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밤에 끓인 소고기육수 실온에 두고 잤어요

조회수 : 6,870
작성일 : 2021-08-14 05:54:13
아침에 국 끓이려고 양지 덩어리로 끓여서 육수 내고

너무 뜨거워서 실온에 두고 잤어요.

밤새 괜찮았을까요. 제가 냄새를 못맡아서

지금 냉장고에 넣었는데.. 신경쓰이네요.

열대야는 아니니 괜찮을거 같긴한데.. 흑
IP : 210.100.xxx.1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1.8.14 6:00 AM (58.79.xxx.33)

    저는 버렸어요 ㅜㅜ 애매한 날씨에 먹는 걸로 탈난다 생각해서요

  • 2. 밤이면
    '21.8.14 6:10 AM (223.38.xxx.203) - 삭제된댓글

    괜찮을거예요
    혹시 모르니 쉰내 나는지 보세요

  • 3.
    '21.8.14 6:12 AM (222.234.xxx.222)

    괜찮을 것 같아요. 저도 밤에 끓인 국 뜨거워서 그냥 놔두고 잤다가 아침에 냉장고에 넣은 적 많은데 괜찮았어요.

  • 4. 안 더워서
    '21.8.14 6:12 AM (124.57.xxx.117)

    괜찮을거 같아요~다른 가족분 없나요?

  • 5. 조금만
    '21.8.14 6:46 AM (222.120.xxx.44) - 삭제된댓글

    드셔보세요. 새벽 기온이 26도 정도라, 시큼하지 않으면 끓여서 드셔도 괜찮아요.

  • 6. 조금만
    '21.8.14 6:48 AM (222.120.xxx.44) - 삭제된댓글

    입에 넣어봐서 이상하면 뱉으면 돼요. 새벽 기온이 26도 정도라 시큼하지 않으면 끓여드시면, 괜찮을 것 같아요.

  • 7. 밤에
    '21.8.14 6:50 AM (121.133.xxx.137)

    저도 어젯밤 열한시에 끓여놓고 잤어요
    암치 않지만 좀전에 깨자마자 다시 끓임

  • 8. 드셔봐요
    '21.8.14 7:10 AM (112.154.xxx.91)

    숟가락으로 떠서 혀만 살짝 대보고 뱉어봐요. 이상없을거라 생각합니다만

  • 9. 한 번 더
    '21.8.14 7:15 AM (119.71.xxx.160)

    끓인 후 식혀서 냉장고 넣으세요

  • 10.
    '21.8.14 7:21 AM (106.101.xxx.222)

    끓고나서 뚜껑 한번도 안 연채로 두었으면 괜찮아요

  • 11. 맛보며
    '21.8.14 7:28 AM (180.68.xxx.100)

    알죠.
    어젯밤 정ㄷㅅ엔 괜찮읅ㅎ 같지만

  • 12. 암시랑
    '21.8.14 7:36 AM (14.55.xxx.44)

    괜찮아요. 드세요.
    저는 국 끓이면 렌지에 두고 아침에 먹어요

  • 13.
    '21.8.14 7:37 AM (106.101.xxx.222)

    음식이 상하는게 세균 때문이란 걸 입증한 실험이 이거하고 똑같은 거였어요
    아마 중학교 과학책에서 본 기억이 나실텐데요…
    팔팔 끓였다는 건 내용물 멸균, 그 후에 외부와 차단해서 새로운 균 유입이 없으면 변질되지 않는다는 걸 증명했어여
    목 길게 휘어진 플라스크 나온 실험 그림도 생각날 법도 한데요

    원글님이 멸균될만큼 충분히 팔팔 끓인 후에 한번도 개봉하지 않고 식혔다면 상하지 않아요
    충분히 끓이지 않았거나 식히지 동안 중간에 뚜껑을 열어보았다면 변했을 수는 있지만..

  • 14. 괜츈
    '21.8.14 8:00 AM (183.98.xxx.109)

    괜찮아요.
    한번 더 끓이세요.

  • 15. 네.
    '21.8.14 8:05 AM (222.121.xxx.103)

    106.님 설명이 맞아요.
    끓인 후 뚜껑여닫지 않으면 무사해요.

    그리고 언제 요리하실지 모르지만
    냉장고에 넣는거보다 한번 더 팔팔 끓이시는게 더 나아요,
    3분이상끓이세요.

  • 16. 그럼에도
    '21.8.14 8:30 AM (39.7.xxx.64) - 삭제된댓글

    82는

    끓여 식힌 후 냉장고에 넣어야 한다고 하는게 대세.
    글쓴이도 냉장고 보관 답글에만 끄덕끄덕
    한두번 본게 아님.

  • 17. 50세
    '21.8.14 8:59 AM (222.110.xxx.225)

    50평생 저녁에 끓인국 아침에 데워 먹고 살았으나 식중독 걸린적 한번도 없네요.
    삼복더위 열대야가 지속되서 한밤중 실내 온도가 30도 넘어가더시절에도 자기전 11시~12시 사이 끓여두고 아침에 6시쯤 다시 끓이면 괜찮았음.
    이런거 물어보시는 분들 많고 거기다 다 버린다는 댓글까지 달리는걸 보면 참 신기해요. 살림을 안해 보신 분들인가, 아님 너무 젊어서 세대차이가 나나...
    냉장고에 국 냄비 자체가 안들어가는 집 많아요.
    오히려 덜 식은 국 냉장고에 넣으면 전체 온도를 높여놔서 다른 냉장고 안 음식까지 상하게 할수 있죠. 안그래도 여름에는 냉장고에 넣었다고 해도 반찬 만들어 둔거 2~3일 지나면 금방 상해요. 나물류는 하루안에 다 소비해야 하고...

  • 18.
    '21.8.14 9:12 AM (210.219.xxx.244)

    저도 국 끓여 다음날까지 먹고 하는데요. 여름에도 끓여서 두면 다음날까진 괜찮더라구요.

  • 19. 감사
    '21.8.14 9:20 AM (210.100.xxx.16)

    댓글 보고 안심하고 아침에 잘 끓여 먹었습니다.

  • 20. ca
    '21.8.14 10:11 AM (223.38.xxx.199)

    저 어제밤에 미역국 20인분 한솥 끓여두고 그냥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솥에 아직 온기가 남아 있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36490 신데렐라 카시트 쓰시는분 질문 드려요. 2 2021/08/15 653
1236489 호박반찬 내일모레까지 냉장 괜찮을지요 2 .. 2021/08/15 884
1236488 서강대 이미지 어떤가요? 39 헬로 2021/08/15 8,640
1236487 우유 생크림 케이크 원래 그런가요? 7 파리바게트 2021/08/15 2,786
1236486 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팩트 19 백신 2021/08/15 4,748
1236485 하와이는 12월 vs 3-4월 언제가 좋나요? 5 니가가라 2021/08/15 1,899
1236484 이재명, 이낙연, 윤석열 호감도 17 ㅇㅇ 2021/08/15 1,183
1236483 넷플릭스 사마귀 1 영화 2021/08/15 1,812
1236482 폭염속 80대 독거노인 살렸다 1 .. 2021/08/15 1,697
1236481 배액배상글 2번째 잔금에 대해서 궁금해요 3 잔금 2021/08/15 786
1236480 미국 계란 어때요~? 4 ... 2021/08/15 2,286
1236479 임신 도움 받을수있는 한의원 10 오오 2021/08/15 1,528
1236478 남편한테 정이 없어요. 15 .... 2021/08/15 6,261
1236477 아이 친구문제 지혜를 구합니다. 4 엄마 2021/08/15 1,932
1236476 돌기념 사진촬영 문의드려요 3 ㅓㅓ 2021/08/15 530
1236475 파킨슨병 어떻게 진단 받으셨나요? 22 유니짜장 2021/08/15 6,751
1236474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물고문 사건과 유시민 선거법위반 무죄판.. 6 .. 2021/08/15 1,097
1236473 택배 제일 싸게 보내는 방법이 뭘까요? 7 택배 2021/08/15 1,742
1236472 인테리어 업체는 어떻게 알아봐야 하나요 2 이사 2021/08/15 1,331
1236471 다리기브스 풀면 처음에 어떤상태인가요 4 힘들어 2021/08/15 1,220
1236470 생일혜택 챙길 거 뭐있나 권해주세요 1 ㅇㅇ 2021/08/15 780
1236469 백신접종 앞두고 떨립니다 9 예민둥이 2021/08/15 2,957
1236468 문재인 대통령 너무 자랑스러워요 68 ㅠㅠ 2021/08/15 4,341
1236467 이낙연 "홍범도 장군 78년만의 귀환, 文정부 노력의 .. 6 ... 2021/08/15 1,113
1236466 DJ 3남 김홍걸 이재명 지지.. 아버지의 꿈 현실로 만들 것 29 ㅇㅇ 2021/08/15 2,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