다.
이들 중 대다수는 순수 외국인보다 교포 등 소위 검은 머리 외국인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모습이다. 올 상반기 외국인 토지가 늘어난 가장 큰 원인은 대부분 미국이나 캐나다 등 외국 국적자의 임야 등에 대한 증여·상속, 국적변경에 의한 취득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중국인들의 고가 주택 매입설도 외국인들에 대한 적개심을 더욱 부추겼다. 지난 10월 중국인들이 한강변의 대표적인 고가 아파트인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옛 렉스아파트 재건축)'를 줄줄이 사들이고 있다는 소문이 부동산 단톡방과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 퍼졌다.
거래액 끝자리가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숫자인 '89'로 끝나면서 소문에는 더욱 힘이 실렸다. 그러나 이 또한 사실이 아니었다. 정작 이 단지를 거래한 사람들 대부분은 한국인으로 확인됐다. 이 단지가 재건축되면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땅인 2필지에 대한 공유지분 권한을 이전하지 않을 경우 2만원이 빠지면서 매매가의 끝자리가 98만원이 된 것이다.
이처럼 외국에 사는 순수 외국인이 한국 땅이나 주택을 대거 매입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 국민들의 경계심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소외된 2030 국민과 정부가 외국인 자체를 마녀로 몰아가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솔직히 외국인 비율이 굉장히 적은데, 이들이 집을 사서 집값이 폭등했다고 보긴 어렵다. 집값이 잡히지 않으면서 불안감에 빠진 국민과 정부가 마녀를 찾아다니고 있는데, 거기에 외국인이 타깃이 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