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토지공개념 헌법에 규정한 외국 사례 많아

조회수 : 542
작성일 : 2021-07-11 17:51:12
무조껀 내재산 뺏아간다
공산주의 만든다 할껀아닌듯요. 기사한번보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독일, 토지보상 통해 공유재산으로 변경 가능

미국, 주별로 법률을 통해 토지공개념 실현

등록 : 2021-03-31 12:04:51
한국처럼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채택한 국가 중에도 헌법에 토지공개념을 규정한 사례가 많다.

토지공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79년 미국에서다. 미국의 경우 영토가 광활하지만 미개척지와 더불어 토지에 대한 국민의 평등권을 주장한 많은 사상가의 영향으로 토지공개념이 다른 나라에 비해 잘 확립되어 있었다. 미국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토지세를 재정수입의 주요 근본으로 인식해왔다. 19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산업·도시화 등으로 총세입 가운데 토지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했고 그 결과 토지의 독점과 투기가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정치경제학자 헨리 조지(Henry George)가 전면적 토지가치세를 주장했으며, 이후 헨리 조지의 사상과 이론은 시간이 지날수록 체계화돼 오늘날 토지공개념의 기초가 됐다는 평가다.

독일 헌법 제15조는 "토지, 천연자원 및 생산수단은 사회화를 목적으로 보상의 종류와 정도를 규정하는 법률에 의해 공유재산 또는 공동관리경제의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 토지와 천연자원 등을 보상을 통해 공유재산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헌법 제25조는 재산권을 인정하지만 특별한 경우에 재산을 수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제5항은 "국가는 가용자원의 범위 내에서 국민들이 부동산 접근 권한을 공평하게 획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합리적인 입법 조치 및 기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이탈리아 헌법도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토지 소유에 법적인 책임과 제한을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헌법 제42조는 "부동산은 공적이거나 사적인 것"이라고 규정했고, 제44조는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공평한 사회적 관계를 보장하기 위해 토지의 사적 소유에 법적인 책임과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오스트리아 헌법 제12조에 따르면, 토지개혁에 관한 입법은 연방이 담당하고 시행규칙 제정과 집행은 주의 소관이다. 제2항은 "(토지개혁) 평의회의 설치, 업무 및 처리절차 그리고 토지개혁 업무를 맡을 관청의 설치를 위한 기본 원칙은 연방법으로 정한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법률을 통해 토지개혁과 토지의 공평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명시한 것이다.

아일랜드 헌법 제10조는 "아일랜드에 속한 모든 토지와 광산, 광물 및 용수는 국가에 속한다"고 명시했다. "국가에 속하는 재산의 관리와 해당 재산의 임시 또는 영구적인 이전의 통제를 목적으로 하는 조항이 법률로 제정될 수 있다"고 적고 있다. 토지 및 천연자원을 국가가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헌법에 명시한 것이다.

스페인 헌법 제33조도 법에 따른 적당한 보상이 주어지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유재산을 박탈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의 헌법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토지를 비롯한 사유재산을 제한할 수 있다는 토지공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헌법에는 삽입되어 있지 않지만 각 주별로 법을 통해 토지공개념을 실현해 왔다.

["토지공개념 공론화로 부동산 불평등 해법찾자" 연재기사]
IP : 27.1.xxx.113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38805 왕땅 당할 조짐 있는 애는 13 벌써 2021/08/23 4,238
    1238804 친한 직장동료 축의금 얼마할까요 13 결혼 2021/08/23 3,385
    1238803 사진에 글씨넣거나 동영상자르고 붙이는거는 어디서 배울수 있나요?.. 10 ㅇㅇ 2021/08/23 1,338
    1238802 채널 확 틀었어요. 안속아 2021/08/23 918
    1238801 염색약 알레르기 있는데 백신 접종해도 별일 없을까요? 6 ㅡㅡ 2021/08/23 1,720
    1238800 파바 어떻게 생각하세요? 17 걱정된다 2021/08/23 4,981
    1238799 아프간사태보면서 홈랜드 캐리 생각났어요 8 2021/08/23 2,060
    1238798 반찬을 사먹어요 12 외식 2021/08/23 5,511
    1238797 전세대출 걱정하셨던 분 글 지우셨나요? 1 ??? 2021/08/23 1,624
    1238796 82세..고관절인공관절병원에서 인공관절이라서 특별한재활필요없다고.. 8 궁금 2021/08/23 1,676
    1238795 풀배터리검사 잘 아시는분 1 ㅁㅁㅁㅁ 2021/08/23 1,681
    1238794 코로나 2차까지 접종하면 6시 이후 두명 이상 외식에서 제외인가.. 14 백년만의 외.. 2021/08/23 2,936
    1238793 의협 “강력범죄 의사 면허취소, 못 참아”…의결 시 총파업 18 ㅇㅇ 2021/08/23 2,455
    1238792 빨래 하러 빨래방 왔다가 2 망중한 2021/08/23 3,352
    1238791 역류성 식도염 병원 4 감사 2021/08/23 2,013
    1238790 식기세척기 추천 부탁드려요 14 .. 2021/08/23 2,672
    1238789 엘레베이터 알루미늄재질 가릴수 있는 물건 있을까요? 1 인테리어 2021/08/23 721
    1238788 네이트에서 전쟁나겠네요 31 재밌네 2021/08/23 21,753
    1238787 하이닉스 엄청 물린분 계신가요? 12 .. 2021/08/23 5,240
    1238786 그래도 에어컨보다 고마운게 선풍기네요 6 ㅇㅇ 2021/08/23 2,311
    1238785 LG 휴대폰 비밀번호를 아이가 잊어버렸는데 휴우 2021/08/23 818
    1238784 48세 글씨볼때 안보이면 돋보기해야하나요? 4 ., 2021/08/23 2,352
    1238783 상관격 이라서 그런걸까요?ㅡ사주아시는분만ㅡ 3 ㅇㅇ 2021/08/23 1,660
    1238782 어제 일요일 하루종일 누워서 쉬었어요 4 .. 2021/08/23 2,309
    1238781 찐 찰옥수수가 맛이없는데.. 9 ㅁㅁ 2021/08/23 1,837