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징어게임 제작을 다 거절했었대요
1. 저
'21.9.29 10:55 PM (211.245.xxx.178)내용이 공중파에서 방영될수있는 수위일까요?
2. ..
'21.9.29 10:57 PM (39.118.xxx.220)사실 대본만 보면 별건 없죠
흔한 데드게임물이고 특별한건 없어보여요3. ㅡㅡㅡㅡ
'21.9.29 10:58 PM (61.98.xxx.233) - 삭제된댓글윗님 공감.
연출력이 뛰어난거 같아요.4. …
'21.9.29 11:02 PM (106.101.xxx.5)220억이나 드라마에 쓸 제작사가 10년 전은 커녕 지금도 넷플릭스말고는 별로 없죠
5. ..
'21.9.29 11:03 PM (27.100.xxx.77)넷플 순기능
좋아요6. 오징어게임
'21.9.29 11:40 PM (220.73.xxx.22)요즘 영화나 드라마가 cg발달에 힘입어
지나치게 화려하고 막강해져
리얼리티를 심하게 잃어버렸는데...
오징어게임은
소박한 리얼리티와 공상이 있는것 같아요
크게 징징거리지 않고
뭐야 벌써 끝? 더 없어 싶을 정도로
심각하고 복잡한 상황이 쉽고 빠르게 넘어가요7. ㅇㅎ
'21.9.29 11:40 PM (121.124.xxx.9)제작비도 200 억이라면서요
넷플 땜에 킹덤 오징어게임
이런 드라마 볼수 있었을듯8. 10년전
'21.9.29 11:44 PM (121.143.xxx.82)그 때는 반응이 달랐을지도 몰라요
9. 이건
'21.9.30 12:53 AM (142.179.xxx.65)대본보다
연출, 공간장치(미술), 음악, 의상
만화와 현실의 자연스런 조합 이런 것들의 힘이 큰거 같어요.
어째튼 어색함 없이 잘 만들었어요!10. ㅇㄹㄴ
'21.9.30 1:56 AM (222.101.xxx.218)넷플은 한국 드라마로 히트작 가성비 쩌네요. 외국 오리지널 제작은 몇 백억은 기본인데.
9회까지가 200억이고. 승리호같은 sf가 300억이니.
진짜 초딩때 구몬하고 중딩때 공부방 다니다 고딩때 인강 듣고 서울대 보낸 집같은 가성비네요.
7000억 투자해서 20% 실패. 85% 중박치다가 이렇게 해외 1위 하는 한국작품 2개만 1년에 나와도
투자 잘하고 수익 잘 얻는 것임.
그러네 넷플은 국내망사용비를 내자......돈도 잘 버는데.11. 맞아요
'21.9.30 2:01 AM (210.96.xxx.10)작년 스위트 홈
올해 오징어로 대박
가성비 짱이네요
우리나라 사람들 능력있는거 같아요
그러네 넷플은 국내망사용비를 내자......돈도 잘 버는데.2222212. 대박이라고?
'21.9.30 2:02 AM (61.84.xxx.134) - 삭제된댓글너무너무 악해서 역겹던데요
13. 10년전엔
'21.9.30 6:24 AM (180.68.xxx.158)그수위로 제작 못 했죠.
묘하게 유치하지만,
시대에 맞게 풀어낸거죠 뭐.14. ..
'21.9.30 6:40 AM (1.251.xxx.130)소재가 칼안되.
피 담배안되 공중파에 안돼죠15. ~~
'21.9.30 6:48 AM (222.99.xxx.82)황동혁감독. 능력있는 연출자예요.
마이파더, 도가니, 남한산성 등 흥행대박은 아니어도 작품성있고 메세지있는 작품들 참 좋았어요16. ㅎㅁ
'21.9.30 8:17 AM (210.217.xxx.103)라이어게임 짝퉁.
17. ㅇㅇ
'21.9.30 10:06 AM (39.7.xxx.230)역량있는 감독과 넷플 자본의 콜라보가 이룬 결과죠. 수상한 그녀 같은 코미디물도 유치하지 않게 잘 만든거 보면 연출력있어요. 연극영화 전공자인줄알았는데 샤대 신문학 전공이네요.
18. ㅡㄷ
'21.9.30 10:15 AM (223.38.xxx.241)어쩐지 넘 예상 가능하고 뻔해요
저는 3회 보다 말았어요
기분 좋은 영화는 아니죠
넷플이야 자극적인거 추구하죠
특히 애들 (우리의 동심이 있는) 놀이를 살인마 겜으로 만든게 넘 싫네요.
넷플 싫어요 돈이라면 뭐든 팔고사는 것 같아서.19. ㅎㅎ
'21.9.30 10:24 AM (223.62.xxx.32)10년전이면 일본에 한참 생존게임 애니나 영화 많던 시절 같은데요.
전 첨에 딱 내용듣고 일본만화 따라한거 아니야?
했고 일부 네티즌들도 표절 의혹을 제기했지요.
근데 정작 일본에서는 이 작품에 열광하며
그냥 클라세 정도로 생각하는 분위기라고.
문화적 소양은 일본이 나은 것 같아요.
중국 같으면 아예 자기네가 만든 것같이 행세할 것 같은데.20. 근데
'21.9.30 10:25 AM (223.62.xxx.32)넷플 망사용비 내야하지 않나요? 소송에서 졌던 것 같은데.
21. ㅇㅇ
'21.9.30 10:33 AM (114.207.xxx.50)복잡화되고 빠르게 흘러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단순함+추억 놀이 가미, 흥미진진한 토너먼트 방식, 한 공간안에서 발어지는 연극적 요소 등... 인기가 있을수 밖에 없었네요.22. 어제
'21.9.30 10:53 AM (223.38.xxx.20)정주행 했어요
애랑 보면서 잘만들었다 했네요
마지막회가 제일 좀 잔인했고
잔인하단 평을 많이 봐선지
아님 현재를 사는 내삶이 팍팍한건지
생가보단 덜?잔인하네요
저 총쏘고 죽이는 싫어해서
그런류들 안좋아하는데
이드라마는 완성도도 좋고 볼만하네요
씁쓸한 우리삶을 보는듯 하지만23. ㄹ
'21.9.30 11:05 AM (220.123.xxx.193)어제 궁금해서 봤는데
3편까지 논스톱 ㅋ
밤늦은 시간이라 멈췄고
흥미진진했어요.24. 제작비
'21.9.30 11:07 AM (125.134.xxx.134)220억은 너무 세네요. 영화로 만든다해도 220억
드라마로 한다해도 220억은 너무 비싸네요
근데 넷플은 잘 터져도 감독이나 배우들 인센티브나 보너스 포상휴가 이런 개념 전혀 없다면서요.
공중파나 케이블드라마는 기대보다 잘 터지면 보상이 크죠.25. ...
'21.9.30 11:46 AM (203.234.xxx.207)장기적출, 뇌와 창자 터져나온 거는 전개에 꼭 필요한 것도 아니고 화장실에서 성관계 장면 이런 거 너무 지나치지 않나요? 방송국 입장에선 거절이 당연한 게 방통위 심의를 받잖아요. 저런 장면 통과될 수 없어요. 하지만 넷플릭스는 방통위 규제도 안 받아요. ott가 방통위 법률에 없어서 그렇다네요. 이걸 두고 뭐든지 다 허용해서 좋다고만 할 수는 없죠. 19금이라도 다른 통로로 초등애들까지 막 보고 있대요. 넷플릭스가 망 사용료 안 내고 탈세하는 거 도둑놈 짓인 건 당연하고요.
26. 저도
'21.9.30 11:52 AM (122.42.xxx.24)1회부터 마지막까지 연달아봤어요...중단못하게 재밌어서요...
27. 저
'21.9.30 11:59 AM (74.75.xxx.126) - 삭제된댓글지금 마지막회 보고 너무 놀랐어요. 대박, 소름!
아들이랑 같이 보고 결말은 좀 약하지 않니 하고 엔드 크레딧 보다가 이거 황동혁 감독 연출이라고 나오는 거 보고요.
저랑 대학원 때 친구인데. 아마 나한테 돈도 꿔갔던? 이렇게 떴다니 너무 기쁘네요. 봉준호 감독 다음으로 진심 제 일같이 가뻐요.
졸업하고 사는 게 바빠져서 연락 안하고 지낸지 오래되었지만 젊은 날에 영화 얘기 하면서 술마시러 자주 다녔거든요. 심지어 제가 선배.
그러고 보니 말이 되요. 일관성이 있어요. 그 친구가 처음 만들었던 저예산 영화부터 작품 하나하나 연결이 되네요. 상업성을 우선시하는 듯 하고 장르영화의 범주 안에서 작품을 만들지만 사회에 대한 깊은 관심, 공동체에 대한 끝없는 추구,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성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집요하게 던지는 근성. 아 너무 기쁘네요. 저도 연출력의 승부, 동의해요!28. 시대와
'21.9.30 1:28 PM (14.53.xxx.191) - 삭제된댓글운대가 맞아떨어진거 같애요
10년전 분위기라면 수준낮은 작품이라며 외면했을지도..
코로나니 뭐니해서 빈익빈 부익부가 더 심해지고
대다수 약자들이 생존에 위협을 받으며 살다보니
지금 시대와 딱 맞아떨어진 건지도..29. 저
'21.9.30 1:34 PM (74.75.xxx.126) - 삭제된댓글마지막회 보고 너무 놀랐어요. 대박, 소름!
아들이랑 같이 보고 결말은 좀 약하지 않니 하고 엔드 크레딧 보다가 이거 황동혁 감독 연출이라고 나오는 거 보고요.
저랑 대학원 때 친구인데. 이렇게 떴다니 너무 기쁘네요. 봉준호 감독 다음으로 진심 제 일같이 가뻐요.
졸업하고 사는 게 바빠져서 연락 안하고 지낸지 오래되었지만 젊은 날에 영화 얘기 하면서 술마시러 자주 다녔거든요. 심지어 제가 선배.
그러고 보니 말이 되요. 일관성이 있어요. 그 친구가 처음 만들었던 저예산 영화부터 작품 하나하나 연결이 되네요. 상업성을 우선시하는 듯 하고 장르영화의 범주 안에서 작품을 만들지만 사회에 대한 깊은 관심, 공동체에 대한 끝없는 추구,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성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집요하게 던지는 근성. 아 너무 기쁘네요. 연출력의 승부, 축하해요!30. 저
'21.9.30 1:36 PM (74.75.xxx.126)마지막회 보고 너무 놀랐어요. 대박, 소름!
아들이랑 같이 보고 결말은 좀 약하지 않니 하고 엔드 크레딧 보다가 이거 황동혁 감독 연출이라고 나오는 거 보고요.
저랑 대학원 때 친구인데. 이렇게 떴다니 너무 기쁘네요. 봉준호 감독 다음으로 진심 제 일같이 가뻐요.
졸업하고 사는 게 바빠져서 연락 안하고 지낸지 오래되었지만 젊은 날에 영화 얘기 하면서 술마시러 자주 다녔거든요. 심지어 제가 선배.
그러고 보니 말이 되요. 일관성이 있어요. 그 친구가 처음 만들었던 저예산 영화부터 작품 하나하나 연결이 되네요. 상업성을 우선시하는 듯 하고 장르영화의 범주 안에서 작품을 만들지만 사회에 대한 깊은 관심, 공동체에 대한 끝없는 추구,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성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집요하게 던지는 근성. 아 너무 기쁘네요. 연출의 힘, 축하해요!31. 대박
'21.9.30 2:11 PM (121.190.xxx.215)220억이나 드라마에 쓸 제작사가 10년 전은 커녕 지금도 넷플릭스말고는 별로 없죠------22222
83개국중 80개국 1위라죠!
우크라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현재 2위고, 인도는 3위라네요.
저는 매트릭스도 생각나고, 정말 잘만든 영화라 생각해요.
흥미,몰입감 최고로 장면 장면 자꾸 생각나요.
곱씹어 보게되고 유투브 찾아 이런 저런 반응 및 해석 찾아보게 되고 그러다 어제부터 다시 정주행 합니다.32. 반
'21.9.30 3:03 PM (211.36.xxx.53) - 삭제된댓글200억이요? 반도 못 보고 잔다는 반도가 200억 들인 영화에요 200억 들여서 저렇게 훌륭하게 나오는구만
33. ㅇㅎㅇㅇ
'21.9.30 6:23 PM (221.151.xxx.5)문화적 소양이 일본이 낫다고요???????
???????
솔직히 저 학창시절때 일빠였고 이런 서바이벌류 드라마가 일본이 원조라는 건 인정합니다만
이건 그 이전 일본 작품들을 초월한 작품이에요
치밀한 극적 장치, 건강한 화두와 의미있는 메세지, 극의 진정성 등
일본 드라마들에 이런 것들이 있었던가요???
만들려면 이렇게 만들어야지요34. ㅇㅎㅇㅇ
'21.9.30 6:25 PM (221.151.xxx.5)그리고 야한 장면이나 잔인한 장면은 불필요하게 남용한 것이 아니라 그 캐릭터들을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게 잘 사용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극한에 몰리면 그보다 더 한 짓도 하는데요
35. 허걱
'21.9.30 8:52 PM (223.62.xxx.251)죄송해요. 제가 오해하게 썼는데 일본 작품이 우리나라보다 낫다는게 절대 아니라
일본인들이 남의 문화를 평가하고 인정해주는 점이 중국보다 낫다는 이야기에요.
김치도 한복도 자기네꺼라 주장하는 중국 같으면 클라세 따라한 걸로 표절이라며 자기네 작품인양 행세했을 것 같다는 이야기.
당연히 작품은 일본 드라마보다 월등하지요. 일본인들도 같은 클라세인데 일본에서 만든건 아마추어 같고 저 작품은 프로 같다고 했다던데요. ( TV에서 입맛에 맞는 댓글만 소개해 줬겠지만요.)
ㅇㅎㅇㅇ
'21.9.30 6:23 PM (221.151.xxx.5)
문화적 소양이 일본이 낫다고요???????
???????36. ...
'21.9.30 9:55 PM (223.62.xxx.139)기대 1도 안했다가 몰입해서 그냥 정주행 했네요.
브리저튼이나 기묘한 이야기는 한편당 140억인가 드는데
오징어 게임 전편 찍는데 220억인가 들어서 만들었단 자체가 대박인거죠.
그리고 문화적 소양이 일본이 낫다고? ㅋㅋㅋㅋㅋ
올해들은 개소리중 가장 웃김.
일본 음침문화 거품 빠지는 소리 안들림?
이런 류의 영화는 헝거게임이나 큐브같은 다른 영화도 많아요.
진즉 만들어 세계 1위 찍지 그동안 뭐했나37. 129
'21.9.30 10:19 PM (125.180.xxx.23)저는 1회 초반때 일남의 정체를 알아버려서
그후 집중이 힘들어서 돌려서 보고 그랬는데..
왕초대박이래서 좀 놀랬어요.
옷은 종이의집이랑 비슷해서 욕먹을까바 걱정했는데...^^;;그런것도 없고
여튼, 한국? 흥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