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쇠젓가락 싫어서 안쓰는분, 나무젓가락 뭐 쓰세요?

ㅇㅇㅇ 조회수 : 3,204
작성일 : 2021-07-27 15:06:35
매일 쓸 나무젓가락 좋은제품 추천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IP : 121.152.xxx.12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1.7.27 3:10 PM (1.241.xxx.38)

    다이소요
    어차피 오래 못 씁니다 좋은거 살 의미가

  • 2. ..
    '21.7.27 3:16 PM (183.97.xxx.99)

    첫댓님 말 동의
    그게 다 까지더라구요
    한창 나무 쓰다가
    다시 스텐으로 회귀

    위생상 별로에요

    자주 갈아주세요

  • 3. ..
    '21.7.27 3:17 PM (59.6.xxx.130)

    위생상 안 좋은데 나무젓가락을 왜 쓰시려고요?

  • 4. unouna
    '21.7.27 3:19 PM (221.153.xxx.172)

    반가워요~~ 저도 나무 젓가락파
    좋은 제품 찾기 정말 힘드시지요.ㅠㅠ

    1.칠몽 - 한살림에도 납품하는 곳인데 삼각 젓가락이 쥐기 힘들까 해서 네모를 샀는데 잘 굴러 다님
    칠은 잘 벗겨 지더 라구요. 밥주걱은 얼마 안썼는데 칠은 벗겨지고 갈라짐
    2.이바돔 - 도마랑 수저도 전에 쓰긴 했었는데 최근에 구매 했었는데 칠몽보다 칠이 나은 듯하고
    쥐기도 편해요. 밥주걱도 좋네요.

    다른 분들도 안전하고 끝이 날렵한 나무 젓가락 추천 부탁 드려요. 노재팬~~

  • 5. 혹시나
    '21.7.27 3:21 PM (218.38.xxx.12)

    실리콘 젓가락은 사지 마세요 미끄러워서 반찬이 안 집혀요

  • 6. ..
    '21.7.27 3:22 PM (211.34.xxx.151)

    인현공방거 쓰고 있어요

  • 7. ㅇㅇㅇ
    '21.7.27 3:22 PM (211.247.xxx.246) - 삭제된댓글

    나무 색갈이 보통 갈색인데
    젓가락은 백색.
    깨끗해 보이라고 백색으로 만들기 위해
    온갖 화학약품이 동원 된다고 들었어요.

  • 8.
    '21.7.27 3:29 PM (119.70.xxx.90)

    이케아꺼요
    굵지않고 가는편예요 저렴하고

  • 9.
    '21.7.27 3:36 PM (58.122.xxx.51)

    중국사람들 쇠젓가락을 그렇게 싫어하더라구요.
    일회용 나무 젓가락 한트럭 사놓고 쓰는 다문화가족보고 선물로 옻칠 젓가락 비싼거 사줬는데 안쓰고 일회용만 쓰더라구요.
    옻칠된거 비싸긴해도 좋아요.

  • 10. ㅇㅇ
    '21.7.27 3:42 PM (211.196.xxx.99)

    나무젓가락 필요한 경우 많아요
    수술 후에 손발 피부 면역력이 떨어져서 차갑고 무거운 쇠를 잡으면 통증이 와요. 나무 수저로 바꾸니 손에 잡히는 온도가 일정하고 재질이 부드러워서 훨씬 나아요. 환자들에겐 플라스틱보단 나무 수저가 낫겠죠.

  • 11.
    '21.7.27 3:48 PM (121.132.xxx.211)

    김성훈도자기그릇쓰고있는데 거기 젓가락 좋아보여서 저도 살까해요.

  • 12. 라리
    '21.7.27 4:04 PM (121.101.xxx.113)

    저도 이케아요 싼맛에 샀는데 3년째 쓰고 있어요 가볍고 변형도없고 좋아요

  • 13. 현대천호점
    '21.7.27 4:05 PM (188.149.xxx.254)

    백화점에서 옻칠한 나무젓가락 한 쌍에 7천원씩 열 쌍 사서 잘 쓰고 있어요.
    마트제품 몇 개들이에 3천원짜리와 틀리네요.
    얄쌍하고 잘 잡혀요.
    마트제는 투박해서 끝 맞물리는게 좀 그렇거든요.

    맞아요. 손 힘이 떨어져서 쇠젓가락 잡고있음 마디가 아파요..ㅋㅋㅋㅋ
    아주 가볍고 오래들고있어도 힘들어가지 않고요.

    옻칠한거래서 쓰자마자 물로만 파바박 닦아놓아야 하는게 흠이긴행.
    물에 오래 담그거나 묻은채로 오래두는거 안되구요.
    식기세척기에 두어번 들어갔다나오니 옻칠 벗겨져서 식겁했고, 모양도 휘어졌어요..ㅠㅠ..
    손설거지 후닥닥...하는게 번거롭기는해요.

  • 14.
    '21.7.27 4:36 PM (118.35.xxx.89)

    스텐 숟가락 젓가락 안 쓰는 이유가 뭔가요
    Tv보니 언젼가부터 나무로 된 제품 많이 쓰던데
    불편하게 보이고 저는 별로던데요
    음식할때 후라이팬 보호차원에서만 사용해서요

  • 15. ..
    '21.7.27 4:46 PM (106.101.xxx.85)

    옻칠수저 쓰는데 좋아요.
    입에 닿는 느낌이 좋아서 쇠수저를 못쓰겠어요.
    7번인가? 옷칠입힌 수저인데 안벗겨지고 잘쓰고 있어요.
    국산인상 중국 베트남꺼 비교해보시고 너무 저렴한거는 빨리 벗겨진다하니 약간 금액 나가는걸로 하시면 만족도가 높을거에요.

  • 16. 일회용
    '21.7.27 5:09 PM (211.206.xxx.180)

    아니면 세척할 때 물로만 하나요?
    세제는 스며들 텐데..

  • 17. ..
    '21.7.27 5:52 PM (183.104.xxx.10)

    까만색으로 된 옷칠수저 계속 사용중인데요.
    애들이 밥먹고 설거지 안하고 물에 종일 담가놨는데도 변형없이 잘 사용중입니다.
    옻칠수저는 중성세제사용해도 괜찮아요.안스며듭니다.
    전렌지 식기세척기 철수세미 같은거는 사용 안되요
    시중에 파는 원목수저중 코팅이 제대로 안되어 있는거라면 세제가 베일수도 있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61836 절인배추 10kg당 양념은 몇키로가 필요하나요? 4 ㅇㅇ 2021/10/23 1,735
1261835 청양고추 다져서 냉동보관해도 될가요 7 .. 2021/10/23 1,785
1261834 싸리가자미 1 Lee 2021/10/23 681
1261833 저아래 양가부모에게 인사드려도 6 .. 2021/10/23 1,690
1261832 저처럼 집에 가족들과 있으면 미치겠는 분 계시죠? 10 저처럼 2021/10/23 3,370
1261831 입 안을 씹었는데 제일 빠른 치유방법 뭐가 있을까요 6 .. 2021/10/23 1,521
1261830 옷 잘입는 멋쟁이 분들 도와주세요 9 옷입는 법 2021/10/23 4,224
1261829 어묵탕 스프로 샤브샤브 육수 어떨까요?? 6 .. 2021/10/23 1,738
1261828 치질 질문 좀 할게요.. 5 .... 2021/10/23 1,576
1261827 원희룡 신혼때 파출소 난동 23 ... 2021/10/23 5,458
1261826 흰여울마을 vs감천문화마을 10 한군데만 2021/10/23 2,941
1261825 통관제한 무게가 몇키로 까지 인가요? 1 아이허브 주.. 2021/10/23 821
1261824 치과 선생님 계시면 좀 도와주세요! 4 도움 2021/10/23 1,776
1261823 저는 인생 하루하루가 즐거워요~ 43 ㅇheyij.. 2021/10/23 17,839
1261822 백수 신분으로 연애가 가능할때는 학생때 뿐인듯 6 ddddd 2021/10/23 2,493
1261821 '이재명에게 돈 주라는 문자와 ,사진이 있다' 조폭 제보 박철민.. 18 오호 2021/10/23 2,176
1261820 중고피아노 어디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2 2021/10/23 1,177
1261819 2012년에 검사들이 당시 검찰총장 몰아낸 기사 ㄴㄱㄷㄱ 2021/10/23 828
1261818 석박사 수료는 논문통과 못한건가요? 20 ㅇㅇ 2021/10/23 4,778
1261817 운전 험하게하는 하는 남편과 사는분 계세요? 17 2021/10/23 2,917
1261816 내용 펑합니다 15 .. 2021/10/23 3,367
1261815 국내선 항공예약이요 2 궁금 2021/10/23 1,314
1261814 생대추로 뭐할까요 1 고민 2021/10/23 1,388
1261813 일머리 없고,행동도 재빠르지 않은 딸.. 18 ㅇㅇ 2021/10/23 5,807
1261812 그나마 유승민, 원희룡이 낫다고 생각했는데 23 ... 2021/10/23 2,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