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70년대후반에서 80년대초반 태어나신분들 병원 잘 가셨었나요?

조회수 : 4,566
작성일 : 2021-08-10 22:01:56
어릴때 병원가본 기억이 거의 없어요
감기로 열 엄청났을때 한번이랑
뇌진탕으로 한번
그 정도밖에 기억이 안나요
가난해서 그런거겠죠?
다른분들은 어릴때 병원 자주 갔었나요?
IP : 124.51.xxx.100
3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1.8.10 10:02 PM (125.191.xxx.22)

    전 아픈적이 없어서 병원엘 별로 안가봤네요 ㅋㅋ

  • 2. 그땐
    '21.8.10 10:06 PM (115.140.xxx.213)

    의료보험혜택이 소수에게만 있어서 그랬을거예요
    아빠가 공무원이셔서 보험 적용이 되었었는데 이웃집 아주머니들이 보험증 빌리러오곤했어요

  • 3. ..
    '21.8.10 10:07 PM (220.245.xxx.35)

    70년대 중반생이고 가난하진 않고 보통으로 살았는데 치과말고는 가 본적 없어요.
    의료보험 없어서 비쌌어요.

  • 4. ..
    '21.8.10 10:07 PM (222.236.xxx.104)

    딱히 아픈곳이 없어서 갈일은 없었네요 ..근데 저희 사촌애는... 80년대 후반에 태어난 제 사촌애는 자주 아파서 병원 신세많이 졌어요..ㅠㅠㅠ 병원을 안간게좋죠 ..부모님이 마음고생을 얼마나 하셨겠어요..ㅠㅠ

  • 5.
    '21.8.10 10:08 PM (114.201.xxx.29) - 삭제된댓글

    예방접종 하러 자주 가고
    배아파서도 가고 그랬긴 한데
    생각해보니 의료보험증 빌리던 친척이 있었네요..

  • 6. 병원비가
    '21.8.10 10:08 PM (121.165.xxx.112) - 삭제된댓글

    비쌌어요.
    그리고 옛날에는 약사가 의사처방없이
    임의대로 조제를 했어요.
    그래서 약발좋은 약국이 동네에 하나쯤은 있어서
    굳이 병원을 안가고 약국에서 해결이 됐죠

  • 7. ..
    '21.8.10 10:08 PM (114.207.xxx.109)

    감기로 다니고 치과는 초등부터 다녔어요 안과는 성인되고나서 ㅎㅎ

  • 8.
    '21.8.10 10:09 PM (114.201.xxx.29) - 삭제된댓글

    예방접종 하러 자주 가고
    배아파서도 가고 그랬긴 한데
    생각해보니 의료보험증 빌리러 오던 친척이 있었네요.

  • 9.
    '21.8.10 10:10 PM (114.201.xxx.29)

    배아파서, 피부과, 안과
    뭐 이렇게 다녔던 것 같아요.
    치과도…
    의료보험 빌리러 오던 친척이 있긴 했네요.

  • 10. ㄹㄹㄹ
    '21.8.10 10:12 PM (218.39.xxx.62)

    폐렴 걸렸을 때?
    병원보다 치과를 더 갔던 거 같아요.
    어디 까졌다고 병원 찾지 않았죠, 소독약 뿌리고 빨간약 빠르면 끝
    소독약 뿌리고 하얗게 올라올 때
    그 상처가 내 상처가 아니면 난 웃고 걔는 울고.
    예방접종은 학교에서만 했고
    사리돈이 모든 걸 해결해 줬죠.

  • 11. …..
    '21.8.10 10:15 PM (114.207.xxx.19)

    저희 집은 의료보험이 있었거든요.. 부모님 직업 덕분이었겠죠.
    자주가던 소아과 의사선생님도 기억나고.. 국민건강보험 이전에 의료보험 없는 경우가 더 많다는 거 안 지 얼마 안되었어요.
    무엇보다 누구나 아프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한다는 건 의식주만큼이나 중요한 기본적인 인권인데.. 오죽하면 영국이 올림픽 개막식에서 무료 전국민건강보험을 자랑했겠어요.

  • 12. 79
    '21.8.10 10:16 PM (59.25.xxx.201)

    79년생

    의료보험이 없는집도 있는줄 몰랐어요

    병원많이다녔어요…

  • 13. ...
    '21.8.10 10:19 PM (49.161.xxx.218) - 삭제된댓글

    80년이 왜 병원을안가요?
    그당시 직장생활하면 의보 당연히 있었죠
    그때나지금이나 애가 아프면 병원으로 달려갔어요

  • 14. ...
    '21.8.10 10:19 PM (222.236.xxx.104)

    생각해보니까 치과는 열심히 다녔네요 ..유치원다닐때부터요.

  • 15. . .
    '21.8.10 10:19 PM (223.39.xxx.148)

    엄마왈 아기때는 1년 300 일을 병원다녔다고하고요. 초등 고학년때는 위염이 심해서 자주 조퇴하고 내과에 갔어요. 단골환자. 그때 의료보험 없는집 많았는지 지금 알았네요.. 쩝

  • 16. 저도
    '21.8.10 10:21 PM (218.157.xxx.171)

    치과와 다쳤을 때 빼고 병원에 거의 안가고 컸어요. 돈 때문이 아니라 필요성을 못느껴서요. 요새 감기로 병원가는 거 보면 솔직히 어리둥절해요. 감기는 치료약도 없고 하루 이틀 아프면 낫는 건데..

  • 17. ㅡㅡㅡ
    '21.8.10 10:22 PM (222.109.xxx.38)

    71년생 많이 갔는데 보험여부는 모르겠네요. 알러지 있어서 비염 기관지로 많이 가고 치과 가고..편도선 수술하고 헐.. 우리집이 넉넉치 못했다고 생각했는데 병원비를 부담스러워하시던 기억이 없네요 그러고보니..

  • 18. ㅡㅡㅡ
    '21.8.10 10:23 PM (222.109.xxx.38)

    그나저나 그땐 그게 빌려서 가능했나요? @,@

  • 19. ㅇㅇ
    '21.8.10 10:26 PM (119.194.xxx.243)

    74년생
    엄마 손잡고 소아과 치과 많이 다녔어요.
    알약 가루 내서 종이에 약 싸는 거 신기해하며 구경했던 기억이 나네요.

  • 20. ??
    '21.8.10 10:36 PM (121.152.xxx.127)

    75인데 병원 많이 갔어요
    자주가는 소아과 있었고, 치과 안과 다 다녔어요
    병원 안간분은 가난한게 이니라 건강해서 안간거 같네요
    가난해서 병원 못간건 70년대생이 아니라 50년대생 아닌지

  • 21. ...
    '21.8.10 10:38 PM (221.151.xxx.109)

    76년생

    초딩때 치과, 내과, 피부과 다녔음
    눈이 좋아서 안과는 안갔고요

  • 22. 78년생 서울
    '21.8.10 10:43 PM (115.136.xxx.38) - 삭제된댓글

    아프면 병원 못 간다는 생각을 못 해봤어요.

  • 23. 편도선
    '21.8.10 10:43 PM (1.253.xxx.55)

    저도 79년생인데 편도선이 자주 부어서 소아과 자주 다녔어요.
    아버지가 대기업 다니셔서 의료보험이 적용되었는데 같은 대기업 산하 하청업체나 협력 업체는
    의료보험이 안되는 업장이 많았다는 얘길 어머니한테 들었어요.

  • 24. @@
    '21.8.10 10:46 PM (180.69.xxx.145)

    77년생
    이비인후과를 밥먹듯이 다녔어요.
    충농증. 중이염을 달고 살아서 ㅜㅜ
    지금도 기억나는게 지방 소도시여서 내귀와 코를 쑤셔대던
    기구들이 너무 낡았고 너무 아파서 울고나오면
    엄마가 병원 앞 제과점에서 카스테라를 꼭 사주셨어요.

  • 25. 76년 서울
    '21.8.10 10:49 PM (121.130.xxx.192) - 삭제된댓글

    의료보험이 특정집에만 있었다니 전혀 몰랐어요.
    열나고 콧물날때, 넘어져서 무릎 크게 까졌을때, 음식 잘못 먹어 토하고 설사할때 등등 병원 자주 갔어요.

  • 26.
    '21.8.10 10:50 PM (1.227.xxx.189)

    77년생 지방에서 살았는데 안 아파서 병원 안간거 빼고는 초딩때도 치과 안과 이비인후과 잘 다녔고 중고딩때는 더 잘 다녔던것같은데요?

  • 27. …저도
    '21.8.10 10:53 PM (1.227.xxx.189)

    저도 윗님처럼 이비인후과 너무 무서웠어요
    병원 자체도 서늘하고 차가운 느낌에 교회 의자처럼 그런 의자였고 뭣 보다 전 편도선이 부어서 갔는데 그거 찢어서 고름 빼고 했었는데 너무너무너무 아프고 무서웠던 기억이 아직도 있어요 ㅜ그때 의술도 안좋고 지방이라 더 안좋았을수도 ㅜㅜ

  • 28. 71년생
    '21.8.10 11:00 PM (175.208.xxx.235)

    아빠가 공무원이셔서 저흰 의료보험이 있어서 아프면 바로 병원갔어요.
    전국민 의료보험이 가입된게 1989년도네요.
    1976년도에 의료보험 가입자가 6만명 수준으로 인구의 0.2프로랍니다.
    77년도부터 5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강제가입 의료보험제도를 실시했답니다.
    그러니 80년대까지는 규모가 큰 직장에 다니거나 공무원 가족들만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았겠죠.

  • 29. ...
    '21.8.10 11:14 PM (175.223.xxx.36)

    당연히 필요할때마다 항상 병원 갔었는데요.
    76년, 77년.

  • 30. 77년생
    '21.8.10 11:28 PM (116.121.xxx.202) - 삭제된댓글

    날때부터 몸이 약해서 병원 달고 살았어요. 미취학일때 입눰도 하고. 집이 시골이였는데 아빠가 의료보험이 있어서 병원 다니는데 무리가 없었는데 동네에서 비슷한 또래 키우는 집들 애 아프면 의료보험즌 빌리러 많이 왔어요.

  • 31. 많이감
    '21.8.11 12:03 AM (180.230.xxx.50)

    80년대 초반생. 지방군단위 살았는데 종합병원, 내과,소아과,이비인후과 달고 살았어요

  • 32. ....
    '21.8.11 12:24 AM (211.44.xxx.158)

    엄청 자주 갔어요. 알러지 있어서 대형병원이랑 강남에 알러지 전문 병원도 다니고..지금이랑 시설 같은게 전혀 차이 없었고요.

  • 33. ...
    '21.8.11 12:24 AM (49.161.xxx.18)

    어릴때 허약해서 소아과 엄청 다녔다고 엄마한테 들었어요

  • 34.
    '21.8.11 1:07 AM (121.168.xxx.239)

    잘 안아팠고 아플때도 약사서 며칠 먹음 나았어요

  • 35. 소아과
    '21.8.11 8:03 AM (223.33.xxx.13)

    78인데
    국민학교 입학 전까지 허약해서
    소아과 치과 엄청 다녔었는데
    계속 아퍼서 대학병원은 다 다닌것같아요.
    병원카드가 정말 많았었어요.
    보험이 안되는지는 몰랐네요.
    어릴때 약을 너무 먹어서 지금은 영양제도 안먹어요.ㅠ

  • 36. 흠..
    '21.8.11 8:14 AM (211.227.xxx.207) - 삭제된댓글

    80년생..

    어릴때 소아과 진짜 많이 간듯.
    감기만 들려도 갔던거 같은데.

    물론 요샌 감기로 병원은 안가죠. ㅎㅎ자가 치료함.

  • 37. 의료보허
    '21.8.11 9:45 AM (59.17.xxx.122)

    76년생
    87년무렵 사촌이 수술받을 때 동생이름로 입원해서 수술받았어요.
    주사바늘 병원근처에서 사갔어요. 더 편하게 링겔 맞고 싶으면 주사바늘사오라고 했어요.
    저희 아버지 엄청 깐깐하고 지나치게 정직한 사람인데 당시는 그걸 빌려주셨나봐요.

  • 38. 72년생
    '21.8.11 10:23 AM (112.187.xxx.89) - 삭제된댓글

    저희도 의료보험 있었고 아프면 부담없이 병원다녔는데, 보험 없으면 진료비가 상당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때는 약국에서 약사가 약을 제조했기 때문에 약국가서 약만 사는 경우도 많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35066 만화)어느 첫사랑 4 만화 2021/08/12 1,683
1235065 사람은 안변한다고 하는데 1 2021/08/12 1,922
1235064 함몰유두 교정해보신분 계신가요 15 수술 교정기.. 2021/08/12 3,841
1235063 오뚜기 와사비, 싸구려 재료 쓰다 덜미 10 배신 2021/08/12 6,322
1235062 "이재명 '기본대출'은 포퓰리즘, 아무런 도움 못주는 .. 4 000 2021/08/12 854
1235061 기독교인들 징글징글 9 기독교인들 2021/08/12 1,967
1235060 백신 맞고 무증상.. 좋은 거겠죠? 2 궁금 2021/08/12 4,543
1235059 흡수 잘 되는 헤어에센스 공유 좀 해주세요 14 .. 2021/08/12 3,222
1235058 코로나가 안끝난다면 지금처럼 사시겠어요? 6 호음 2021/08/12 2,816
1235057 중국인들 국내 주택 매입이 심각한데 민주당이 태영호가 발의한 법.. 15 상호주의뻥?.. 2021/08/12 2,618
1235056 더로드 드라마 뭐죠?(스포) 6 불륜 2021/08/12 3,226
1235055 아산병원 뇌전증 잘 보는 의사 선생님은 누구예요 2021/08/12 1,524
1235054 "자기가 준 적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알아? 자기가 언.. 1 최성해야 2021/08/12 1,639
1235053 아이가 심리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를 원하는데.. 18 아이가 2021/08/11 3,191
1235052 목이 화한 느낌.. 역류성 식도염인가요? 5 ... 2021/08/11 4,108
1235051 뒤에서 남 안 좋게 말하는거를 당사자에게 알려줬어요. 23 고민. 2021/08/11 5,137
1235050 로얄알버트 제조국 10 커피잔 2021/08/11 4,053
1235049 자녀에게 수학과 권유한 지인이 25 ㅇㅇ 2021/08/11 13,384
1235048 귀가 짝짝이로 뚫렸어요 4 ... 2021/08/11 2,009
1235047 성인자녀 국민연금 납입하는 분 계신가요? 6 국민연금 2021/08/11 2,008
1235046 조국 정경심 이제 그만 싸우고 변호사비라도 아끼는게 어떨까요? 30 ㅇㅇㅇ 2021/08/11 3,788
1235045 이낙연 "1대1 토론하자"..이재명은 외면 9 ㅇㅇㅇㅇ 2021/08/11 1,357
1235044 호랑이 연고 어디서 팔까요? 15 ㄴㄴ 2021/08/11 2,851
1235043 병원에서 젖은상태로 반깁스를 해줬는데 이게 맞나요? 6 2021/08/11 2,764
1235042 보통 남편들이 부동산 투자에 보수적이던데 7 핫썰 2021/08/11 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