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윤석열의 ‘부산 민주공원’에서의 해프닝

길벗1 조회수 : 1,311
작성일 : 2021-08-02 11:14:34

윤석열의 ‘부산 민주공원’에서의 해프닝(feat, 대깨윤)


2021.07.30.


윤석열은 마치 자신이 민주화에 기여한 마냥 전국을 돌며 가는 곳마다 빠짐없이 민주주의를 입에 올립니다. 7월 17일, 광주에 가서도, 7월 22일, 대구에 가서도, 7월 27일, 부산에서도 민주화의 성지라고 치켜세웁니다. 광주 5.18 묘역의 이한열 묘비를 두 손으로 쓰다듬으며 눈물을 글썽였고, 대구에서는 2·28 민주의거 기념탑을 찾아서는 "대구는 민주화 운동이 시작된 진보적인 도시"라며 "대구에 기득권을 수호하는 보수는 없다"고 했죠.

부산에 가서도 민주공원을 찾아 참배했구요. 그런데 이 부산 민주공원에서 윤석열은 광주 5.18 묘역 이한열 묘소에서 흘린 눈물의 진정성이 의심되는 장면을 연출했죠.

1987년 6.10 항쟁을 표현한 이한열이 피를 흘리며 부축받는 그림(조형물) 앞에서 1979년 부마항쟁 때의 그림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옆에 있던 장제원이 ‘이한열’이라고 했음에도 말이죠.

이에 대해 민주당은 비판을 하고 이를 언론들도 기사화 했죠.


<7월 27일, 부산 민주공원 방문한 윤석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73008160018580&outlink=1&ref=%3A%2F%2...


YTN도 ‘돌발영상’에서 이 장면을 담아 방송으로 내보냇습니다.


[돌발영상] 1987년 (부산 찾은 윤석열, 1987년 6월 항쟁 조형물 보고 "부마(항쟁)인가요?")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tSJsmUr8AwQ


그러자 대깨윤들이 언론들이 왜곡해서 보도하여 윤석열을 매도한다고 난리를 칩니다. 윤석열은 이한열 그림을 지나쳐 그 다음 그림을 가리키며 “이거 부마(항쟁)인가요?“라고 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한열이 나오는 그림을 보고 말한 것이 아니라 1979년 부마항쟁 그림을 보고 말한 것인데 언론들이 왜곡했다고 윤석열을 쉴드치고 있습니다.

윤석열이 잘못 알고 저런다고 지적하니까 대깨윤의 한 사람이 이렇게 반문하면서 저를 힐난하더군요.


“그거(이한열의 그림은 1987년 6.10항쟁을 표현한 것)) 다 아는 거니까, 지나치고 그 옆 그림 묻는 겁니다. 그걸 교묘하게 편집하고.. 거기에 입 맞추어 희희낙낙 떠들고.. 그러니, 수준이 그 모양이지요.“


그런데 위의 YTN의 ‘돌발영상’을 보면 윤석열이 저 질문을 할 때 윤석열이 가리키는 곳은 이한열이 나오는 그림입니다. 더구나 위의 머니투데이 기사에 나오는 사진을 보면, 이한열이 나오는 그림 바로 옆의 그림도 1987년 6.10 항쟁의 시발이 되었던 박종철의 영정 사진을 들고 있는 그림으로 6.10 관련 그림입니다.

‘부산 민주공원‘ 홈피를 들어가 ’늘펼쳐보임방 얼개‘를 보면, 1960년 4.19혁명 - 1979년 부마항쟁 - 1980년 5.18 - 1987년 6.10항쟁 순으로 그림(조형물)이 펼쳐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석열이 이한열이 나오는 그림을 지나쳐 1979년 부마항쟁을 표현한 그림을 보려면 1987년 6.10 항쟁 중 박종철이 나오는 그림을 거쳐 1980년 5.18이 나오는 그림들을 지나쳐야 합니다. 이한열이 나오는 그림 이후 약 3~4개의 그림을 지나야 한다는 것이죠.

즉, 윤석열이 “이거 부마(항쟁)인가요?“하고 물은 시점에서 윤석열의 시선이나 손짓은 절대 1979년 부마항쟁 그림에 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윤석열의 저 질문은 윤석열이 민주화 사건과 주인공들을 혼동하고 있었다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윤석열은 1980년 5월 8일, 서울대 학생회관 2층에서 있었던 모의재판에서 전두환에게 무기징역을 구형한 것을 자랑스럽게 내세우는데, 이것도 과장이 좀 심합니다.

사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시해 사건이 있은 후 1980년 5월 15일, 서울역 회군 사건이 있기 전까지는 ‘서울의 봄’이라고 하여 누구나 쉽게 떠들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였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10·26 사태)되면서 유신독재가 막을 내리자, 전두환을 주축으로 한 신군부 세력은 12·12사태로 정권을 장악해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의 군사독재 연장 움직임이 있었음에도, 당시 박정희의 사망으로 민주화가 실현되리라는 희망에 부푼 국민들의 기대감은 1980년 '서울의 봄'으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분위기가 한껏 달아 오른 상태였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1980년 3월, 서울대 총학생회 출범을 시작으로 4월에는 전국의 주요 대학들에 학생회가 구성되기에 이르렀으며, 5월이 되자 대학생들은 ‘계엄령 해제’와 ‘유신잔당 퇴진’ 등 본격적인 정치투쟁을 전개하며, 대학 밖으로 진출하기 시작했죠. 1980년 5월 15일, 서울 지역 30개 대학 10만 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계엄 철폐 등을 외치며 서울역 광장에서 시위를 이어가다, 군부대 투입 및 유혈사태 우려를 들어 자진 해산한 사건이 ‘서울역 회군’입니다. 그런데 이 5월 15일 서울역에서의 대규모 시위 과정에서 시위대가 몬 버스에 전경이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나고 113명의 전경 부상자와 가스차와 다량의 차량이 전복, 소실되면서 상황이 급반전됩니다. 신군부가 공수부대 투입 등 강경 진압 소식이 들려오면서 시위 지도부는 회군을 결정하게 되었고, 사실상 5월 15일 기점으로 ‘서울의 봄’은 끝나게 되었던 거죠.

즉, 5월 15일, 서울역 회군이 있기까지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는 민주화가 왔다고 생각했고, 각 대학생들도 그렇게 신군부에 대해 겁을 먹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하물며 5월 8일경에 대학생들이 5.18의 비극은커녕 5월 15일의 서울역 회군을 상상이라도 했겠습니까? 그런 5월 8일 분위기에서 모의재판에서 전두환에게 무기징역을 구형한 것이 대단한 일이었을까요?

문제는 윤석열이 1980년 5월 8일 이후에 민주화에 기여한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 이후에는 9수를 하면서 사법시험에 매달렸고 검사 생활을 한 게 전부이죠. 1980년 5월 8일 이후에도 계속 학생운동을 했거나 노동 현장에 뛰어들었거나, 그것도 아니면 사법시험 합격 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다면 모를까 지금에 와서 1980년 5월 8일에 모의재판 건을 언급하며 민주화 운운하는 것은 좀 역겨워 보입니다.

7월 27일, 윤석열이 부산 민주화공원을 찾아 이한열 그림 앞에서 보인 해프닝은 그의 삶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는 윤석열에게 진정성이 별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한 사람의 행위나 발언은 어느 시점에서, 어느 상황에서 한 것인지를 살펴보고 평가해야 합니다.

요즈음 윤석열 캠프측에서 시간차 공격이나 방어를 많이 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처와 관련한 의혹들을 해명하는 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건 발생시간과 사건 내용을 교묘하게 섞는 꼼수들이 보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되면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5월 17일, 5.18 묘역의 이한열 묘 참배하는 윤석열>

https://cafe.daum.net/namjachansa/bosN/34330?q=%EC%9C%A4%EC%84%9D%EC%97%B4+5.1...


IP : 118.46.xxx.14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길벗
    '21.8.2 11:17 AM (124.53.xxx.135)

    길버트, 길벗...

  • 2. ...
    '21.8.2 11:19 AM (223.33.xxx.104)

    길벗이 미는 이가 오세훈?

  • 3. dd
    '21.8.2 11:38 AM (210.179.xxx.99) - 삭제된댓글

    이한열 열사도 모르는 놈이 민주화를 말하다니 가증스럽네요
    문정부가 독재정권이라고 씨부리다니 정신이 돌은 놈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4. 골빈인간
    '21.8.2 11:43 AM (211.177.xxx.54)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 어디 감히 대권을 꿈꿔, 쓰레기서방놈이

  • 5. 길벗1
    '21.8.2 11:43 AM (211.216.xxx.43)

    길벗 길벗 하도 봐서 익숙한..
    내용은 항상 그렇듯 쓸데 없이 길어서 패스

    그건 이제 이슈도 아닌데요
    부정식품이나 좀 얘기해봐주세요

    윤석열은 이슈는 이슈로 덥자의 아주 좋은 예인듯요

  • 6. ..
    '21.8.2 11:52 AM (58.227.xxx.177)

    길벗님도 윤씨 못마땅해 하시는군요
    어쩌다가 저런사람이 대통령후보라고 나서는지
    국격이 그냥 추락하네요

  • 7.
    '21.8.2 12:02 PM (39.7.xxx.172)

    윤짜장 하는말은
    전부 새빨간 거짓말입니다(명박이 육성 지원됨)

  • 8. 썩열아
    '21.8.2 12:21 PM (125.189.xxx.187)

    부마항쟁이 아니고 동학농민운동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31944 인스타에서 파는 효소요 5 복잡미묘 2021/08/02 1,900
1231943 인터뷰 이낙연의 선택! 정치적 일관성과 소신의 정치 14 꼭 들으세요.. 2021/08/02 661
1231942 니이를 먹으니 더위를 못참겠네요. 10 휴우 2021/08/02 2,917
1231941 직장내 부당함에 대해 글올렸었죠 .. 2 .. 2021/08/02 1,077
1231940 오늘도 콩국수 실패했어요 1 2021/08/02 1,697
1231939 하정우 동생 차현우 황보라 42 .. 2021/08/02 37,557
1231938 알약을 가루내어 보관편하게 하는 방법 절실히 도움구합니다 25 아이디어 2021/08/02 2,160
1231937 예능 솔로는 조금 독특하네요 1 ... 2021/08/02 1,373
1231936 회사에서 택배를 많이 받는데요 26 7777 2021/08/02 3,768
1231935 김용건같은일 아버지라고 해도 감당을 못할것 같은데..ㅠㅠ 14 .... 2021/08/02 4,534
1231934 요새 먹었던 간편식 ㅁㅁ 2021/08/02 1,773
1231933 중3인데, 밀크~ 괜찮을까요? 4 인터넷 강의.. 2021/08/02 1,588
1231932 내자식 앞에서 쌍욕하는 우리 엄마 12 슬픔 2021/08/02 4,039
1231931 공자 아빠 70세, 엄마 16세에 공자 낳음 16 ㆍㆍ 2021/08/02 5,461
1231930 매일경제, 왜 윤석열 '부정식품' 발언을 지면에 뺐을까 8 기득권딸랑이.. 2021/08/02 1,363
1231929 버스 기사님들은 입사하면 2 ㅇㅇ 2021/08/02 1,127
1231928 [[정치]] 대선판이 흔들리고 있다.. 지금, 왜 이낙연인가 7 사월의눈동자.. 2021/08/02 1,433
1231927 날파리 놈들 어디서 나오는걸까요 ㅇㅇ 2021/08/02 1,774
1231926 여성층에서 이재명 비호감 51% 기록 31 퍼왔어요. 2021/08/02 1,751
1231925 박수홍 고양이 굿즈도 나왔네요 18 2021/08/02 5,913
1231924 시누들이 도둑 심보에요 17 그게 2021/08/02 7,014
1231923 냉장고 설치했는데 문닫을때 불안정한 느낌이 있어요 2 냉장고 2021/08/02 1,177
1231922 이낙연후보,''윤석열씨의 위험한 발상'' 4 ㅇㅇㅇ 2021/08/02 917
1231921 불면증이 심한데 한의원 좀 추천해 주세요.. 2 2021/08/02 1,233
1231920 나는 왜 ㅇㅇㅇ를 지지하는가 한 표씩 주세요 2 한번씩 들러.. 2021/08/02 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